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2014년 5월 19일 월요일

롱숏펀드의 어정쩡한 수익율과 투자 환경 변화



코스피 2000 돌파에 롱숏펀드는 '울쌍'…왜?
mode=LSD&mid=sec&sid1=101&oid=015&aid=0003085419

기사에 나온 롱숏펀드의 1년 수익율이 전부 5%를 못 넘어서 어떤지 몇개만 비교해 봤다.




트러스톤다이나믹코리아50증권자투자신탁[주식혼합] A
마이다스거북이90증권자투자신탁 1(주식)A
한화스마트알파증권자투자신탁[채권혼합]종류C
kospi200


절대 수익율을 추구한다는데 예금이나 채권대비 1% 이상의 초과수익율을 못 넘는다면 수수료를 1-2%씩 부담해야할 이유가 없는 듯하다.
반은 적금, 반은 적립식 인덱스펀드에 넣으면 저런 롱숏펀드보다 못할 이유가 별로 없어 보인다.


날아가는 펀드, 헉헉대는 운용보고서
http://joongang.joins.com/article/aid/2014/05/14/14253685.html?cloc=olink|article|default

[증시바꾼 한국형 헤지펀드]① 헤지펀드가 만들어낸 새로운 문화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5/14/2014051400595.html

‘자금 밀물’ 롱쇼트펀드 투자 ‘경계경보’
http://www.econovill.com/archives/186251


한국의 헤지펀드, 롱숏펀드가 투자 대상으로 쓸모가 있는지 알 길이 없지만, 시장에 변화를 가져온 것은 사실인 모양이다.

매수 보고서만 넘쳐 나는 시장에서 매도에 대한 의견이 나올 여지가 늘었고, 고평가된 기업이 제자리를 찾아가는 시간이 단축될 수도 있다. 여기에 CJ E&M 사건 이후 대기업들의 실적이 미리 누출될 가능성이 줄어서 대기업에 투자할 여건은 과거보다 좋아졌다.






Taylor rule 20140519


미국 기준 금리를 Taylor rule이나 Evans rule 등으로 결정하는 시절이 있었다고 그런다.
그런나 더 이상은 아니다.
그냥 FRB 마음대로라고 봐야 하는데, 그래도 실업율, GDP 비중의 증가를 피하기는 어렵다.


처음에는 저렇게 지난 10여년을 시뮬레이션했었다.
과거를 잘 맞추려면 숫자를 많이 바꿔야 한다.



2000년 전후부터 그냥 실업율 하나만으로 깔끔하게 따라갈 수 있었고, 적어도 최근까지는 벗어났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이제는 전혀 알 수없다.
과거의 기준대로면 이미 금리 상승이 시작되었어야 한다.

그러니 금리가 일단 상승하기 시작해야 어떤 것이 그들 머릿 속에서 가장 중요한 것인지 짐작할 수 있다.
그 때까지는 적어도 1년의 시간이 있다고 하니 갑자기 세상이 망하는 듯한 상황이 발생해도 위기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us economic cycle 20140519 - where is bubble





nominal



real


걱정이 없어서 걱정이다.


---------------

미국주식이 거품이라는 얘기가 나온지 2년은 되어가는 듯하다.
왜 안 내릴까?

최근에는 거품지표로 가장 각광을 받던 쉴러 교수의 CAPE가 회계관련상의 관행, 법률 변화등의 이유로 순익을 다르게 반영하기 때문에 it 거품때까지의 신통력을 상실했다는 얘기도 있고, 미국 기업의 순익에서 미국이외 지역의 순익이 차지하는 비중이 계속 상승해서 그렇다고도 하고, 워낙 거품은 특별한 이유없이 말도 안되게 커지는 것이 정상적이니 기다리면 뻥 터질 것이라고도 한다.

어떤 사람들은 전체 시장에는 거품이 없거나 크지 않지만, 일부 인터넷, 소셜 관련 기업, 테슬라 같은 신기술관련 기업, 바이오같은 인구구조 변화 관련 기업 등 초장기 추세 (secular trend)의 변화 관련 기업에만 거품이 존재한다고도 한다. 소위 합리적인 거품일 수도 있고, 그러면 거품은 경기가 완전히 침체로 돌아설 때까지는 유지될 것이라고도 한다.

이전의 거품을 새로운 거품으로 극복하는 것이 자본주의 장기싸이클의 본질이라고도 하고, 그것이 석학들이 주장했던 창조적 파괴, 파괴적 혁신 등의 다른 면이라고도 한다. 탐욕, 공포도 인간의 정상적, 일상적인 감정이라고 보면 아무리 극단적인 거품도 싸이클의 윗쪽을 특별히 지칭하는 것에 불과한 것일 수도 있고, 대국적으로 거품이라는 것이 존재한지 않는다는 파머같은 사람들의 주장도 납득하지 못할 것은 아니다.

그런데 3자 입장에서야 거품을 가지고 신선놀음을 할 수 있지만, 베팅을 하는 사람 입장에서는 좀 더 실제적인 기준이 필요하다. 자산배분이 투자의 기본원칙이니 그냥 자산군마다 일정비율을 넣어두고 놀러다닐 수 있으면 행복하지만, 수익율을 깎아 먹을 가능성이 높은 것들을 빼야하는 사람도 있다. 좋기는 수익율을 높일 것들의 비중을 높이는 것이지만, 그것은 더 힘든 일이다.

그래서 주식과 채권과 기타 자산을 서로 비교할 때 가장 중요한 점이 무엇일까?
시기적으로 다를 수 있다면 지금 가장 중요한 점이 무엇일까?

채권 금리가 낮다. 자본주의 혹은 미국 역사에서 최저.
디플레이션의 우려가 존재한다. 대공황 이후 가장 크다고.
G2 시대.
유럽, 일본의 사투.

이상은 secular trend와 관련이 높은 것들이다. 금융위기 시 동기화되었던 세계 각국의 경기 싸이클은 지금 국가별로 달라져서 금융위기 후 가장 먼저 회복한 중화권은 부동산거품붕괴, 성장둔화의 가능성을 앞에 두고 있고, 나머지 국가들은 미국, 유럽, 일본 순으로 회복하고 있다. 신흥국 간의 차이도 커져서 브릭스, 프론티어 등으로 묶는 것의 의미는 갈수록 퇴색하고 있다.

아무리 머리를 짜봐도 지금은 전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채권이 가장 비싸기 때문에 주가가 높으니 낮으니 해봐야 다 부질없는 소리라는 생각이다. 정치적 불안, 경제적 불안, 부동산 거품, 전세계 선진국의 노령화, 뉴노말에 뉴뉴트럴 드립, 별소리를 해도 상식적으로 말도 안되게 비싼 것을 하나 고르면 채권이다.

내 눈에는 미국채가 아마존, 페이스북, 트위터보다 비싸다.
미국채에 비하면 애플, 구글, 마이크로소프트는 엄청 싸다.




거래대금 20140519







kospi 변화율이 거래대금(거래량x가격)에 비례, 시장크기에 반비례한다고 가정.
변화율은 6개월전과 비교시 1년전, 1분기전과 비교하는 것보다 관련성 높다.
hts에서 월 macd 6,7,1 = 1/7 (E6-a0)로 보면 질적으로 비슷한 그림. 임의로 조정 가능. (3,4,1) (12,13,1 ) 등.



주식형 펀드 증감 20140519



주식형 펀드 증감 20131202





http://freesis.kofia.or.kr/   펀드/기간자금유출입

http://www.kofia.or.kr/npboard/m_51/list.do


다시 2000.
펀드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더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