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2018년 10월 16일 화요일

us auto 20181016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8/04/us-auto-20180418.html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8/02/us-house-and-auto-still-doomed-20180210.html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7/09/doomed-us-house-and-auto-20170922.html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7/08/us-auto.html

미국 자동차 시장의 정점은 2016년에 지나갔다.
꼭지가 아니라 고원을 그리고 있어서 노이즈의 영향 하에 있지만 꺾였다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
최근의 문제는 중국의 자동차 판매가 미국의 2016년과 같은 고원을 그리고 있다는 것이다.

기름값이 올라서 인플레이션이 유지되고 금리가 상승하는 국면이 지속되다 다시 하락하기 시작하면서 경기싸이클이 마감하게 될텐데, 전세계의 자동차 회사들은 다음 경기싸이클이 돌아오기 전까지는 전체적으로 부진한 업황에서 벗어날 가능성이 낮다.
전기차나 스마트카에서 입지를 확보하거나 아예 다른 산업으로 다각화를 진행하지 않는다면 미래가 불확실해 질 수도 있다고 본다.


아래는 미국과 중국의 자동차 시장관련 그래프 몇 개.



기름값이 상승하면 운행거리가 감소한다.




운행거리가 감소하면 자동차 판매가 감소한다.




전산업 설비가동률, 자동차산업 설비 가동률.

미국내의 자동차 판매는 정체되어 있지만, 미국 내 자동차 생산은 증가하고 있고 자동차 산업의 가동률은 여전히 높다.
금융위기 이후 지속되어온 제조업 회귀 정책의 영향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오바마나 트럼프나 자국 제조업의 생산, 투자, 고용에 관심이 높다는 점에서는 차이가 없다.




주택경기 흐름와 비교해본 것이다.
여전히 그럴 듯하다.



중국의 자동차 소매판매이다.
미국의 16년 고점과 비슷하게 자동차 판매가 정체 국면으로 진입하고 있다.




fig: https://www.zerohedge.com/news/2018-10-12/chinese-car-sales-suffer-record-drop-set-historic-collapse

전년 동월비로 3개월 이상 감소하고 있다.

중국의 자동차 판매가 감소로 전환하는 것이 무역전쟁때문이라는 주장도 있지만, 내가 보기에는 전세계 경기의 고점을 지났다는 신호이다. 지역별, 업종별 차이가 있지만 경기 후반, 종반으로 갈 수록 꺾이는 산업과 기업의 비중이 증가하게 될 것으로 본다.

금융위기 이전 출시된 아이폰은 금융위기 이후 모바일 관련 산업과 기업이 성장할 토대가 되었고, 이후 미국과 전세계의 회복과 성장은 fang, bat에 의해 주도되었다.
자동차산업에서 전기차, 스마트카, 자동차공유산업이 그런 역할을 할 지 지켜볼만 하다.


--------------
참고


https://www.hanaw.com/download/research/FileServer/WEB/industry/industry/2018/10/15/China%20sales_181016.pdf


http://neokorea.co/2018/08/02/2018-chaina-car-market


댓글 4개:

  1. 어떤면에서 볼때 글로벌 자동차 판매가 2009~2011년에 상당히 많았는데, 이제 슬슬 글로벌 자동차 교체 수요 시기가 언제 도래할까.. 생각해 볼 시기가 아닐까 싶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2001년을 제외하면 꺾인 자동차 판매가 다시 증가하는 것은 경기침체를 지나고 나서였습니다.
      미국이 it버블붕괴를 부동산버블로 넘기던 시기라서 나타났던 현상이라면 이번에는 기대하기 어렵다고 봅니다.
      과거 기름값이 높은 시기의 교체수요는 연비가 높은 작은 차가 담당했었는데 유럽, 중국의 환경정책으로 인해 가솔린차에 대한 수요는 싸이클고점이 아니라 역사적 고점을 찍었을 가능성도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삭제
    2. 역사적 고점일 수도 있겠네요. 가장 큰 타격은 중국 노령화가 아닐까 싶기도 합니다.
      10년전 일본 갔다가 충격 이었던게, 정말 신차도 거의 안보이고 택시도 30년된 택시고...
      거기에 공유경제, 친환경차의 역습...흠 자동차 업체들은 기술 업그레이드해 로봇이라도 만들어야 되는게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삭제
    3. 90년대 한국의 수출 주도산업이라던 it, 자동차, 화학정유, 조선, 철강 등이 두번의 큰 위기를 넘기고 지금도 대체로 건재한 것을 보면 큰 변화의 시기에도 어떻게든 적응해서 살아날지 않을까 기대합니다. 당장 어렵기는 기업보다 국민이 더 어려운 것 같은 느낌이네요.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