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2015년 11월 24일 화요일

high yield spreads, unemployment, federal funds rate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9/prepare-for-super-won-1.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9/prepare-for-super-won-2-default-vs-high.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10/prepare-for-super-won-3-term-spread.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10/prepare-for-super-won-4-korea-is.html

high yield spread를 충분히 길게 보려면 baa-aaa를 보면된다.
(메릴린치의 스프레드는 단기자료로서는 의미가 있다.)

이것과 실업률을 비교하면 아래와 같다.



오랫동안 그럴듯하게 동행한다.

그런데 주목할 사항이 있다.

1) 실업률은 전형적인 후행지수이다.
2) 위의 실업률은 전년동월과의 차이를 보인 것이다.

미국의 침체기와 비교하면 실업률의 변화와 하이일드 스프레드의 변화를 가지고 경기를 예측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침체 이전에 상승하기 시작해도 노이즈로 판명될 수 있다는 것이다.

다른 가능성은 미국이 완전고용에 도달한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임에도 이미 침체기에 진입해서 상당기간 경과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럴리가 없다.
만약 그렇다면 누군가 교과서를 다시 쓸게 될 것이다.





실업률을 그대로 표시하면 1990년 이후 하이일드 스프레드에 더 후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적어도 지금은 실업률보다 실업률전년차가 유용하다는 점이 명확하다.




연준이 12월에 기준금리를 올리면 그게 하이일드스프레드와 어떤 관련이 있게 되나?
하이일드 스프레드가 더 증가해서 그대로 침체를 확정짓게 되나?

그보다는 이전처럼 금리인상-경기침체-하이일드스프레드확대의 과정이 2-3년에 걸쳐 발생할 것으로 본다.
만약 금리인상의 속도가 과거의 비교할 수 없게 느리다면 위 그림이 커버하는 1950년 이후의 기간은 미래에 대한 힌트가 되기 어렵다.
대신 아래 그림을 다시보는 보는 것이 낫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11/term-spread-since-1919.html


결론.
하이일드스프레드는 미래가 아니라 과거를 보여준다.
그러니 그저 가끔 들여다보는 것으로 충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