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2021년 10월 29일 금요일

peak out or not - micron guidance vs hynix consensus

 

삼성전자, 하이닉스의 실적발표가 끝났고, 미래에 대한 많은 전망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두 개의 메모리 반도체 업체는 한국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클 뿐 아니라, 투자, 소득 등의 경로를 통해 한국 경제를 직접적으로 좌지우지한다.


micron의 실적은 한국 업체들보다 한달 먼저 발표되고, 명확하게 실적에 대한 가이던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한국 반도체산업, 수출, 경제 전망에 중요한 힌트가 된다. 그런데 이번 어닝시즌에는 특기할 만한 일이 발생했다.





보통 마이크론의 가이던스 이후 한국 업체들의 실적 전망에 대한 조정이 발생하고 실제 실적이 확인되고 나면 시장의 컨센서스는 폭에는 차이가 있어도 방향은 일치하게 된다.  

위 그림에 표시한 삼전의 메모리 부문에 대한 전망치는 11개 증권사 보고서에서 직접 따와서 구한 것이고, 하이닉스는 공개된 컨센서스이다. 몇 개 전망치를 직접 확인해 봐도 큰 차이가 없다.

삼전 메모리 매출은 4분기에 일부 증권사를 제외하면 3분기보다 매출이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하이닉스에 대해서는 매출이 오히려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세 업체의 실적 방향이 항상 같은 것은 아니지만 매우 드믈어서 몇 분기 정도에 불과하다. 두드러지는 두 번의 경우(13년, 18년)에도 마이크론의 실적이 더 좋았었다.

21년 4분기에 실제로 한국업체의 실적이 마이크론에 비해서 우월하게 나온다면, 지난 5-6년간 마이크론이 인수합병, capex, 연구개발의 성과를 바탕으로 삼전, 하이닉스와의 기술, 설비 격차를 좁히고 일부 공정에서는 오히려 선도하면서 영업이익률에서 차이가 사라진 것과는 완전히 배치되는 결과이다.


경제의 많은 분야에서 나타나고 있는 피크아웃에 대한 우려와 기대가 이 분야에서는 어떤 모습일지, 시장의 어긋난 기대처럼 업체간 차별화가 나타날 지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2021년 10월 15일 금요일

lng가 smp를 어디까지 올릴 수 있을까? 20211015

 

한국 전력시장에서 원자력과 유연탄이 기저발전을 담당하고 lng나 기타 연료가 첨두발전을 담당한다.

연료원별 비중으로 보면 원자력, 유연탄, lng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나머지의 비중은 적다. 

계통한계가격smp는 대개 lng가 결정하고 전력공급이 부족한 특별한 시기에 다른 연료들이 smp를 결정한다.

최근 2020년 하반기에 저점을 기록한 lng의 가격상승이 이어져서 아시아 lng가격이 작년 저점의 10배 이상으로 상승했고, 주로 유럽, 영국의 에너지 대란, 전력대란과 관련이 있다. 주로 그린에너지로의 전환에 따른 시행착오와 투자순위 변화, 러시아 가스관을 둘러싼 지정학적 알력 등이 문제라고들 한다.

중국의 에너지 대란은 당국이 환경파괴적인 석탄발전의 비중을 올림픽까지 최소화하고 미중 무역, 외교 갈등에서 친미적인 태도를 명확히한 호주의 에너지 수출에 타격을 주려는 시도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대부분 공급 측의 문제를 언급하고, 늦어도 내년 상반기 내에 러시아 중동 미국 등에서 가스 생산과 공급이 정상화되면 에너지 대란이 해소될 것으로 기대하는 모양이다.

그러나 많은 경우 일시적인 공급의 문제는 몇 개월 이상 지속되기 어려운데 비해 최근의 lng가격 급등은 이미 1년이 넘어가고 있고, 급등-조정-급등의 과정을 거치면서 변동이 확대되었다.

일시적이라도 과도한 상승이 발생하거나, 장기간 높은 가격을 유지하는 경우 한국에서도 전력난(혹은 전기요금대란)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본다. 전기요금이 원가의 큰 부분을 차지하는 굴뚝산업의 경우 가격전가에 실패하면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연료원별 전력거래량.
원자력, 유연탄, lng가 대부분.

전력거래금액으로 보면 신재생 비중이 조금 보이는 정도.




데이타: epsis

원자력, 유연탄, lng 중 연료비 단가가 높은 lng가 smp를 대부분 결정.
12년처럼 전력 부족이 심각해지면 더 높은 단가의 발전원이 smp에 관여.






아시아, 유럽의 lng 가격은 중동, 러시아의 영향을 크게 받음.
미국의 셰일 개발 이후 약 3-5배의 가격차이가 십수년째 유지.

1월의 일시적 급등 이후 깊은 조정.
다시 상승하기 시작해서 최근 jkm (japan/korea marker) 기준으로 11월물 56달러에 도달.
그래프의 화살표 끝에 해당하는 가격으로, 저점대비 20배 이상 상승.

일시적인 상승(spike)으로 그친다면 2008년과 비슷하지만, 2011년-2014년처럼 높은 가격을 유지하는 plateau가 나타날 가능성 배제 불가.






현재 smp는 110원 전후.
smp는 원유, lng의 연료가격 상승을 5-6개월 정도 후행해서 반영.
현재의 lng 시장가격을 smp와 함께 표시해보면 최근의 lng상승이 아직 smp에 본격적으로 반영되지 않았음.
56불의 11월 lng가격을 표시하면 위와 같고, smp로 560원 정도.
유명했던 미국 목재가격이나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은 새발의 피.

만약 높은 lng가격이 오래 유지된다면 내년 2분기 이후부터 전기요금의 수직 상승을 피할 수 없음.
장기계약 가격이 시장보다 낮다고 해도 상승폭을 예단하기 어려운 수준. 
한전이 적자로 막는 것에도 한계가 있을 듯.





요약

전기요금이 몇 배가 되더라도 놀라지 말자.




2021년 10월 14일 목요일

100 year chart - cpi vs average hourly earnings 20211014




80년대 이후 장기간에 걸쳐 물가와 임금상승률이 낮게 유지되었고, 그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fred에서 1965년 이후 평균 시간당 임금을 제공하지만, 약간 성격이 다른 평균 시간당 임금을 이용해서 1921년까지 연장하고 물가와 비교했다.

100년 동안의 기록을 보면 현재의 임금과 물가 상승률 5%를 넘어섰을 때 벌어질 상황과 비교할 만한 시점은 60년대 후반에 나타난다.

만약 폭증한 유동성이 장기간의 경기확장과 동반되고 임금과 집값과 원자재값을 급격히 올리는 상황이 1960년대 이후 미국에 나타났던 것이라면 금융위기 이후 현재의 상황과 비슷할 수 있다.

물가상승이 일시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생각을 이제는 상당수의 사람들이 하고 있다.
막으려면 빠른 긴축, 선제적인 금리 인상이 필요하겠지만, 정부의 역할이 무한정 돈을 찍는 것이라고 믿는 정치가, 경제학자들이 넘쳐나는 시대에 그런 책임을 질 사람은 없을 것이다.


장기간에 걸친 물가 상승을 피할 수 없다고 보면?

60년대말부터-80년대초까지 약 15년에 걸쳐 나타난 보기 드믄 상황을 잊지 말아야 한다.





채권과 주식의 실질 수익률이 장기간에 걸쳐 동시에 마이너스였다.







실질 주택 가격도 50년대 중반부터 90년대 중반까지 40년동안 제자리였고 큰 변동성만 존재했을 뿐이다.

이런 시기에 투자(주식, 채권, 부동산)로 자산을 늘리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지금 나타나고 있는 높은 물가와 높은 임금은 40년 동안 나타났던 현상과는 다르다.
판데믹으로 인해 발생한 특수한 상황이라서 빠르게 19년 이전의 익숙한 상황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본다면, 위 그림의 1919년부터 1921년까지의 시기를 참고할 수 있다.
포효하는 20년대가 시작하기 직전에 보이는 굵고 강력한 deflation은 대공황보다 깊다.

위 그림에서 얻을 교훈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현재의 물가 상승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예단하지 말고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당시에 금이나 기름 등의 대체 자산이 했을 역할을 암호화폐나 기타 특이한 자산들이 할 수 있을지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요약

미국 물가가 안정되지 않는다면 나타날 일들을 생각해 보자.










2021년 10월 3일 일요일

리오프닝 가시화 20211003




자료: ourworldindata.org

몇 개 국가들의coivd -19 누적 확진자, 접종 완료자와 둘의 합계를 표시한 것이다. (10월 1일 기준)

합계는 면역을 획득한 비율이라고 할 수 있다.

면역 획득 집단에서도 돌파감염이 나타나고 있지만, 중증환자, 사망자의 발생이 현저히 낮아진다면 마스크없이, 인원제한없이, 시간제한없이 사람을 만나고 모이는 일이 가능해질 것이다.

여기에 경구 치료제가 치명률, 사망률을 더 낮추는 것이 확인되면 리오프닝은 더욱 빨라질 수 있다.


선도적으로 리오프닝을 감행한 영국, 싱가포르, 일본 등의 국가들은 대략 국민의 70% 이상이 면역을 획득하는 시점에 그런 시도를 하고 있다.

리오프닝 이후 싱가포르에서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피할 수 없는 일이고, 감당해야 하는 일이다. 미국, 영국에서도 비슷한 상황이 이미 진행되고 있었다. 리오프닝을 시작했다는 일본에서도 조만간 확진자의 급증이 나타날 수 있다.

한국도 11월 중 70%에 도달할 것으로 보이고, 리오프닝이 시작될 것이다. 확진자의 급증이 의료 과부하로 이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격리와 입원 치료의 기준은 상향될 것이고, 접종완료자는 중증 이상의 돌파감염이 아니면 실생활에서 판데믹의 영향을 크게 받지 않게 될 것이다.





한국의 접종 완료자 비율은 두 달 간 급격히 상승해서 유럽 평균과 비슷.
11월 중 70% 도달 가능.

싱가포르, 일본, 말레이시아를 제외하면 한국의 예방 접종은 동아시아에서 빠른 편.






그림: ourworldindata.org


접종률이 높은 영국, 싱가포르에서 리오프닝 후 확진자 증가.

말레이시아는 감염자, 접종자가 동시에 급증한 예외적인 경우.

감염되지 않거나, 예방접종하지 않은 국민들이  둘 중 하나로 면역을 획득하기 전까지는 전세계에서 비슷한 상황이 내년까지 반복될 듯.

판데믹의 영향에서 빨리 벗어나려면 접종을 장려하거나, 거리두기, 마스크 쓰기 등의 제한을 풀어야 하고, 늦어도 11월까지는 한국이 그럴 준비가 될 듯.


covid-19 관련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1/10/covid-19-vaccine-20211001.html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1/09/delta-peak-out-20210903.html



요약

한국에서도 리오프닝이 가시화되고 있다.


2021년 10월 1일 금요일

백신 부작용 정보가 부족하다 covid-19 vaccine 20211001


드디어 백신 2차 접종을 완료했다.



covid-19 관련 질병청의 최근 자료를 확인해보면 최근 예방 접종과 관련한 논란이 가라앉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50대 이상에서는 예방 접종이 본인에게 득이 되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연령이 낮아질수록 치명률이 감소하는 이 질병에서는 치명률이 0%인 소아, 청소년이 접종으로 얻는 득이 없다.

20대에서 40대까지는 백신 접종의 부작용과 확률을 정부가 공개해야 부작용의 위험을 감수하고 접종을 할지 말지 판단할 수 있다.



최근 접종 후 사망자 가족들이 억울하다고 국민청원했다는 기사가 매일 올라온다.

상당수는 접종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보이지만, 과민반응, 척수염 등 면역계 질환, 혈전증, 심낭염/심근염 등 위중하거나 사망에 이르는 백신부작용도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전세계 접종 초기부터 수십 만 건당 한 명 이상의 백신 관련 치명적 부작용이 보고되고 있으니, 한국에서 50% 이상의 2차 접종이 진행된 상황에서 최소 100명의 백신 부작용 관련 사망자가 보고되는 것이 정상이다.

질병청에서 매일 투명하게 공개되는 확진자, 사망자에 비해 부작용 사망자에 대해서는 자료를 얻을 방법이 없다.

그래서 20대-40대는 접종의 득실을 판단할 수 없는 상태에서 제시되는 정부의 방침을 따라야 하고, 이럴 경우에는 정부에 대한 신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만약 부작용에 대한 공개된 정보가 없고, 정부에 대한 신뢰도 없는 상태에서는 안 하는 것이 득이라고 본다.

성인은 접종 자체의 득실을 판단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미접종의 사회적인 불이익을 스스로 판단하겠지만, 미성년에게 접종을 강제하고 불응시 불이익을 주는 것은 집단을 위해 치명적인 부작용의 발생을 감수하라는 것과 같다.

https://news.imaeil.com/page/view/2021093010252709001

사회 일부에서 접종을 하지 않고 집단 면역의 혜택을 보게 되면, 그것이 무임승차라고 주장하는 듯하다. 그러나 그것은 불이익이든 혜택이든 비슷할 때나 적용될 수 있는 것이고, 20대 이하는 접종의 이익은 없고 치명적인 부작용 가능성만 남기 때문에 무임승차는 적절한 비난이 아니다.


https://www.cdc.gov/coronavirus/2019-ncov/vaccines/safety/adverse-events.html

More than 390 million doses of COVID-19 vaccines were administered in the United States from December 14, 2020, through September 27, 2021. During this time, VAERS received 8,164 reports of death (0.0021%) among people who received a COVID-19 vaccine.

미국 cdc에서는 접종자 수 대비 사망자수에 대해 명확히 언급하고 있다. 보상에서는 인과성을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겠지만, 접종의 위험과 이익을 판단하는 정보라면 관련성이 부정되지 않는 건을 포괄해야 적당할 것으로 본다. 



요약

장년, 노년에서  covid-19 예방 접종을 하는 것은 자신과 사회를 보호하기 위해 필요한 일이고, 사회적으로 강제해도 비난의 여지가 적지만, 청년, 청소년, 유년층에서는 접종의 이익이 본인이 아니라 사회에 돌아가기 때문에 불이익으로 접종을 강제하는 것은 남에게 희생을 강요하는 비열한 짓으로 보인다.


-------------

20211003 추가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hm&sid1=103&oid=346&aid=0000044766

예방접종을 받은 44만여 명의 고3 학생에서 중대한 이상반응은 94건. 사망은 없음. 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