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2014년 1월 17일 금요일

profit, investment, S&P500



http://www.businessinsider.com/businesses-spending-too-much-on-capex-2014-1

미국 기업들이 너무 많이 지출(capex)하고 있다고 한다.

미국 기업들의 투자가 부족한 것이 문제라는 세상에서 뭔 소린가 싶어서 확인해봤다.

덕분에 기업의 profit외에 cash flow를 FRED에서 추적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현금흐름, 세 종류의 순이익과 GDP에 포함된 민간 비거주 고정자산 투자(PNFI)를 비교했다.

이익이 투자에 2년 정도 앞선다.
이익이 몇년 증가해야 기업의 투자가 일어난다.
위에서는 보이지 않았지만, 경기 후반의 투자는 부채가 증가하면서 일어난다.
상식적으로 당연한 일이다.

여기에 현금흐름을 추가해도 달라질 것이 없다.
다만 경기 후반에 현금흐름과 기업이익의 차이가 감소한다.
기업이 건전해지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많은 기업들이 그러면 조만간 경기가 꺾인다는 것이다.

여기에 주가를 겹쳐본다.




주가가 이익의 함수라고 해도 시차가 존재한다.
이익이 주가에 아무 많이 선행한다.

GDP와 주가가 상관없다는 우기는 사람도 많다.
명목, 실질, 소비, 투자, 수출, 수입을 적당히 구분해서 보고 시차를 고려하면 상관없는 것이 더 이상하다.

그런데 소비가 가장 중요하다는 미국에서도 투자와 주가의 관련성이 명확히 보인다.
주가가 선행하지만 시차가 크지도 않다.

그러나 기업이익처럼 2-3년씩 미리 나타나서 미리 떨게 만들지는 않는다.
저런 그림을 보면 마음이 편해진다.
보이는 손들이 뉴스에는 하는 얘기보다, 안 보이는 손의 흔적을 보는 것이 더 확실하다.





길게 보면  심란한 구석도 있다.
그런데 미국 기업의 투자가 이익을 따라간다면 많은 문제가 저절로 감소한다.

미국기업의 지출이 너무 많다는 소리는 무슨 뜻인지 여전히 모르겠다.
위 그림에서 미국기업의 투자를 과거의 수준과 비교하면 수십% 이상 증가해야 비슷하다.




경기가 회복되면 이익, 설비가동율, 투자, 대출 순서대로 증가하기 시작한다.
경기가 둔화되면 이익, 설비가동율, 투자, 대출 순서대로 감소하기 시작한다.

지금은 감소하고 있는 것이 없다.





yoy가 원 지표보다 좋을 때가 많지만, 가려써야 하고 썼으면 잘 해석해야 한다.
%로 표시했지만 yoy가 아니고 GDP와 비교한 것이다.

설비가동율이 증가하는데 투자는 과거의 경기 저점권 수준이고, 비지니스대출도 마찬가지이다.

경기가 돌아선지 오래이고 가동율이 높아서 투자가 필요한데, 기업이익이 사상최대라서 회사에 돈은 쌓여있고, 대출도 적다면 뭘 해야 할까?

투자해야 한다.




미국에서 투자가 증가한다면 어떤 부문이 중심이 될까?
위의 그림처럼 전형적인 자본재는 물론 포함되겠지만, it분야의 투자가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그러면 미국기업의 수혜가 상대적으로 더 커지고, 미국 경기에 후행하고 있는 다른 선진국의 투자가 증가할 경우에 미국이 선도할 수 있게 된다.




오래 전에 이런 싸이클을 한 눈에 파악해보려고 그렸던 그림인데 지금은 하프타임 후에 다시 시작한 분위기이다.

그래서 ECRI같은 곳에서 2011년 이후 침체에 빠져있다고 주장하고 있는지 모른다.
설령 작은 침체같은 것이 있었다고 해도 지금은 이미 벗어난 것으로 보는 것이 현실적이다.

일반적으로 금리차는 경기싸이클에 가장 선행한다고 본다.
그런데 금리차의 확장은 침체 전부터 시작하기 때문에 경기확장을 중심으로 보면 가장 늦다고 볼 수 있다.

지금은 금리차때문에라도 침체에 시간이 필요하다.



전에 리스크 프리미엄을 약식으로 계산한 적이 있다.
금리차와 같이 봐도 아직 멀다.





지수와 이익을 비교하면 이렇다.
더 먼 것처럼 보인다.

미래는 알 수 없다.
그렇다고 원인없이 결과가 발생하지는 않는다.
봐도 모르는 경우가 많을 뿐이다.






이런 무식한 소리는 최근 들어 처음이다.



환율·금리가 한국경제 좌우하던 시대 지났다



이런 기사가 있었다.
심정은 이해가 되나, 경제 기자라면 입에 담을 소리는 아니다.

성장, 물가, 환율, 금리.
이게 경제와 영향을 주고 받는다는 것도 사실과 좀 거리가 있다.
그냥 이것이 경제의 실체이다.



경제 환경이 달라져 영향력이 축소되었다고 한다.
뻥이다.
경제 환경이 달라져서 한국이 선진화되면서 영향력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금리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 선진국보다 훨씬 적다가 최근 몇년 간 증가했다.
과거에는 금리조작을 환율방어 수단으로 써도 거의 효과가 없었다.
지금은 금리인하로 환율하락을 방어할 수 있다는 얘기가 먹힌다.
과거에는 직접 환율조작을 하거나 그런 언급을 해야했다.
그런 시대가 지난 것이 아니고, 오고 있으니 그런 것이다.

환율하락이 나쁘냐 좋으냐는 엄마가 좋으냐 아빠가 좋으냐 수준의 질문이다.
나한테 돈주고 떡주는 사람이 좋다.
환율하락이 나한테 도움이 되면 좋은 것이다.
나한테 도움이 되지 않으면 나쁜 것이다.

한국에 좋은 것. 그런 것이 만에 하나 존재해도 사람들이 생각하지 않는다.
민영화가 한국경제에 좋은가? 그런 것을 생각하는 사람은 좌우 어디에도 거의 없다.
민영화가 나한테 좋은가? 다들 그것만 생각한다.

금리를 인하하면 경제가 어떻게 될까?
금리인하, 양적완화가 마약, 진통제, 스테로이드라고 미국에서 몇년째 비난하는 사람들이 있다.
그게 물인지, 밥인지, 반찬인지, 아퍼 죽겠는데 밥이 입으로 넘어갈지, 그들이(아무리 가방끈이 길어도) 알 것이라고 보나?

최근에 증권사들이 채권을 잔뜩 들고서는 금리인하를 합창했다.
그 꼴이 보기 싫다고 금리의 한국경제에 대한 영향이 감소했다고 거짓말을 하면 안 된다.

엔화약세, 원화강세를 핑계로 주가 조정이 있었다.
그 꼴이 보기 싫다고 환율의 한국경제에 대한 영향이 별로 없다고 거짓말을 하면 안 된다.


김중수가 작년에 뻘짓을 좀 했지만, 누가 뭐래도 한국은행이 한국에서는 가장 낫다.
나머지는 모두 ***들로 보인다.


중소형주 단상










그림 출처: 네이버

시총 1000억대.
대주주/주요주주가 일본.
안정적인 재무.
높은 배당성향.
밸류에이션 그럭저럭.
업황 혹은 회사 자체 모멘텀 부족.
원가의 상당 부분이 일본산 원료/재료와 관련.
엔화 약세 일부 수혜.
바스켓 구성시 큰 변동은 피할 수 있을 듯.


-----------

시장이 대형주를 멀리하니 오랫만에 작은 회사들을 열심히 찾아봤다.
그런데 밸류에이션이 과거에 보던 숫자의 2배에 육박하는 것들이 너무 많다.
조금이라도 싼 것은 언제든지 이상해질 수 있는 경쟁력없는 부품 회사들이 대부분이다.

2011년 이후 삼성전자, 현대차를 빼면 지수가 많이 빠진 것이라고 하나, 이익대비로는 충분히 빠진 것도 아닌 셈이다.
대형주 밸류에이션은 낮아졌고, 중소형주 밸류에이션은 높아졌다.
만약 한국 시장에 거품이 있어서 급락이 발생한다면, 대형주가 아니라 중소형주에서 발생할 것으로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