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2016년 3월 18일 금요일

만분의 일, 알파고 리턴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3/alphago-overfiffing-over-optimizing.html
http://www.wired.com/2016/03/go-grandmaster-lee-sedol-grabs-consolation-win-googles-ai/

http://www.wired.com/2016/03/two-moves-alphago-lee-sedol-redefined-future/


지난 번에 이어 와이어드의 기사는 딥마인드 관계자 쪽의 얘기를 좀 더 자세히 다룬다.
알파고에 대한 깊은 이해에서도, 대국의 함의에 대한 객관적인 시각에서도 두 기사 모두 내가 본 국내외의 기사 중에 가장 잘 쓰여진 것이었다.

이세돌과 알파고의 5국을 통털어 가장 아름다운 수였다고 생각되는 수라면 2국의 37번째 어깨 집는 수였을 것이다.
알파고에 따르면 이 수를 인간이 둘 확률은 1/10000이었다고 한다.
이세돌이 이긴 4국의 78번째 끼워넣는 수도 아마 바둑사에 오랫동안 남을 것 같은데, 이미 한국 언론을 통해서도 널리 알려진 것처럼 1/10000의 확률에 해당되는 수였다고 한다.

5국이 진행되는 동안 인상적인 수는 더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신의 한수라는 평을 받은 것은 위의 두 수였던 것으로 보인다.
알파고도 이세돌도 인간이 둘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이기기 위해 두어야 하는 최선의 수를 둔 것이고 그것은 인간의 눈에 신의 한수가 된다.

If Lee Sedol hadn’t played those first three games against AlphaGo, would he have found God’s Touch? The machine that defeated him had also helped him find the way.

인간과 인공지능이 합쳐서 새로운 세상을 만드는 그림이 멋진 것도 사실이다.
와이어드는 더 나가서 판후이가 알파고와의 대국 후에 '개안'을 하고 랭킹이 급상승한 것처럼, 이세돌이 알파고와의 바둑을 통해 봉인이 해제되었음을 암시하고 있다.
인공지능이 인간을 대신하는 수준을 넘어서, 인간의 능력을 넓히는 역할을 직접적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나는 보통의 기사라면 몰라도 이세돌에게는 실례가 되는 표현이 아닌가 한다.
여러 인터뷰에서 이세돌이 말한 내용을 바탕으로 추측하자면, 대국에서 나타난 알파고의 놀라운 수들도 이세돌 수준의 천재에게는 생각해 볼 수 있고,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크게 벗어난 것은 아니었다는 것이다.
만약 알파고에 대해 사전 지식이 있고, 달라진 대국환경에 대한 적응이 된 후라면 이세돌이 더 좋은 성적을 낼 수 있었을 것이다.

커제와 알파고와의 시합이 성사될 모양이다.
알파고의 버전이 현재와 같다면 그 시합의 결과는 이세돌 때보다는 커제에게 좀 더 유리할 것이다. 다만 그도 적응이 필요할 수 있으니 이세돌과의 리턴 매치를 갖는 것과 비교하기가 쉽지는 않을 것이다.

그래도 시합이 기대된다.
또 이제는 알파고에 적응한 프로기사들이 그 난해한 수들을 인간의 언어로 해설할 수 있을지도 기대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