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2014년 10월 13일 월요일

르네상스테크놀로지 수익율과 탈세 의혹



[SPECIAL REPORT] “데이터 만이 성공 투자 만든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50&aid=0000034586

"르네상스테크놀로지는 1982년 설립됐다. 설립 후부터 그가 은퇴한 2009년까지 이 회사의 연평균 수익률은 30%에 달한다. 또 1988년부터 1999년까지 12년 동안의 누적 수익률은 2500%나 된다."

제임스 사이먼스는 매우 유명한 투자자이다.
위 기사에는 저 사람의 5가지 성공 비결도 나와있다.

그런데 저 사람이 어떤 노력을 했고, 얼마나 천재적인지와 별도로 수익의 원천은 다른 곳에 있을 가능성이 있다.
美 헤지펀드 7조원 탈루의혹…월가 발칵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3260175

"르네상스테크놀로지는 이 같은 편법으로 68억달러(약 7조원)를 탈루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퀀트투자의 대가 짐 사이먼이 운용하는 헤지펀드다."



합법이든 불법이든 다른 펀드, 다른 투자자들이 일반적으로 내던 세금을 안 내는 방법을 발견했고, 그것이 15년간 7조라면 저 사람의 재산 12조의 원천은 전체가 세금이라고 봐도 무방할 것이다.

평균 월 400억, 1년에 4800억을 14년 탈세를 했다면 원금이 약 7조원이다.
이것을 복리로 투자를 해서 12조원을 모으려면 연 8.6%의 수익율을 올리면 된다.

그렇게 보면 전세계 최고의 헤지펀드라고 해도 최근 물러난 빌 그로스의 30여년간 채권투자 수익률 10% 전후에도 못 미치는 것이다. 버핏의 40여년 장기 수익율 20%에는 발끝에도 못미치는 것이고, 미국 주식시장 100년 평균 약 7%보다 조금 나은 정도이다.

물론 세테크에 필요한 조단위의 초기자금을 마련하는 능력은 다른 문제이다.

결국 분야별로 최고로 유명한 버핏, 그로스, 로저스, 소로스 같은 사람들은 논란의 여지가 있어도 투자 능력이 의심되지는 않는데 비해 대개의 헤지펀드들은 전공분야가 뭐든 내용이 잘 공개되지도 않고, 초과수익의 원천이 세금, 내부정보, 폰지게임 등으로 연결되는 경우가 많은 듯하다.

사이먼스를 모델 삼아 신세를 망치고 있는 전세계의 천재 Quant들이 얼마나 많을지 생각하면 저런 의혹은 과거 코헨처럼 적당히 벌금으로 타협하지 말고 자세한 내용이 밝혀지는 것이 좋을 듯.


http://nypost.com/2014/10/10/sec-delays-decision-on-sac-fund-for-burned-investors/

----------------------
네이버 적금 계산기.
http://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ie=utf8&query=%EC%A0%81%EA%B8%88%EA%B3%84%EC%82%B0%EA%B8%B0&sm=tab_stc

really preferred 20141013


지난 2년간 preferred가 이름에 걸맞는 성과를 보였다.
최근의 조정에도 불구하고 2년간의 추세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위 그림은 주로 대형 우선주들의 배당수익율과 괴리율을 표시한 것이다.
타원은 다수의 점들이 모여있던 위치에 해당한다.
2012년 이전에는 2005년부터 큰 변동이 없었다.
길고 두꺼운 꼬리가 화살표 방향으로 흩어져 있던 것도 변함이 없다.

2014년 우선주 랠리의 극성기과 비교하면 가장 저평가된 우선주들이 보통주대비 5%정도 추가할인을 받는 것이고, 우선주 기준으로는 10%의 여력이 있는 것이다.
2012년과 비교하면 2-3배 정도 고평가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현재의 평가 기준으로는 저 둘 사이가 적당하다. 그러나 이미 많은 우선주들이 20년간의 박스권을 탈출했으니 재평가가 지속될지를 판단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할 수 있다.

금리가 낮게 유지되거나 추가로 인하되고, 배당의 안정성이 확보되면 괴리율은 감소할 것이다. 그러나 적어도 2년간의 추세로 보면 평균 배당수익율이 많이 낮아지기는 어렵다.

어떤 우선주의 배당수익율이 일정하고, 괴리율만 낮아지는데 필요한 조건은?
이 답이 향후 우선주의 미래이다.




아래는 그림의 각 점들

종목명(우) p/c DY13
코오롱인더우 42.5 2.5
대한제당우   47.1 3.5
SK케미칼우   43.7 1.8
대상우선     39.9 0.6
NPC우 46.2 2.5
삼양홀딩스우선   47.7 3.0
코오롱우 52.2 4.4
삼양제넥스우 50.9 3.2
넥센우선     44.2 1.3
금호석유우   54.9 4.1
대한항공우   42.4 0.0
대상홀딩스우 47.5 1.4
LG하우시스우 48.8 1.9
넥센타이1우B 46.8 1.1
두산우선     62.1 5.5
SK이노베이션우   65.7 6.4
크라운제과우 48.3 1.2
아모레G우선   46.3 0.5
롯데칠성우   45.7 0.4
두산2우B     62.0 5.5
아모레퍼시우 46.7 0.6
LG생활건강우 50.0 1.6
대교1우B     62.2 4.8
한화우선     56.8 2.9
남양유업우   48.2 0.3
대림산업우   48.8 0.5
대신증권2우B 58.8 3.2
삼성전기우   58.6 3.1
대덕GDS우    63.6 4.2
하이트진로홀딩스우 65.7 4.4
대신증권우   62.6 3.7
한국금융지우 54.1 1.0
하이트진로우 72.5 6.1
태영건설우   51.5 0.0
태양금속우 62.6 3.0
LG전자우선   54.9 0.7
삼성SDI우    60.2 2.2
GS우선       70.3 4.9
CJ우선       56.9 1.1
CJ제일제당우 57.2 0.9
LG화학우선   65.3 2.8
대우증권우   54.2 0.0
현대차3우B   61.3 1.8
한화케미칼우   64.3 2.6
우리투자증우 61.3 1.5
계양전기우   64.2 2.3
LG우선       64.0 2.2
현대차우선   63.0 1.8
현대차2우B   65.0 1.8
한화증권우   58.9 0.0
삼성물산우   64.6 1.2
현대건설우   66.1 1.5
한국유리우   61.1 0.0
삼성화재우   66.8 1.4
BYC우선      65.4 0.4
SK우선       73.0 2.1
동양종금증우 65.5 0.0
삼성전자우   74.0 1.7
신영증권우   85.6 3.9
호텔신라우   75.6 0.5
S-oil우 89.8 3.8
부국증권우   92.7 3.3
현대모비스우 85.3 0.9
동부건설우   86.0 0.0
코오롱글로벌우 90.6 0.0
SK증권우선   95.5 1.1
대상3우B     93.1 0.0
동부제철우   131.8 0.0


us economic cycle 20141013 - resilient income


투자는 아직 2%부족하지만 소득, 소비에는 문제가 없다.
그래서 미국 경제가 둔화되는 것을 고려하기에 매우 이르다.




고용.
전년동월비로 보면 탄탄하다.
낮은 것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으나, 감소하지 않고 있기때문에 기회가 있다.





시간당 평균 수입.
역시 탄탄.





전체의 소득은 일하는 사람과 시간당 수입에 비례할 것이다.
계산해보니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정부의 보조금, 센서스 같은 초대형의 임시고용 등을 배제하면 위의 빨간선은 명목 가처분 소득과 상당히 높은 관련성을 보인다.

공식적인 가처분소득보다 더 유용할 가능성이 있다.
그런데 아직 가처분소득보다 명확한 상승 추세를 보인다.

과거에는 경기가 둔화되기 전에 감소하기 시작했다.
이번에는 다를까?




녹색은 보통의 misery index이다.
고통지수라고들 하나, 비참지수라고 하는 것이 선명하게 느껴진다.
실업율과 물가상승율을 더하고 소득증가율을 더할 수도 안 더할 수도 있다.
실업율도, 물가도, 소득도 어떤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은지는 만드는 사람 마음인듯하다.
뭐든 국가간의 비교, 과거와의 비교가 가능하면 그뿐이다.

물가에 대해서는 과거보다 불만이 줄었으나, 실업율은 현실과 거리가 멀어서 못 믿겠다는 사람들이 너무 많다.
그래서 위에서 이용한, 고용자수 전년동월비를 빼서 계산해 보았다.
고용자수는 적은 것이 문제일뿐 못 믿는 사람들은 없는 듯하다.

빨간선이나 녹색선이나 낮은 수준이고 현재가 경기 중반임을 시사한다.
내일부터 내쳐 올라가도 한 2년은 지나야 침체기 수준의 비참함을 겪게 될 것이다. 미국인들이.






nominal

괜찮아 보인다.




real

실질금리, 실질지수, 실질임금이 몇개월째 조정 중이다.
실질소비도 횡보 중이다.

물가가 올라가면 실질 지표들의 훼손이 발생하고, 내려가면 전세계적인 디플레이션의 우려가 커진다. 지금보다 높은 수준에서 안정되는 것을 많은 사람들이 바라기 때문에 시간이 필요하다.

단기간에 금융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은 보이지 않는다.
지금은 투자가 충분히 증가하는지 관찰할 필요가 있다.
어떤 사람들이 기업이익의 감소를 걱정하는 듯한데 올라가면 좋지만, 내려가는 것을 문제삼을 국면이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