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2016년 8월 15일 월요일

youngone 2Q2016


재고가 증가하는 만큼 매출, 영업이익이 증가하지 않는다.
언제 정상상태에 도달할지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1/youngone-corporation.html


영업이익을 제외하면 매출, 원가, 총이익, 판관비 모두 증가하고 있다.



매출의 프록시라고 모든 애널들이 주목하는 1분기 전 재고의 유용성이 떨어지는 것이 확연하다.
왜 이렇게 되었을까?
1) 상품재고와 관련된 브랜드 매출과 이익이 아직 정상화되지 않았다.
2) oem재고에서 발생하는 매출, 이익이 감소하고 있다. 같은 매출과 이익을 내기 위해 더 높은 재고를 유지해야 한다는 것.



상품을 제외한 재고와 oem 매출을 비교.
1분기 재고라면 2분기 매출이 7000억 가까이 나와야 하지만, 6555억.

2분기 재고라면 3분기 매출이 얼마나 나와야 할까?
과거 기준으로 7800억.
실망스런 2분기 기준으로 7300억.

매출보다 더 문제는 이익.




영업이익이 12년 고점을 넘지 않는다.
oem만 보면 재고대비 이익의 수준이 과거의 70% 이하.
3분기에는 어떨지 예상하는 것이 무의미.
일단 지나봐야 알 듯.





다 모아보면 11년 수준의 이익을 유지하기 위해 몸집이 2배로 커진 셈.
지속되는 이익률의 저하를 피하기 어려운 듯.

영원이 자전거 회사를 인수한 것이 한세가 mk트렌드를 인수한 것과 비슷한 시도이나 어느 쪽이 성과를 낼지 알 수 없는 일.
영원이 싸다는 점은 부인하기 어렵다.







원달러, 환헤지 프리미엄, 해외투자 20160815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8/super-won-again.html



최근의 원화강세의 원인에 대해 이런 얘기들이 많은 듯하다.
원화가 위험자산의 대표격이라서 높아진 전세계 유동성의 혜택을 보고 있다고도 한다.
반대로 국가신용등급 상승 등에 반영된 것처럼 한국경제, 원화의 안정성이 높아져서 강세이고, 그것이 다른 신흥국 통화들보다 더 강세를 보이는 이유라고도 한다.

금융시장에서 안전, 위험을 구분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안전자산의 대표라고 할 수 있는 금, 달러, 엔화, 미국채에 대한 평가가 전문가들마다 얼마나 다른지 비교해보면 명확하다.
낮은 변동성, 인플레이션이나 디플레이션에 대한 헤지같은 것들이 중요한 요인이지만 장소와 시기와 기간에 따라 전혀 다른 결과를 보게 된다.
채권의 미래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blog-post_12.html
한국사람이 미국채에 투자하면 지난 30년 동안 적어도 2번 이상 큰 위험을 피하면서 일생 일대의 기회를 잡을 수 있었다.
구관이 명관이고, 중간만 가면 최선이라는 관점에서 저런 것들이 향후에도 안전자산일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나는 장기간에 걸쳐 최고의 위험자산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최근 원화의 강세가 진행중이지만, 1100원 정도의 가격이라면 달러를 저점매수할 기회로 보는 시각들이 있다.
달러 리보금리나 ted스프레드의 상승이 달러 경색을 반영하고, 올 해 안에 미국에서 금리를 올리면 이런 상황이 더 심화될 수 있다고도 한다.

http://news1.kr/articles/?2745614
http://www.businessinsider.com/finance-crisis-warnings-sign-flashing-again-libor-2016-8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5/libor-federal-funds-rate-treasury.html


기왕에 진행된 해외투자에 대한 헤지를 유지할지 말지에 대한 문제라면 헤지비용이 중요할 것이고 헤지비용이 증가하고 있다면 고려할 사항이 많을 것이다. 헤지를 통해 얻는 이익이 감소하고 있어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FX 스와프 1년물도 마이너스 임박…여파는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3546

달러에 대한 헤지비용은 이미 많이 증가했다.

j-reits 환헤지 프리미엄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4/j-reits.html

3월에 엔화에 대한 환헤지 프리미엄 덕분에 펀드수익률이 방어되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그것을 노리고 제로금리의 일본 국채에 투자하는 선수들이 존재한다는 것도 알았다.

은행 딜링룸, 日마이너스 금리 시대 투자법 '열공'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238793

그러나 몇개월 사이 환헤지 프리미엄이 감소하면서 일본 국채, 프랑스 국채에 대한 투자도 메리트가 거의 없다고 한다.

해외국채 판매 규제완화, 무용지물되나
http://www.thebell.co.kr/front/free/contents/news/article_view.asp?key=201607250100045580002748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 발행 국채의 쿠폰금리가 낮아야 하고 환헤지 프리미엄을 얻을 수 있는 스왑 시장 여건이 형성돼 있어야 한다. 글로벌 저금리 시대에 A 등급 이상 국가가 발행하는 국채의 금리가 워낙 낮아(일부는 쿠폰금리 제로) 환헤지와 세제 혜택을 등에 업지 않고서는 해당 국채 투자의 메리트가 사실상 없기 때문이다.

만약 선진국들의 금리가 더 낮아지기 어렵고, 한국의 금리는 한 두번 더 낮아질 수 있다면 환헤지 프리미엄이 어떻게 변할까?

현재 우리나라 금리가 선진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지만 향후 한국은행의 추가적인 금리 인하 가능성이 있어 금리 격차가 더 줄어들 수 있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금리격차가 환헤지 프리미엄을 결정하는 주된 변수가 되기 때문에 해외 국채 투자 수익률은 더 떨어지게 된다.

같은 기사의 환헤지 프리미엄에 대한 언급이다.
향후 해외투자시 환헤지 비용이 더 커진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것이 달러 경색과 관련이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미국의 금리인상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해외투자와 환율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자.

금융위기 대비 혹은 분산투자의 목적으로 달러, 금, 해외투자는 적당한 비율로 필요할 수 있다.
그런데 일단 헤지를 하려고 하면 그 비용은 과거보다 높아질 것이다.
미국, 일본, 유럽의 안전자산 등속에 투자해서 환헤지 프리미엄을 먹는 방식의 투자는 아예 사라질 수 있다.

그러면 결국 환율 자체의 방향이 해외 투자성과에 가장 중요한 시절이 오게 될 것이다.
사실 벌써 온 것 같기도 하다.



원화의 미래는?

환율1 - 경상수지, 외환보유액, 물가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1.html
환율2 - 파운드와 외환보유액 평가액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2_20.html
환율3 - 금리차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3.html


경상수지 증가에도 불구하고 자본금융계정을 통한 유출이 외환보유액의 증가를 막고 있었다.
외환보유액이 증가하면서 지난 2년간 두드러졌던 환율과 물가, 환율과 금리차, 환율과 국제수지오차의 괴리는 줄어들고 있다.
환율이 빠르게 1000원에서 1050원에 도달하면 괴리는 거의 사라진다.

그렇게 정상화 된 이후에는 또 다시 물가가 장기간에 걸쳐서 환율을 결정할 것이다.
또 외환보유액의 변화가 환율의 단기 변동과 밀접하게 동행하게 될 것이다.
한국에서 이 관계가 달라질 가능성은 당분간 전혀 없다.

단기적으로 물가는 한국보다 미국이 빨리 올라 갈 것으로 본다.
단기적으로 한국 경상수지가 급감할 이유를 찾기 어렵다.



요약
원화가 몇년 내에 달러당 900원대로 내려가서 오래 유지되어도 이상할 이유가 없다.
엔, 위안의 강세와 반드시 동반할 이유도 없다.
4년째 같은 소리라서 지겹기는 하지만 원화 초강세 전망을 바꿀 이유가 전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