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2015년 1월 8일 목요일

china - yuan vs cpi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12/beware-of-china-fxi-hscei-sse-yuan.html

중국 자체를 하나의 블랙박스로 보고 있지만, 중국 관련 주가를 보면서 전체의 균형을 위해서 위안화의 약세가 진행하는 것이 어떨까하는 생각을 했었다.

우연히 위안화가 중국의 소비자물가지수와 대칭이라는 점을 발견했는데, 이것은 한국이나 기타 다른 나라와는 큰 차이라고 할만하다.



위안화 환율과 중국 소비자물가지수가 대칭이다.




당연히 전년동월비도 대칭이다.
소비자물가상승률과 환율전년동월비가 대칭이라는 얘기.

최근 거의 망해가고 있는 신흥국들에서 물가상승과 통화약세가 동행하는 것과는 정반대의 현상이 적어도 10년간 그림처럼 나타나고 있었다는 것이다.
이것은 당연한 것이 아니다.
자체로 특이현상이기 때문에 그래프로 선행, 후행을 따지는 것은 별 의미가 없다.

물가상승으로 통화약세가 나타나고, 통화약세로 인해 물가가 상승하는 악순환과 정반대의 선순환이 교대로 나타나는 것이 좀 더 일반적인 것이고 한국은 그런 점에서 전형적인 나라라고 할 수 있다.


다른 그림에서 최근까지 중국 물가 하락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고, 환율의 상승이 이전보다 크지만 둘 사이의 관계가 변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알 수 있다.


만약 500원짜리 이론을 버리고 현상을 보이는 대로 설명하려면?

외부에서 밀려오는 돈이 중국의 물가를 밀어올렸다고 보면 된다.
자그마치 10년동안 지속되었다는 것이다.
그것이 최근에 조금 달라지고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환율과 물가를 확인해보면 중국과 반대이다.
이것이 좀 더 일반적인 것이다.
환율과 물가지수의 전년동월비가 20년 이상 동행하고 있고, 상식과 부합한다.
이런 경우 금리나 기타 다른 것을 굳이 고려할 필요가 없다.

그런데 자세히 보면 최근 1년 이상 마치 중국에서처럼 대칭적인 모습이 나타난다.
환율이 내리면 물가가 오르고, 환율이 오르면 물가가 내린다.
중국과 같은 이유로 나타난 현상일까?
모른다.

그러나 오히려 과거 일본의 일부 시기와 비슷하지 않은가 의심된다.





일본은 한국과 중국의 중간이라고 할 수 있다.
장기 추세는 대칭이라고 할 수 있지만, 전년동월비로 보는 방향은 한국처럼 같은 방향인 경우가 많다.


최근 유가하락이 향후 세계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의견이 극단적으로 다양한 스펙트럼을 보인다.
물가는 환율과 관련된 여러 요소들 중 하나이지만, 최근 신흥국들의 위험을 판단하는 요소로 물가와 환율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상호작용하는 요소들 간에 여러 단계에 걸쳐서 얽혀있는 피드백들이 조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면, 특이한 중국의 물가, 환율의 관계도 설명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다만 단선적인 예측을 하는 것은 신중할 필요가 있고, 다양한 시나리오를 그려볼 필요가 있다. 유가가 40불일 때와 100불일 때 경제주체들이 다르게 행동하는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니 말이다.

중국의 한국 경제에 대한 중요성은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그런데 어떻게 봐도 중국은 특이하고, 이해하기 쉽지 않다.
뭔가 알 것 같다고 생각하다가는 된통 당하기 좋을 것 같은 느낌만 더 커진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