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2015년 11월 13일 금요일

term spread since 1919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3/extended-term-spread.html

http://bonddad.blogspot.kr/2015/03/no-yield-curve-is-not-forecasting.html

전에 term-spread를 1934년까지 확장했으나 대공황 이전 시기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었다.




https://philosophicaleconomics.wordpress.com/2014/06/15/whos-afraid-of-1929/

1919년까지 추가로 확장해보니, 대공황 이후 20년 이상의 기간 동안 장단기금리차는 경기예측에 크게 도움이 안 된다는 것을 확인.

대신 물가, 실질금리, 고용 등 다른 지표를 봐야.





10년 전후의 장기금리와 3개월 전후의 단기금리가 대공황 이후 20년 이상 크게 벌어진 채로 유지되었다.

저금리, 저인플레이션, 저성장의 시기. 1929 - 1949
  대공황이후 경기회복 징후.
  37년의 긴축 이후 다시 침체.
  2차 대전.

고금리, 고인플레이션, 고성장의 시기. 1950 - 2008
  전반 30년: 미국 vs 소련. 냉전
  후반 30년: 미국의 시대

저금리, 저인플레이션, 저성장의 시기. 2009 -
  2007년 단기금리 고점. 29년과 비슷.
  2015년 연준 금리인상한다면 37년과 비슷?
  G2시대: 미국 vs 중국


Q 1. 30년 이후의 세계, 37년 이후의 미국.
Q 2. 중국의 금리 싸이클.


------------
추가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1/30.html


미국의 물가, 장기금리


댓글 6개:

  1. 1940년대와 지금의 차이점중에 가장 큰 차이점이..

    저때는 전쟁이 끝나면 물가가 오를것이다라는 사실은 정부와 대중들 모두가 겁내고 있었고 (그래서 금리도 일부러 조작했다고 춘욱성이 전에 가르쳐 줬듯이)
    지금은 물가는 절대 안 오를것처럼. 이제는 원자재는 엄청난 장기 불황에 빠진것 처럼.. 모두가 믿는다는 사실 같네요.

    공통점은 그때는 전쟁때문에 유동성이, 지금은 중앙은행들 때문에 유동성이 엄청나게 풀렸다는 사실은 참 우연치고는 너무 비슷하네요.

    항상 이 롱텀 그래프는 신기해요. 앞으로 30년이 어떻게 전개될지 너무 궁금하기도 하고.

    답글삭제
    답글
    1. 난 대공황 이전부터의 단기 금리 그래프는 위 링크에서 처음 본 것 같네요. 상대적으로 장기 금리에 대한 정보는 많구요.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1/30.html
      40년대 이후 금리가 바닥에 붙어 있던 시기의 경기는 사실 다른 것 안보고 물가만 봐도 알 수 있을 정도로 인플레이션의 폭도 크도 변동도 커요. 70년대 오일쇼크때보다 결코 약하지도 않구요.
      물가만 봐도 실제로 돈이 충분히 풀려있다고 믿을 수 있을 만큼은 되는 것 같고, 당시 전쟁관련해서 미국정부나 영국정부의 부채도 역사상 최고 수준이었으니 전체적으로 아귀가 맞는 느낌이네요.
      그런 점에서 지금은 돈이 충분히 풀린 것인지, 그것이 미국이든 유럽이든 준비금으로 그냥 중앙은행에 잠자고 있는 것에 불과한 것인지, 그래서 인플레이션을 걱정하는 것은 기우에 불과하고 물가 하락이 멈추는 것 이상을 기대할 수 없는 것인지 잘 모르겠네요.

      단기적으로는 미국이, 길게는 중국이 중요할 것 같은데 중국에 대한 믿을 만한 자료가 뭔지 모르겠네요. 중국 위안이 기축통화가 된다면 엔이나 유로와는 차원이 다른 영향력을 발휘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지만, 상당한 과도기를 거치는 동안 어떤 일이 벌어질지는 뭐 전혀 짐작도 되지 않으니.
      다만 지금 미국이 금리를 올린다고 해도 중국, 유럽, 일본 등이 충격을 완화시킬 능력이 없어서 속수무책일 것이라고는 믿지 않는데 시장은 좀 다른 생각을 하는 듯이 보이네요.



      삭제
    2. 대우증권 1700도 가능하다고 전망했네요. 1800만 되도 살거 같은데..

      사실 저번에 1900이 무너지거나 가격이 좀 빠지면 들어간다면서 몇몇의 자문사들은 투자자들을 모았어요. 몇번하다보니까.. 잘 나갈때 사람들 모아봤자 힘들고.. 빠질때 돈을 모아야 수익도 내기 쉽고 그때 들어온 자금들이 변동성에 더 잘 버틴다는 걸 알았다고 하더라고요.

      저런 자문사들이 하나둘씩 늘어간다는건 꾼들의 생각도 조금씩 변해간다는 거고.. 그런 생각들이 모이다 보면 일반적으로 금리를 울리면 어떻게 될 것이다 라는 생각들과는 반대로 결과는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원인같다는 생각을 했어요.

      ps.그래서 kodex 200 일부 팔고 설정하길 기다렸는데.. 2050까지 쭉 올라서 망연자실..

      삭제
    3. 파리 테러때문에 세상이 더 어려워지겠네요. is 문제는 종교, 민족, 영토, 석유 안 걸리는 게 없어서 프랑스 혼자 힘으로 할 수 있는 것도 별로 없어보이네요. 전선이 없지만 테러인지 전쟁인지 구분이 잘 안되는군요.

      삭제
  2. 프랑스 테러에 대응하는 세계 정세를 지켜봐야겠지만 어째 불안하네요.. 지표는 분명 나쁘지 않은데 확신은 안들고..

    답글삭제
    답글
    1. 많은 문제들이 시간이 지나면 대개 풀리는 것 같은데 중동 관련한 문제들은 점점 악화되기만 하네요. 미국과 유럽이 중동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포기하기 전에는 is 문제가 해결되기 어려운 것 같은데 그들이 저 정도의 테러때문에 그럴 이유도 없는 것 같고, 석유가 싸져도 근 시일 내에 쓸모없는 자원이 되지는 않을 것 같고, 중동에서 이스라엘을 들어내서 유럽이나 미국으로 옮기는 것도 현실성은 없는 것 같고... 참 어려운 문제 같네요.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