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2015년 4월 1일 수요일

REER/NEER - CPI ratio from BIS effective exchange rate indices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3/inflation-and-exchange-rate-case-of.html

물가에는 초장기 싸이클이 존재하고, 환율은 장기적으로 물가를 (선)반영한다.

명목실효환율(NEER)는 물가를 고려하지 않고 명목 환율을 무역비중으로 가중평균해서 한 나라 통화의 가치를 반영하는 지수를 구한 것이다. 관행상 기준시점의 값을 100으로 놓고 커지는 방향이 통화가치가 상승하는 방향이다.

실질실효환율(REER)는 물가를 반영한 실질환율을 대상으로 같은 계산을 한 것이다.
환율에 두 나라 물가의 비율을 곱해서 실질환율을 계산할 수 있고, 이러한 환율은 물가변동에 의한 환율변화를 제거하는 작업이다.

이론적으로 물가지수가 그 나라의 물가변화를 완벽하게 포착하고, 물가가 환율에 즉시 완벽하게 반영되고, 환율을 결정하는 유일한 인자가 물가뿐이라면 실질환율은 변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을 완벽하게 반영하는 물가는 존재하지 않을 뿐 아니라, 정보가 가격에 반영되는데 다양한 시차가 존재하고, 환율을 결정하는 다양한 인자가 존재하고 서로 영향을 주고 받는다.

또한 실질 환율 계산시 사용되는 각 나라의 물가도 같은 기준으로 작성될 가능성이 없어서 실제로 물가가 환율에 반영되는데 시차가 존재하거나, 물가의 변동비율과 환율의 변동비율간의 큰 괴리가 나타날 수 있다.

실효환율을 구성하는 상대국가는 최대 수십개국에 달한다. REER를 구하는 과정에서 모든 국가와의 물가비율을 계산해서 적용하게 되기 때문에 REER/NEER의 비율은 대상국 전체를 하나로 본 경우의 물가에 해당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http://www.bis.org/statistics/eer/
자료의 출처이고, 설명도 포함되어 있다. narrow eer 사용.
몇 나라 제외.


실질환율(Real ER)  = 명목환율 (Nominal ER, krw/usd) * 자국물가지수(한국) / 상대국물가지수(미국)

1 usd = 1000 krw
1 * usd = 1000 * krw
1/1000 = krw/usd  (원화 1단위로 살수 있는 달러, 이렇게 표시해야 원화강세시 값이 증가)
1000 = usd/krw (usdkrw라고도 표시, 그런데 보통 원달러라고 부르는 듯)

RER/NER = CPI_d/CPI_f = CPI ratio

이걸 가중평균하는 경우

REER = Weighted Average (RER1, RER2,,,, )
NEER = Weighted Average (NER1, NER2,,,, )

REER/NEER = hypothetical CPI ratio btw domestic cpi and foreign cpi

NEER와 CPI ratio는 반비례하는 관계라서 같은 축에서 비교하기 위해서는 한 변수의 역수를 취하는 것이 유리하다. (음수를 취하는 것은 나쁜 관행.)
NEER는 원달러의 역수에 해당하고 익숙하지 않으니, NEER의 역수를 취하고 10000을 곱한다. 그러면 익히 보던 환율과 비례하는 수치를 볼 수 있다.

2010년이 기준이기 때문에 CPI ratio의 기준도 같은 시점에서 1.
장기간에 걸친 물가의 변화를 비교하는 목적이기 때문에 원점을 맞추어서 축척과 원점조절로 인한 왜곡을 피했고, 필요시는 같은 비율로 하단을 제거해서 원점이 일치하도록 유지.
누르면 커진다.


이하 10,000/NEER와 REER/NEER를 비교한 그래프 모음.
위쪽 통화약세, 자국물가초과상승



한국, 일본, 미국, 유럽.
한국은 우상향, 일본은 우하향.
유럽 미국은 상당부분에서 서로 대칭. 두가지 모두 비율이고 서로의 비중이 커서 벌어진 일.

물가비율, 환율의 변화 동시 발생 또는 환율이 선행.
환율의 단기변화폭이 물가비율의 변화폭을 몇 배 이상 능가.

일본의 물가비율 변곡점 40년 만에 발생.
한국도 그럴 가능성이 있는가?
미국은?




나머지 용 3마리는 제각각.
대만 제외 기본 특성은 유사. 대만같은 변화는 아래에서도 유사한 예가 없음.

일부 구간에서 보이는 노이즈는 계절조정하지 않은 cpi를 쓰기 때문일 것.
그래도 일부 구간에서만 커지는 것은 이상한 일. cpi자체의 문제거나 cpi간의 간섭(?)




물가비율, 환율이 내려간 유럽국가들. 독일 오스트리아 네덜란드 스위스
스위스는 여전히 진행중. 장기간에 걸쳐 물가하락했으나 통화가치상승비율이 더 높아서 항상 외국 관광객들이 봉이 된 느낌이 드는 나라.  오스트리아는 개선 중.





물가비율, 환율이 상승한 남유럽국가들. 이탈리아 스페인 포르투갈




90년대 초중반까지 물가비율이 상승했던 유럽국가들.
핀란드, 스웨덴은 별도의 통화 사용.



영연방국가들.
영국은 좀 더 유럽국가들과 유사.
캐나다, 요주의국가.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2/canada-doomed-country.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6/blog-post.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12/canada-brazil-russia-is-in-same-boat.html


중국을 제외하면 한국의 주요 무역국을 대개 포함.
narrow eer 계산에 포함된 나라들끼리는 상대평가라서 한나라의 물가상승은 다른 나라의 하락으로 나타남. 환율과 물가비율 공히 제로섬으로 간주해도 무방하나 비율이기 때문에 합이 아니라 곱이 일정.

물가비율의 장기 상승이 멈추는 시점 전후 환율의 변화 관찰.
유로권 80년대 후반.
미국 3년 전?
홍콩 90년대 후반.
남유럽 2000년대 중반.
오스트레일리아, 뉴질랜드 90년 전후.
영국 80년 전후.


cpi가 가진 한계에도 불구하고 상당수의 국가에서 수십년간 물가비율의 변동과 환율의 변동이 같은 비율로 진행. 물가와 환율의 상관관계와는 별도로 유의미한 관찰. 두 수치간의 차이가 큰 유럽 국가들(오스트리아, 스위스...)은 아예 상관관계가 적은 국가(핀란드, 대만, 캐나다...)와는 별도로 취급해야.



댓글 5개:

  1. 어디까지 가보시렵니까..

    답글삭제
    답글
    1. 기억하실지 모르지만, 전에 세계GDP에서 차지하는 상대적인 GDP비율(실질, 명목 모두)이 통화가치와 높은 관련성을 보이는 것은 확인했었습니다. 명목GDP(실질GDP+물가)에는 환율에 반대방향의 영향을 주는 두가지 요소가 섞여있고, 한나라의 통화가치와의 관련성이 있지만 해석하기가 어렵고, 실질은 장기간에 걸쳐서만 영향을 드러냈습니다. 물가비율로 한나라의 물가를 다른나라전체와 비교할 수 있고, GDP비율로 한나라의 GDP를 다른나라전체와 비교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했으니 이제 두가지 요소를 합쳐볼 수 있다는 것까지는 확인한 셈인데 어떻게 하는게 쉽게 할 수 있는 방법인지는 또 생각해봐야겠네요.
      이렇게 하는 큰 이유는 4년간 써놓은 환율관련 글을 리뷰해보니 딱 한발자국만 더 나아갔으면 참 좋았겠구나 하는 아쉬움이 있었고, 최근 쏟아지는 전문가들의 글을 보면 관련 경험은 풍부하지만 데이타를 다루는 기본은 부족하구나 싶고 그래서 믿을 수가 없고, 무엇보다 내가 원하는 데이타는 존재하는지도 잘 모르겠고...
      엔화가 약세가 될까? 달러가 강해질까? 에 대한 대답은 세상이 보여줬는데, 원화의 초강세가 나타날까? 에 대한 대답은 달러강세에 묻혀있지만 명목실효환율은 그렇다고 하고, 이것이 드러나려면 위안화가 역할을 할까? 에 대한 대답은 아직 세상이 보여주지 않았고...
      당장은 물가와 환율의 관계를 더 들여다볼 생각이네요.


      삭제
    2. 그때 GDP자료는 홍박사님 이랑 같이 일하시는 그분에게 계속 자료를 추적하라고 했다는 소리를 얼핏들었던거 같네요.

      어려운 부분이 있지만 재밌게 읽고 있어요.. 담엔 세미나라도 부탁하고 싶을정도로. 감솨.

      삭제
  2. 달러인덱스가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으니 물가의 대단한 상승을 가져올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미국으로보면 환율인덱스니까요.

    답글삭제
    답글
    1. 만약 물가상승과 기준금리 상승이 아주 빠르게 진행되고 경기둔화가 이어지면 그것으로 이번 싸이클은 끝날수 있을 것입니다.
      결국 물가와 기준금리의 속도 경쟁이 될 것이고, 너무 느리지도 빠르지도 않게 금리를 인상하는 기술을 연준의장이 가지고 있다면 이전보다 덜 험악한 싸이클을 경험하게 될 것으로 봅니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