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2013년 3월 2일 토요일

스마트폰 산업에 대한 동부증권 보고서



스마트폰 부품 다음의 투자기회, 통신과 인터넷서비스
http://blog.naver.com/ehdwl2000/40182081903

존경하는 분들 중 자그마치 네 분(사***, 메*****, **주, ***숲)이나 이 보고서를 언급한다.
처음 읽고 두번째 읽었는데, 다시 봐도 훌륭하다.

대부분 관심이 있고, 이미 투자하고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몇 가지 사항에 대해 주관적인 의견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1. 애플 매도, 삼성 매수가 유효한가?
삼성전자는 둔화되고, 중국 로컬의 점유율은 빠르게 상승한다. 실적 발표를 전후로 it대형주를 트레이딩하라고 한다. 추가적으로 LG전자에 관심을 갖아라.

2. 모바일 부품주에서 차별화된 업체 찾기
베트남 진출 부품업체와 베트남etf에 관심을 가져라.
기왕에 도태되었던 2차, 3차 벤더로 물량이 넘칠 수 있다.

3. 스마트폰이 컴퓨터라면?
통신업체의 서비스 매출이 늘어난다.
인터넷 서비스 업체 google과 nhn에 주목하라.


대략 이런 스토리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마디로 만시지탄의 심정이다.
작년 10월에 비슷한 보고서를 냈다고 하나, 지금 어떨지는 두고 볼 일이다.

장기적으로 삼성전자와 google은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둘다 신고점을 돌파한 상태이다.
2년 쯤 후에 100%씩 오를 것이 눈에 보여도, 주가의 변동에 흔들리지 않고 잘 따라가려면 몇개월 전에 샀어야 한다.

그러나 일단 투자하려면 길게 봐야 한다.
특히 두리뭉술하게 얘기하지만 삼성전자의 가격에 대해 부담을 느끼니 단타를 권하는데, 100% 실패한다.  삼성전자의 미래가 그려지지 않으면 지금 사면 안된다.

디커플링 끝났다


이전에 삼성전자에 대해 많이 얘기했지만, 간단히 요약해보자.
2013년 얼마나 벌어들일 것인가?
아직 출시되지 않는 갤럭시 s4와 노트 3를 빼고는 추정이 의미가 없다.

세계 스마트폰판매 9억대
삼성 스마트폰판매 3억대
삼성 IM 영업이익 30조.
이것이 기본 가정이고, 더 팔든 덜 팔든 이 비율은 유지될 것으로 본다.
스마트폰 물량에 비례해서 매출, 이익이 늘어나는 것으로 본다.

경쟁심화, 중저가폰 비중 증가 등 여러가지 얘기를 하지만, 삼성, 애플이 파는 프리미엄폰시장의 비중이 중저가폰 시장보다 성장속도가 느려질 이유가 전혀 없다. 기타 폰 업체들 중 중국업체는 논외이고, 소니, 엘지, 노키아, 블랙베리, htc 중에서 어떤 폰이 고가 시장에 진입할지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또 그것이 시장을 늘릴지 제로섬이 될지 알기도 어렵다. 스마트폰 시장은 최소 20억대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면 아직은  성장의 둔화는 10억대가 넘어갈 2014년에나 발생할 수 있다.

삼성의 갤럭시 시리즈가 순식간에 망해버리는 것. 불가능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기업이 도태되는 과정도 3-4년 이상이 걸린다. htc는 시장 형성 초기에 작은 물량으로 메이저 역할을 했을 뿐이다.

삼성의 성장에 대해 납득하지 못하면 경기순환주로 봐야하고 사상최고가에 저per인 지금은 탈출해야 한다.
google에 대해서도 기본 논리는 마찬가지이다.
게다가 구글은 밸류에이션이 훨씬 더 높다.



LG전자는 지금도 싸고 가능성이 충만하다.
대한민국뿐 아니라 전세계의 대형 IT주 중에서 PSR이 0.3 이하인 기업을 찾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30 이상을 찾는 것이 더 쉽다.
그런데 LG전자는 삼성전자보다 명맥하게 열위에 있는 기업이다.
기업실적, 배당등의 주주정책, 유상증자, 전략적 선택 (3D 폰, 윈도폰, 웹OS) 등 할인받을 이유가 충분하다. 이것을 불식시키려면 비전과 실적과 주주정책이 모두 개선되어야 한다.
그래도 분기당 1000만대 이상 스마트폰을 팔고 영업이익율이 5% 수준으로만 올라가면 시장에서 보는 눈이 달라질 가능성이 있다.



모바일 부품주 중에서 베트남에 진출한 기업.
몇 개월간 최고의 주식이었으니, 이미 모르는 사람이 없다.
삼성전자의 예상 PER가 7-8인데 부품주의 PER 중 이보다 낮은 것이 별로 없다.
성장성에 대한 기대가 크고 충분히 반영되었다.
기업, 실적의 지속가능성이 낮은 만큼 할인하기보다 할증이 되어 있다.

베트남etf에 대해서는 석 달전에 투자했으면 적당했을 것이다.
http://blog.naver.com/abdcdbr/150152467290

한 마디로 베트남 관련 부품주, 베트남 etf는 선취매한 투자자들에게 박수를 쳐 줄 시점이다.
단기간에 3-4배까지 올랐으면 설령 10배가 될 것으로 보여도 남의 떡이다.



통신업체 KT, SKT, LGU+ 에 대한 투자.
배당수익율 외에 따져볼 다른 것이 별로 없다.
P와 Q에 대해 여러가지를 고려할 수 있고, 매출이 늘 것을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중간에서 차떼고 포때고 하다보면 증가된 매출이 주주에게 증가된 배당으로 돌아올지 알기 어렵다. 지난 10년동안 벌어진 일이 반복되지 않아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구글과 NHN. 좋다. 밸류에이션만 빼면.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2/blog-post_24.html

성장을 보고 투자하려면 미래를 보는 눈도 중요하지만, 싸게 사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싸게 사려면 희망이 보이지 않을 때 사야한다.
지금은 구글과 NHN이 아니라  얀덱스와 바이두에 희망이 안 보인다.
살 수 있을까?

한국에서 상장된 인터넷/스마트폰/SNS 관련 기업에 투자하려면 좀 더 작은 회사들에 대해 더 큰 위험을 감수하고 투자해야 한다. 발로 뛰는 전문가들이 해야하는 일이다.

전체 그림을 보여주는 매우 좋은 보고서라는 점은 분명하다.
다만 디테일에서의 한계도 명확하다.




삼성전자에 대한 개인적인 생각을 추가한다.

일단 최근에는 hmc 노근창 애널의 보고서가 좋다.
한국에서 삼성전자 정도를 커버하려면 서플라이 체인에 대한 조사를 직접해야 한다.
그래야 비교우위에 있을 수 있다.
미국, 유럽의 애널들이 통신사, 매장의 판매실적을 직접 조사하는 것과 비교할만 하다.
그렇게 해서 어떤지 확인해보면 삼성의 매출에 대한 감 혹은 힌트를 얻을 수 있다.
그래서 여러 정보들이 일치한다면, 가능성이 높아질 것이다.

갤럭시 s4에 대한 기대감은 per 8을 설명할 수 없다. 1분기 실적감소에 대한 우려가 실제로 더 중요한 문제이고, 스마트폰 산업 전체에 대한 부정적인 견해도 한 몫 했을 것이다.

커퍼런스콜에서 삼성이 부정적인 의견을 피력했다고 해도 지난 2년간 삼성의 전화기 매출, 이익은 1분기에 전분기대비 증가했다. 한국에서 1-2월에 부품 공급이 증가하고, 미국 통신사에서 1월에 삼성 폰의 매출이 증가하면서, 아이폰의 판매가 감소하기 시작했다면, 과거와 비슷한 일이 벌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물론 결과는 나와봐야 알 수 있는 것이다.







등산


동네 산에 올랐는데 춥기만 하다.
얼어붙은 땅이 녹아서 온 산이 질퍽거린다.
봄이 멀지는 않았다.


















주가 비교

주가비교를 원하면 미국 주식은 야후에서 할 수 있다.
한국 주식은 네이버, 다음에서 가능하다.
차트 항목에 보면 종목 비교가 있다.

아래는 네이버의 화면.




us student loan - 악화


학생대출이 끝없이 악화되고 있다.
정치적인 해결이 필요한 곳은 이런 곳이 아닌가? Stupid.


http://www.newyorkfed.org/householdcredit/

us ABCP - 회복?



앤서니 크레센치의 탑다운 투자전략에 나오는 것이다.
예전에 한 번 확인한 적이 있다.
http://blog.naver.com/abdcdbr/150146032182

당시에도 ABCP발행 잔고가 회복 중인 것으로 의심되었지만, 지금도 의심만 된다.
전체 CP는 회복이 명확하다.







strong dollar 2


strong dollar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2/strong-dollar.html

달러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얼마나 갈 것인가?

지난 40년간 골드와 엔화가 강세인 기간은 달러가 약세였다.
유로가 2000년대에 중요한 것처럼 보이나 골드에 비하면 큰 의미 없다.

유로는 유로존의 경제에 달려있다.
그런데 몇 년동안 미국보다 좋기는 어렵다.
그러니 한동안은 신경쓸 이유가 없다.



금값과 달러는 실질 가치를 표시했다.
간단한 설명은 아래에.

달러가 약세였던 시기에 주로 골드와 엔화가 동반 강세였지만, 85년-95년처럼 엔화가 주도한 시기도 있다.

달러, 엔, 골드.
이것이 40년간 가치저장수단으로서의 화폐 역할을 분담했던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위안, 유로가 그 역할을 할 수 있을지는 아직 알기 어렵다.



us real average hourly earnings - 회복


미국 근로자의 실질 시간당 평균 임금이 양전환했다.
물가를 고려해도 실질 임금이 상승하고 있다는 것이다.



us loans at all commercial banks - 회복


상업은행의 소비자대출, 상업기업대출은 회복되고 있는 중이었다.
이제 부동산 대출도 회복되기 시작했다.
부동산 경기 회복이 명백했던 것에 비하면 여전히 뒤쳐져 있다.






가계 부동산대출 디레버리징이 끝난 것일 수도 있다.
http://www.newyorkfed.org/newsevents/mediaadvisory/2013/vanderKlaauw022813.pdf
http://www.newyorkfed.org/householdcredit/#tabs-2

us capital goods - 회복


자본재에서는 회복의 기미가 완연하다.
신규 주문의 규모로 볼 때 노이즈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

민간 설비 투자가 회복되면 정치인들이 국회에서 무슨 짓을 해도 GDP가 유지될 수 있다.
더 중요한 것은 고용도 유지될 수 있다는 것.

아직도 내구재에는 신호가 보이지 않는다.
http://blog.naver.com/abdcdbr/150155698321



주문, 수주잔고 증가.



주문/출하 비율 증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