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2016년 5월 23일 월요일

yen vs balance of trade


최근의 엔화 강세가 안전자산 선호일수도 있다.
금값도, 미국채도 강세였으니 묶어서 그렇게 볼만도 하다.

그러나 외환수급을 나타내는 국제수지의 변화를 보면, 적어도 사후에 그럴만도 하다는 판단을 할 정도의 관계를 무역수지, 경상수지와 보여주고 있다.
만약 무역수지가 지속적으로 흑자기조를 유지한다면 엔화강세는 상당기간, 상당수준 유지될 수 있다.



무역수지 적자는 2011년 후쿠시마원전사태 이후 에너지 수입증가로 심화되었다.
아베가 나타나기 전에도 전 골드만 삭스 회장 짐 오닐등의 사람들은 엔화약세를 피하기 어렵다고 봤고, 대부분은 떠중이들은 달러당 70엔대의 엔화 초강세에도 불구하고, 끝없는 일본의 디플레이션, 끝없는 전세계의 안전자산 선호로 인해 끝없는 엔화 강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예측을 했다.

그러나 이후의 엔화약세는 아베나 다른 누가 정권을 잡아 무슨 짓을 해도 피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물론 속도, 강도에는 차이가 있었을 수도 있다.

그렇게 만 3년이 넘은 시간이 지나서 수출이 회복되고 (수출 회복은 수입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렇다는 것이다) 무역수지가 적자에서 벗어나는 신호가 보이더니 이제는 금융위기 이전수준의 흑자를 회복했다. 기름값이 안정되면 일본의 수출도 한국처럼 증가하는 신호를 보이게 될 것이다.

이렇게 시차를 두고 나타나는 효과를 j커브라는 표현을 쓰는 모양인데, 정책의 효과가 초기에 반대로 나타나다가 나중에 원하는 방향으로 나타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이런 저런 그럴듯한 이유를 붙이지만 대개 사족이다. 일본같은 선진국도 환율과 국제수지 간에 피드백을 보이는 것이 당연하다.

이렇게 수출이 회복되고 달러가 유입되는 상황에서 통화강세 압력이 발생하는 것은 당연하다.
실제로 통화강세가 나타나는 것은 수지면에서만 봐도 고려사항이 더 많다.



해외자산이 많은 일본의 경상수지가 일시적인 적자에서 벗어나는 것은 무역수지보다 훨씬 빨리 진행되었다.

그런데 최근 이 경상수지가 다시 급증을 하고 있다.
지속될 것인가?
모른다.
국내외 선수 중에 누군가가 대답할 것으로 기대한다.


data source:
https://www.mof.go.jp/english/international_policy/reference/balance_of_payments/ebpnet.htm


계절조정을 하지 않은 수치라서 노이즈가 많지만, 일본의 금융계정도 경상수지와 거의 정확하게 대칭이다. 한국과 다르지 않다.

과거 확인한 것처럼 일본 외환보유고의 변동도 한국처럼 환율과 관련성이 매우 높다.
현재 일본 정부의 개입도 스무딩 이상이 아닐 가능성이 있다.

이상의 조건을 고려하면 금융계정이 부여하는 높은 노이즈는 전적으로 무시하고, 무역수지, 경상수지만 가지고 환율을 이해해도 충분하다. 설령 이해가 안되더라도 금융계정을 봐서 얻을 정보보다 노이즈가 많다는 것이다.


엔화의 약세가 과거 아베노믹스의 핵심일 수 있다.
실제 개입을 하든 뻥카를 날리든 금리조절, 양적질적완화를 하든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면 동원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현재와 같은 무역수지, 경상수지 상황에서는 환율이 아니라 다른 무기를 동원하기 쉽다.


엔화의 강세가 당분간 변수가 아니라 상수라고 놓을 수 있다면, 세상을 보기가 조금 쉬워진다.
왜?
한국의 일부 기업들이 중국에서 죽을 쑤더라도 일본과의 경쟁에서 유리해질 수 있기 때문에.

그렇다고 갑자기 일본기업의 수출이 위축되고 한국기업의 수출이 급증하는 일은 생기는 어려울 것이다.
왜?
j커브현상이라고 경제학자들이 나중에 설명할 수 있을 것이다.

이유가 뭐든 변화에는 시간이 필요하지만, 이미 변화의 시작은 나타난 셈이다.




면세점은 화장품가게


호텔롯데의 상장으로 인해 롯데면세점 매출구성이 일부 공개되었다.


연도 매출 화장품비중 화장품매출 비화장품비중 비화장품매출
2013 31,640 32.4 10,251 67.6 21,389
2014 39,494 38.3 15,126 61.7 24,368
2015 43,240 48.5 20,971 51.5 22,269
2016q1 13,304 59.9 7,969 40.1 5,335



세월호, 메르스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매출이 증가하는 동안 기타품목의 매출은 제자리였지만, 메르스로 인해 감소한 매출을 1/6정도로 보면 2015년 기타품목도 성장했을 수 있다.




1분기에 화장품 비중이 급증한 것이 드라마의 영향일 가능성은 수출이나 소매판매에 대한 영향이 언론에서 과장된 것처럼 크지 않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5/cosmetics-retail-sales-20160507.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5/cosmetics-export-hong-kong-no-1.html


면세점 전체 매출과 비교할 숫자를 얻을 수 없으니 알려진 두 업체의 숫자와 비교해본다.

국내면세점 매출보다 화장품 업체의 면세점 매출(국외 일부 매출은 몇%정도라니 무시) 증가율이 높다.


비율을 구해보면 두 회사의 비중이 23%로 2년 전과 비해 3배에 가깝다.
롯데 면세점이 국내 면세점의 반을 차지한다고 보면 롯데 면세점의 화장품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율도 비슷한 것으로 가정할 수 있다.
국내 국외의 모든 화장품 업체들을 포함하는 비율이 전체 면세매출에서도 60%라고 하면, 두 회사가 23%, 나머지 국내 국외업체가 37%.

2년 동안 분기별 면세점 매출 증가액 1조 171억.
두업체의 면세점 매출 증가액 4751억.
비중은 23%이지만, 성장에 대한 기여도는 47%이다.

한국의 면세점은 중국인의 화장품가게라고 할 수 있다.

(국내 면세점 분기매출은 짜깁기를 한 것이라 15년1월 이전 수치는 몇 % 이내의 오차 포함).



출입국 20160523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4/20160422.html 출입국 20160422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3/20160322.html 입국자 20160322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3/20160301.html 입국자 20160301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3/exchange-rate-vs-tourism-japan.html



한국 입국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메르스 효과는 거의 사라진 것으로 보이고, 기저효과를 성수기에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의 폭발적인 성장세는 둔화되었으나, 여전히 증가하고 있다.



일본 입국자가 두달째 전년 대비 증가하고 있고, 두 나라를 제외한 아시아 국가의 입국자도 증가하고 있다.

시시한가?



입국자 전년차를 비교하면 중국, 일본, 기타 아시아가 비슷하다.
어느 쪽이 잘 나가면 코가 꿰인다고 불안에 떠는 일부 한국사람들이 좋아할만한 균형을 맞추고 있다.
삼자정립?



아시아 관광 대박은 중국인들의 폭발적인 관광수요 증가에서 비롯되었다.
홍콩, 마카오, 태국의 비중의 높지만 성격이 다르니 그나마 비슷한 나라 한국, 일본을 비교하면 아직은 어느 쪽이 월등히 우세하지 않다.
합쳐보면 13-15년의 폭발적인 추세는 사라졌으나, 여전히 명백하게 증가하고 있다.




일본 입국자도 한국처럼 동양인이 대부분이다.
중국뿐 아니라 한국, 대만 등의 기타 국가에서도 입국자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그래도 4월에 관광 수입이 줄었다고 한다.
이 수요에 대비하기 위한 투자는 두 나라 공히 증가하고 있고, 숙박등의 제도까지 바꾸려하고 있으니 중국인들의 관광소비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 향후에는 한국, 일본 공히 중국바라기가 될 소지가 없지 않다.



전체적으로는 여전히 일본의 입국자 증가추세가 압도적이다.
한국은 메르스에 의한 타격, 일본의 엔화약세의 영향을 받고 있다.
11년 후쿠시마 사고와 중국인의 반일 심리가 반한 심리보다 컸던 상황에서 회복하는 것도 기여하고 있을 것이다.

그래봐야 성수기는 여름이고 한국은 계절성이 더 크기 때문에 진짜 승부는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




환율의 효과가 많네 적네 해도 없다고 할 수 없고, 나타나고 있다.
한국과 일본의 상대적인 입출국을 비교해보면 좀 더 명확해진다.

일본인의 한국 입국이 두달째 증가하고 있다.
예전에 일본에서 막노동을 해도 한국에 와서 최고급 호텔에서 기생관광을 할만했다고 하는데, 아직 중저가 호텔을 선호하는 중국인들보다 고급호텔 이용이 여전히 더 많다고 한다.
몇년째 적자에 허덕이는 호텔들의 상황이 바뀔지 지켜볼 만 하다.



한국 입국자, 출국자를 비교하면 일정하게 비례한다.
그러나 14년부터 출국자가 좀 더 많다.
이것도 성수기가 지나면 추세를 확실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입출국자는 직선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항공, 공항에 대한 수요를 늘리고 있다.
여기서도 누군가는 돈을 벌 것이다.




對중국 수출 언제 회복되는가? - kita


kita의 며칠 전 보고서.
짧지만, 업계 내부의 의견을 담고 있다.
경제학자나 애널들의 얘기가 아니라서 더 참고 할만하다.

그런데 정부 발표에 따르면 5월에 수출이 증가할 수도 있다고 한다.
최종 수치로 조금 내리든 진짜 오르든 중요한 것은 하락 추세에서 확실히 벗어나는 것.

미국, 중국의 물가가 오르고 한국도 수출 회복에 경상수지 대박이 지속된다면 한은이 돈 풀고 금리내리고 싶지 않을 것 같다.
거기에 미국이 금리 올린다고 전세계가 이 난리를 치는데...



對중국 수출 언제 회복되는가?


우리나라의 對중국 수출은 2010년 이후 계속 감소세로 올해 1~4월에도 전년동기대비 16.4% 감소했다. 수출기업(395개사)은 지금의 대중 수출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중국 제조업 경기 하락과 저유가 외에도 바이어의 단가인하 요구와 중국제품의 품질경쟁력 향상을 꼽았다. 동시에 우리기업은 對中 수출 회복시점을 금년 30.6%, 내년26.8%로 응답하여 우리의 대중수출은 점진적으로 회복될 기미가 보인다. 수출회복에 대한 기대감은 소비재(40.9%)가 원부자재 수출기업(25.1%)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내륙 중소도시로 소비재를 수출하는 기업의 50.0%가 금년 중 수출이 회복된다고 응답하여 대도시로 수출하는 기업(35.8%)을 상회했다. 중국기업과의 경쟁도 소비재가 원부자재보다, 내륙 중소도시가 대도시보다 덜 심한 것으로 나타나, 對중국 수출의 조기회복을 위해서는 중국 소비패턴 변화를 잘 활용해 내륙 중소도시로의 소비재 수출 확대 노력이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



한국 경제의 수출의존, 달러중독, 중국/중화권의 수출 비중을 고려하면 중국에 대한 수출 회복은 한국 경제의 회복에 결정적이다.

중국수출 부진의 이유로 가격경쟁력, 품질경쟁력이 각각 25%를 차지할만큼 중요하다니, 누구와 경쟁하는지도 당연히 중요할 것이다.




전체로 보면 중국 >>> 아세안 > 한국, 일본 > eu, 미국 순이다.

이 보고서에서 따로 언급하지도 않지만 매우 두드러지는 산업이 있다.
선박에서 한국을 경쟁기업으로 응답한 비율이 일본과 함께 40%로 가장 높다.

품질과 가격의 경쟁력에서 한국과 일본의 기업이 가장 문제라는 것이다.
12년 이후 엔저의 수혜를 본 일본조선업체와의 가격 경쟁은 납득할 수 있다.

그런데 수십조의 천문학적인 부채 부담을 지고 있는 한국의 업체들이 여전히 서로에게 최대의 경쟁상대라고 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다.
반면 중국정부의 전적인 후원을 받는다는 중국업체들은 중요한 경쟁상대가 아니다.

그런데 이 사람들 중 40%가 언제 대중국 수출이 회복될 것이냐는 질문에 다시 회복되기 어렵다고 답했다. (전체 품목 중 두번째로 높다)
다른 분야에서는 수출이 올해 내년에 회복될 것으로 보는 대답이 50%가 넘는 상황에서도 그렇다는 것이다.
천문학적인 부실을 안고, 회복되기 어려운 수출을 하기 위해, 중국에서 한국업체들끼리 박터지는 경쟁을 하고 있는 것이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10/shipbuilding-cycle.html

http://www.lloydslist.com/ll/sector/ship-operations/article461048.ece




대략 30-35년의 주기를 보이고, 원자재 가격이나 실질금리의 30년 주기와 부합.
바닥은 2020년대 중반정도 추정.

한국에서 구조조정에 임하는 사람들은 여전히 2-3년 버티면 업황이 개선된다는데 주로 세금을 포함하는 남의 돈을 나눠먹는 처지라서 저런 소리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클린디젤 - from icct blog



http://www.theicct.org/blogs/staff/2015-global-electric-vehicle-trends







"Growth of EV sales in some of these markets is impressive, but that growth should not obscure some challenges, both new and old. For example, in China, the number of EVs registered by owners is less than reported EV sales. Fortunately, China has already started to investigate the issue, which will hopefully prevent this type of cheating in the future."

중국에서 다른 모든 나라에서 팔리는 차보다 더 많은 전기차가 팔린다.
그런데 팔리는 차보다 등록된 차가 더 많아서 당국이 조사를 시작했다고 한다.
여러모로 대단한 나라다.



http://www.theicct.org/blogs/staff/defeat-device-testing-eu-so-far-not-so-good

Conclusively determining whether or not a vehicle has a defeat device to circumvent emissions tests is difficult. Really difficult. That is because a defeat device, as defined in EU regulation, is:   

디젤 차가 조작 장치를 달고 있는지 결정하는 것은 매우 어렵다. 그 이유는...



내 생각으로는 디젤차가 싸게 규제 기준을 만족시킬 수 없다는 것을 제조자들도 규제하는 자들도  썩은 공기를 마시는 사람들도 알기 때문이다.



http://www.theicct.org/costs-emission-reduction-tech-hdvs

In the final regulatory stage considered, Euro VI and US 2010, the two regions are again well aligned in fuel sulfur levels, emissions limits, and technology pathways. While the interim regulatory steps and their incremental costs differ, the cumulative costs for compliance with Euro VI or US 2010 (compared to Euro II or US 1994) are the same: $6,937 (in inflation-adjusted 2015 dollars). 


약 800만원 이상을 들이면 디젤차들이 미국, 유럽의 현재 규제기준을 맞출 수 있다.





http://www.theicct.org/blogs/staff/emissions-test-defeat-device-problem-europe-not-about-vw

chart, UK test results


"Those results are not pretty. If anything, emissions during on-road tests (outside the test lab and not using the official type-approval test cycle) were higher than we, and others, had found, especially on older (Euro 5) vehicles."
몇 가지 모델을 제외하면 환경기준을 통과하지 못한다.
"Whether you accept or reject the manufacturers’ arguments, in practice we should all be able to agree that we should end these disputes about defeat devices by forbidding them more clearly and explicitly in the EU regulation."

기술자들의 여러 주장에도 불구하고, 조작 장치를 금지하는 것으로 논란을 끝낼 수 있다.
bmw 등의 일부 모델이 기준을 만족시키는 것을 보면 비용을 들이면 통과할 수 있다는 것.



-------------
국가별 휘발유, 디젤 가격 추이http://runmoneyrun.blogspot.kr/2015/12/blog-post_85.html

디젤 전성시대의 끝?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9/blog-post_23.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9/volkswagen-dirty-diesel.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