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
2016년 6월 20일 월요일
환율3 - 금리차
환율1 - 경상수지, 외환보유액, 물가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1.html
환율2 - 파운드와 외환보유액 평가액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2_20.html
1
한국과 미국의 장기금리차, 단기금리차.
2
앞서 확인한 환율과 외환보유액의 관계
장기금리차/단기금리차, 환율/외환보유액의 4가지 조합을 비교.
3
4가지 조합중 2014년 중반까지 외화보유액과 장기금리차의 관계가 명확.
문제는?
한국의 금리가 더 높아지면, 한국으로 돈이 들어와서 외환보유액이 쌓이면 좋겠으나 반대라는 것.
한국은 아직까지 교과서가 먹히지 않는 나라.
그러나 전문가들은 한국에서 금리를 내리면 돈이 빠져나가고 그래서 외환보유고가 감소하고 원화약세가 발생하기라도 한다는 듯이 금리인하에 반응.
적어도 2014년까지는 반대였고, 최근 2년간의 괴리는 일부 시기에 불과.
4
4개의 조합 중 두번째로 명백한 조합.
환율과 단기금리를 비교하면 14년까지 환율이 금리차에 후행.
마찬가지로 금리차가 커지면 원화 강세가 아니고 반대.
쉽게 설명하는 길은?
한국경제가 개선되면 달러가 밀려들어와서 외환보유액이 높아지고 유동성이 늘어 금리가 낮아진다.
14년까지 그랬던 것이 바뀌었다.
왜? 자본수출국이 되었으니까.
한국이 이제부터는 환율 교과서가 적용되는 그런 나라가 될까?
2년 지났으니 약 8년쯤 더 지나서 경기싸이클이 한바퀴 돌고 나면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금리와 환율의 관계는 이미 오래전부터 교과서와 달랐지만, 물가와 환율의 관계는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와 동일하게 한국에도 적용되었고, 최근 1년 정도만 괴리가 발생했다.
결론.
원화의 미래는 금리가 아니라, 물가를 본다.
원화의 과거는 외환보유고를 본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