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2017년 6월 17일 토요일

독일과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 us, germany term spread 20170617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6/term-spread-us-uk-germany-japan-etc.html

여러 선진국들에서 1960년대 이후 금리차의 순환이 나타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미국에서 금리차 순환은 경기 순환에 선행하기 때문에 다른 선진국에서도 유사한 관계를 추정할 수 있다.

그러나 1930년부터 1960년 전후까지 많은 나라에서 금리차 순환이 사라진 시기가 존재한다.


몇 나라를 겹쳐보면 위와 같다.
1930년부터 1960년대말까지 대부분의 금리차가 플러스를 유지한다.
물론 경기순환은 지속적으로 유지되었다.


1929년에 대공황이 발생한 이후 지속되는 장기 침체에서 벗어나기 위해 금본위제를 포기하기 시작한 나라들이 발생했고, 다양한 재정정책, 금융정책이 시행되었다. 그러나 그런 수단으로 수요감소, 공급과잉을 해소하지 못한 세계는 전쟁으로 출구를 찾았다.

미국 통화정책 정상화에 따른 출구전략 효과 및 시사점
http://www.kiep.go.kr/sub/view.do?bbsId=breifing&nttId=132

위 보고서에 대공황 이후 미국의 금융정책에 대해 자세히 정리되어 있다.


같은 보고서에서 미국이 양적완화를 시행한 것은 1933년에서 1936년까지였고, 만약 지속했으면 실선처럼 통화량이 증가했을 것이라고 한다.

만약 그렇게 미국과 전세계의 경제회복이 진행되었으면 2차대전이 발생하지 않았을까?
알 수 없다.
그러나 대공황 첫 3년처럼 통화량이 감소하거나 1936년처럼 중간에 회복의 불씨를 꺼버리는 일을 반복하지 않는 것이 금융위기 이후 연준의 중요한 목표중의 하나라는 것은 명확하다.

만약 지금 연준이 조급하게 금리를 올리고 양적긴축을 시작한 것이라면 1937년이 재현될까?
현재의 경제지표들이 37년보다 좋으리라는 것은 자세히 비교하지 않아도 알 수 있다.


금융정책으로 단기금리가 바닥에 붙어있어도 장기금리가 내려온다면 금리차 역전이 나타날 수 있다. 그러나 대공황이후 그런 일이 발생한 나라는 없다.

왜 대공황시기 시장은 장기금리를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시켰을까?
디플레이션이 -10%를 넘나드는 시절이니 인플레이션 기대는 고려대상이 아니다.
국가 신용에 대한 의심은 일부에서는 가능하지만, 미국, 캐나다, 영국은 상대적으로 유리했을 것이다.

금융위기 이후 미국에서 장기금리가 높게 유지되는 이유에 대해서는 명확하지 않지만, 적어도 일부는 모기지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6/decrease-of-t30-t10-spread.html
연준의 시장조작에 의해 장기금리가 하락했지만, 30년 모기지 금리는 조기상환권이라는 구조적인 차이점으로 인해 하락에 한계가 있고, 30년 모기지와 연계된 30년 국채금리도 10년물에 비해 금리하락이 적었다. 결국 금융위기 이후 진행된 양적완화로 인해 10년국채 금리가 모기지 시장이 따라갈 수 없는 정도까지 감소했고, 그로 인해 T30-T10의 스프레드는 금융위기 이전보다 높은 수준으로 유지되었다.

모기지 30년 금리는 중간에 상환하고 갈아탈 수 있기때문에 투자자나 대출자 입장에서는 그에 상응하는 위험만큼 가산금리가 붙게 된다. 국채 30년 금리는 하락에 한계가 있고, 국채 10년물과 금리차이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국채 10년도 단기 모기지와 연계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는 것을 피할 수 없다.

미국의 모기지 상환의무는 부동산압류로 끝이 난다고 한다.
만약 한국처럼 주택가격하락으로 깡통이 되어도 주택담보대출을 전부 상환해야 한다면 장기금리는 더 낮아질 수 있을 것이다.
유럽의 모기지가 어떻게 운영되는지는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미국의 장기금리가 하락하는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유럽이나 일본에서는 장기금리도 거의 제로금리 수준으로 내려왔다.

그럼 최근의 장단기 금리차는?


역전되지는 않았다. 그러나 거의 0에 근접했다가 회복하는 중이다.




몇 개 선진국의 장단기 금리차이다.
미국, 영국, 캐나다가 한 그룹이다.
독일, 프랑스, 네덜란드가 한 그룹이다.




미국과 독일은 두 집단을 대표한다고 볼 수 있다.

미국과 유럽은 2014-2016년 사이에 발생한 유가급락과 제조업둔화의 충격을 똑같이 받았다.
그러나 장단기금리차에는 명확한 차이가 발생했다.

만약 미국의 장기금리 하락이 제한적인 상황에서 장단기 금리차의 하락도 제한된 것이라면 독일의 장단기금리차는 (확인하지 못한 이유로) 그러한 제한이 없는 조건에서 거의 0수준에 접근했었다.


요약
1)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의 선행지표로서의 유용성은 의심할 이유가 충분하다.
2) 독일의 장단기 금리차는 1980년대 이후 미국에 후행했다.
3) 금융위기 이후 경기순환은 여전히 미국이 독일에 선행하지만 장단기 금리차로 포착할 수 없다.



남은 문제들
0) 독일이 (제조업)침체에서 벗어나고 있는 것일까?
1) 미국과 독일의 단기금리차가 향후에도 경기에 선행할까? 독일은 그럴 수도, 미국은 글쎄.
2) 장단기금리차가 높게 유지되는 현상은 일반적으로 양적완화, 통화량 증가와 관련이 있을까?
3) 일본에서 90년대 이후 장단기 금리차가 높게 유지된 것은 자체만으로는 효과가 없었을까? 실질금리!
4) 영국은 2차대전 이전에는 유럽에, 이후에는 미국에 동기화되어 있었다. 무역? 금융?
5) 대공황 이전 미국 단기금리의 높은 변동성 vs 일본의 초월적으로 높은 단기 금리. 체제의 차이?
6) 대공황 이전 금리차 순환이 존재하던 시기와 1970년 이후의 유사점?



term spread - us, uk, germany, japan etc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5/us-interest-rate-20170512.html



미국의 장단기금리차는 1960년대 이후 가장 확실한 경기선행지표였다.
장단기금리차의 역전이 나타나면 2-3년 이내에 예외없이 미국과 전세계의 침체가 나타났다.

왜 역전이 나타나는가?
단기금리가 경기 후반에 상승하기 때문이다.

왜 단기금리가 상승하는가?
후반에 나타나는 경기과열과 더불어 물가상승, 자산가격상승이 나타나기 때문에 연준이 기준 금리 인상을 포함한 금융긴축을 진행하기 때문이다.

경기후반 장기금리의 하락이 역전의 원인이 아닌가?
장기 데이타를 보지 않거나 무시하는 자들의 착각이다.
경기 후반 장기금리도 대개 상승하고, 하락해도 폭은 단기금리상승과 비교할 수준이 아니다.
금리가 상승하는 30년에는 장단기금리가 공히 상승하면서 금리차역전이 나타나고, 금리가 하락하는 30년에는 경기후반 장기금리의 상승이 덜 명확할 뿐이다.

장단기금리 역전이 침체를 가져오는 이유는?
경기 후반에 기업은 자기자본이 아니라 부채를 이용한 투자를 늘리고, (생산자)물가가 높아지고 금리가 높아지면서 비용이 높아지고, 소득, 소비증가율이 정체되면서 매출증가가 둔화되고, 기업이익은 감소한다. 장단기금리차로 드러나는 금융긴축은 일부 침체의 원인으로 볼 수 있지만, 순환의 구성요소로 보는 것이 적절하다.


그러나

1930년부터 1960년까지 미국의 장단기금리차는 역전되지 않았다.
실업율, 산업생산, 소득, 주가 등으로 경기상황을 파악하는 것은 여전히 유효하지만 궁금하지 않을 수 없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6/short-term-rate-difference-germany-vs-us.html

미국과 독일의 단기 금리차가 미국을 넘어 전세계의 경기 순환에 대한 힌트를 주지만 일반적으로 어떤지는 확인해봐야 한다.
그래서 확인해봤다.

아래 국가들에 대한 장기, 단기금리의 출처는 http://www.macrohistory.net/
(장기금리는 대개 국채 10년물 전후를 썼겠지만, 단기금리는 다른 출처들과 차이가 있어서 필요하면 직접 확인해야)

장단기 금리차는 직접 계산.

결론은 대부분의 선진국에서 1930년부터 1967년까지 30년이 넘는 기간 장단기금리차의 역전이 나타나지 않는다는 것이다.
미국에서 1930년부터 60년까지 30년간 지속된 기간은 미국에만 특이한 현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일부 국가에서는 1920년대부터 1967년까지 매우 장기간에 걸쳐 역전이 나타나지 않는다.


1870년부터 1930년까지는 대부분의 나라에서 1970년대 이후와 비슷하게 주기적인 장단기금리차 역전을 보인다.

1930년부터 1967년까지 왜 금리차의 순환이 사라졌을까?
전세계가 케인즈의 영향을 받았을까?

앞으로 금리차역전이 또 사라질까?


미국
1930-1955
위 그림에서는 50년대에 금리차 역전이 나타나지만 연준자료로 판단하면 60년이나 67년으로 볼 수 있다.

독일
1920년대 하이퍼인플레이션부터 2차대전 직후까지는 자료의 연속성도 문제이고 총체적으로 판단 불가.

1970년까지 금리차 역전 실종.


영국
1930-1957

캐나다
1930? -1957

실제로 역전은 아니지만 미국과 비교해보면 그렇게 봐도 좋을 듯.


일본

19세기 중반 유신 이후 1930년까지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보다 지속적으로 높았던 듯.

러시아, 중국, 미국과 전쟁을 벌이고 아시아 대부분을 장악할 정도로 성장하는데 필요한 자본의 공급이 어떻게 이루어진 것일까?
국민들이 장기저금리로 예금하게 만들고, 단기고금리로 기업대출을 할 수 있었다면 가능할 듯.
(그러고 보면 중국에서 최근 벌어지는 금융행태도 비슷한 것 같기도)

30년대 대공황이후 선도적인 양적완화로 빠르게 경기회복을 가져왔다는 얘기들과 장단기금리차 확대는 무슨 관련이 있을까?

전체적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그림.
데이타 출처를 확인해봐야 믿을 수 있을 듯.


이탈리아
1930-1974
유럽 후진국, 이차대전 주축국
장기 금리 수준이 5% 이상으로 높고, 금리 변동도 높은 금리수준과 비교하면 낮다.
단기금리는 1960년대 후반까지 지속적으로 감소.
뭔가 특별한 상황이 의심스럽지만, 이탈리아국민의 채권투자비중이 다른 선진국대비 높다는 것말고는 아는 것이 전무.

스페인
유럽 후진국, 이차대전 주축국
스페인의 장기금리는 188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90년간 통제된 듯.
장기금리가 통제되는 나라에서 단기금리는 볼 필요도 없을 듯.

남유럽 국가에서 장단기금리차가 벌어진 시기가 호황일지는 확인 필요.


네덜란드
1930-1957
무역, 상업의 중심지?
영국, 독일과 비교할만.


스위스
1920-1969

이건 뭐냐?
스위스채권에 투자하면 단기로도 장기로도 세계대전이 터져도 망할 수가 없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