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
2013년 11월 12일 화요일
환율 20131112
달러당 100엔 아래는 금융위기에서나 가능한 특별한 조건이었을 것으로 본다.
아베노믹스가 아니어도 무역적자가 누적되고 있고, 경상수지도 흔들렸으니 제자리로 돌아가는 것은 당연한다.
그런데 지금 적당한 자리가 100엔 전후 인지 120엔 전후인지는 시간이 지나봐야 안다.
물가는 오르는데, 소득, 소비가 따라주지 않아 걱정이라고 하지만, 그런 상황에서는 무역적자도 커지기 어렵다.
언제 어디서나 적자가 커지는 것이 통화 약세의 추진력이다.
아베노믹스가 성공하려면 어려워도 환율이 더 올라갈 필요가 있다.
혹은 아베노믹스가 성공하면 정상적인 수준의 성장과 인플레이션이 발생할 것이고 그런 조건에서는 디플레이션만으로 정당화되었던 환율은 유지되지 않는다.
엔화약세가 연장되면 다시 위기감이 고조될 수도 있다.
그러나 지난 1년간 확인한 것은 한국 수출이 그런 조건에서도 버틸 수 있다는 것과 일본의 전자기업 대부분은 자동차업체와 달리 엔화약세의 혜택을 볼 수도 없을 만큼 경쟁력이 무너졌다는 것이다.
그래봐야 죽는 소리를 하는 것은 말리기 어렵다.
다만 원화강세가 추가로 진행되면 한계기업들이 더 어려워질수는 있을 것이다.
일단은 멈춘 것으로 보인다.
엄청나 보이던 엔화 약세가 길게 보면 전혀 다르다.
아직 엔화는 10년전과 비교시 약세가 더 진행될 수 있다.
최소한 10% 이상.
부실한 신흥국들의 통화는 다시 약세를 보인다.
강세일때는 수출이 어려워 힘들고, 약세일 때는 금융위기가 두려워서 힘들다고 한다.
저런 나라들이 강해지면 아시아 국가들처럼 위기에 크게 흔들리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인도네시아는 특별한 점이 있었다.
찾아 볼 필요가 있다.
많은 나라들이 달러가 없어 망할 걱정이 없다면 자국통화의 약세를 원한다.
유럽도 2010년, 2012년 여름처럼 유로 해체의 위기를 걱정하는 상황만 아니면 약세를 원하는 것은 신흥국, 일본 등과 다를 바가 없다.
그들이 원하는 환율이 대략 1.3 전후 인 것으로 보인다.
누가 돈을 더 푸는지가 중요하지만, 아직은 유럽보다는 미국에 달려있는 문제로 보인다.
유럽은 무조건 풀어야 하니 패가 노출된 셈이고, 미국은 5월부터 시작한 밀당의 끝이 보이지 않는다. 뭐하자는 것인지 종잡을 수가 없다. 시장도, 미정부도, 연준도 모두 조울증에 빠진 듯하다.
만약 달러강세가 더 진행되어도 원화가 독야청청할까?
아무리 수출이 잘되고 외국인들이 수십조를 퍼붇더라도 유로, 엔이 약세라면 어려울 것이다.
그런데 그럴 것 같다.
엔화 강세의 시대는 끝났지만, 유로강세의 시대가 올 것 같지는 않다.
위안은 강세이던 말던 아직 상관할 사람이 많지 않다.
그러니 달러 강세의 시대가 오거나, 골드 강세의 시대가 다시 오거나, 비트코인의 시대가 오면 되는데, 뒤의 두개는 달러보다 더 껍데기로 보인다.
WisdomTree Korea Hedged Equity Fund
http://www.etfstrategy.co.uk/wisdomtree-launches-currency-hedged-south-korean-equity-etf-72569/
http://blogs.barrons.com/focusonfunds/2013/11/05/japan-worked-so-here-comes-a-korean-currency-hedged-etf/
http://www.wisdomtree.com/etfs/index-details.aspx?indexid=128
위즈덤 트리에서 한국 etf가 새로 나왔다.
중요한 것은 이것이 환헤지형이라는 것이다.
시장에 이미 ewy가 존재했으나, 환헤지형이 아니었다.
위즈덤트리의 엔헤지형 일본 etf인 dxj가 ewj보다 두배 가까운 수익을 안겨주면서 높은 인기를 얻었고, 회사의 이익도 증가했고, 주가도 2배 이상 상승했다.
https://www.google.com/finance?q=NASDAQ%3AWETF&sq=wisdomtree&sp=11&ei=BpqBUpjODZHckgWMtAE
원헤지형 한국 etf에서 다시 한번 dxj와 같은 높은 수익을 기대할 수 있을까?
몇 가지 시나리오에서 어떤 성과가 나오는지 비교해봤다.
현재의 환율과 지수에서 적당한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수익율을 비교해보면, 새로운 etf가 기존의 etf대비 높은 성과를 보이는 경우는 한국에서 아베노믹스가 진행되는 경우뿐이다.
그러나 한 나라의 통화가 약세로 진행하면서 주식시장의 강세가 발생하는 경우도 통화강세가 진행하면서 주식시장의 약세가 지속되는 경우도 일본에서나 볼 수 있던 특별한 경우에 가깝다.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경기가 좋아지면, 통화강세, 주식시장강세가 함께 진행된다. 특히 신흥국에서는 더 그러하고, 한국도 지난 90년대 이후 대개 비슷하게 움직였다.
인플레이션이 심해지면 장기적으로 통화약세가 발생하고, 주식시장도 명목지수의 상승을 볼 수 있지만, 한국에서는 그런 상황이 장기간 발생한 적이 없다.
그러니 아베노믹스의 일본을 고려하든, 인플레이션이 극심한 후진국을 고려하든 당장 한국의 원헤지형 etf는 초과수익이나 변동성헤지 어떤 목적으로도 유리할 가능성이 적다.
그런데 알만한 사람들이 저런 상품을 출시한 이유가 무엇일까?
한국 투자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을 가능성이 있다.
한국은 신흥국 중에서 가장 안정된 경제구조를 가진 몇 나라 중의 하나로 볼 수 있다.
한국의 대형주는 삼전, 현대차 포함해서 직접 투자하기 어렵다. 위즈덤트리의 이 펀드는 소위 capped fund라서 지수를 그대로 추종하지 않고 개별종목과 업종의 비율에 제한을 둔다. 이것이 환헤지와 상관없이 알파를 만들어낼 가능성도 있다.
환헤지가 추가적인 비용이 드는 것은 사실이지만,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는 경우에는 전부 헤지를 하거나, 전부 헤지를 하지 않거나, 기대 수익은 비슷하다. 그러나 변동성은 통화를 전부 헤지하는 경우에 감소할 수도 있다. (그렇다고 하는데 확인할 수가 없다) 기왕의 포트폴리오가 환헤지형으로 구성되었다면, 한국의 비중을 높이고 싶은 경우에는 환헤지형 etf는 유용할 수 있다.
아주 가능성은 적지만, 외부인의 눈에 한국이 일본 비슷한 경로를 밟아서 경기의 활력이 감소하고 있고, 현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정말 일본과 같은 정책을 써서 경기를 부양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을 수도 있다.
현재 환헤지형 etf가 나와있는 나라는 많지 않다.
유럽, 일본, 독일, 영국, 이머징 정도이고, 한국에 대해서 특별히 환헤지형 etf가 나온 것이다.
잠깐은 관심을 끌만하지만, ewy 대비 초과수익이 발생하지 않으면 금새 유명무실해질 것이다.
환율이 상승하면서 코스피가 상승하면 한국투자자는 이 etf를 사서 코스피매수, 달러매수를 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미국투자자들이 환율변동을 헤지하는 효과를 얻는 것보다 유리하지만 환율상승/코스피상승같은 전무후무한 일이 발생할지는 그저 두고 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