Pages

2013년 7월 2일 화요일

Fed balance sheet - the other side



The Federal Reserve's Balance Sheet and Overnight Interest Rates*

http://www.federalreserve.gov/pubs/feds/2012/201266/




금융위기 이전에는 연준의 대차대조표는 미국채-자산, 화폐-부채, 자본-미미 이렇게 단순했던 것이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매우 복잡한 과정을 거쳐서 지금은 상당히 단순하게 정리되었다.

보통 자산구성에 대해서만 언급을 하는데, 가끔씩 일부 글들에서 부채와 자본에 관심을 보이는 경우가 있어서 확인해 본다.

두 그림 중 위쪽은 익히 보던 연준의 자산이고, 대부분 미국채와 모기지채권이다.
아래쪽은 부채와 자본이다. 자본은 거의 무시할 정도이고, 부채는 크게 두개로 나뉜다.

부채의 40%는 유통중인 통화이고, 기타 부채가 10% 이다.
양적완화가 시작된 후 통화유통량의 증가는 크지 않다.
기타 부채는 양적완화 1차에서 일시적으로 증가한후 축소되었다.
나머지 50%가 가끔씩 문제가 되는 부분이다.
양적완화를 통해 방출한 자금이 돌지 않고, 다시 연준에 준비금으로 맡겨져 있다는 부분이다.

이 부분이 크기 때문에 실제로 양적완화는 인플레이션을 유발하기 어렵다는 얘기도 한다.
또 이 부분이 연준이 아무리 노력해도 커지지 않기 때문에 양적완화는 효과가 없고 실패하게 되어 있다는 얘기도 한다. 그림 현재 진행 중인 회복은 무엇일까?
또 양적완화로 하이퍼인플레이션이 유발되면 미국경제의 종말을 막을 수 없기때문에 연준이  뒤에서는 금융기관을 통제해서 공급한 돈을 준비금으로 잡아두고 조금씩만 풀고 있다는 믿거나 말거나류의 얘기도 있다. 성공적인 sterilization?

처음 그려 본 것이니 전체를 파악하기에는 무리가 있으나, 연준이 미국채와 모기지채권을 매입해서 은행에 공급한 자금은 대부분 다시 연준컴퓨터에 그냥 쌓이기만 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또한 이렇게 채권시장에 대한 직접적인 조작이 실제로 유통되는 통화를 증가시키는 효과가 미미함에도 불구하고 채권시장뿐 아니라 주식시장, 외환시장(특히 유로)과 직접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도 사실이다.

쌓여있는 준비금이 유통이 될지 아니면 양적완화의 축소가 진행되면서 천천히 흡수될지 궁금하지만, 확인은 단기금리가 상승한 연후에나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국내은행 연체율 - 20130702


http://www.fss.or.kr/fss/kr/promo/bodobbs_view.jsp?seqno=16901&no=9767&s_title=&s_kind=&page=1


전체 데이타를 제공하는 곳이 없어서 e-나라지표, 한국은행, 금감원 자료를 뜯어와서 붙인 것이라 중간에 빵꾸가 있는 것은 어쩔 수 없다.

기업대출의 연체율은 문제가 아니다.
가계 대출 연체율은 1.04%이지만, 집단대출을 제외하면 0.45% 이다.
언론에 보도되는 것처럼 전체 대출 연체율도 문제가 되는 수준이 아니고, 정체된 상태이다.

집값하락으로 인해 중도금, 잔금 납부가 지연되고 집단소송에 걸려있는 집단대출이 정리되는 순간 연체율이 급격하게 낮아질 가능성이 있다. 물론 집값이 상승해도 해소되겠지만, 기대하는 사람들은 없는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