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s

2024년 5월 20일 월요일

k-라면, k-화장품 20240520

 


1분기 실적 발표 전후로 k-라면, k-화장품이 핫하다.

한 기업씩 골라 영업이익을 겹쳐보니 비슷하게 보인다. 영업이익률도 20% 전후로 비슷하다.

앞으로도 비슷한 모습을 보일지 궁금하기는 하다.


전세계가 판데믹에서 벗어나기 시작한 것이 22년이라고 하면 그 시기부터 미국 등에서 성과를 내기 시작한 k-컬쳐의 선두기업 궤적이 비슷한 것은 당연한 것일 수도 있다.


미국을 필두로 전세계 주식시장은 번갈아 전고점을 갱신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수출의 주역인 k-메모리, k-배터리, k-자동차들은 과거만큼 힘을 내지 못하고 있고 주식시장도 실망스럽다.

한국의 내수는 크게 기대하기 어렵고, 관광산업도 아직은 충분하다고 보기 어렵다.

아직은 엔터, 화장품, 식품 등의 문화 산업 수출 규모가 충분히 크지 않지만, 미국, 유럽에 버금가는 수십조, 수백조짜리 초대형 기업들이 이 분야에서 많이 나오고, 수출에도 기여하게 되면, 전세계 불장에서 한국시장만 뒤처지는 일을 피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요약

시작은 미약하지만, 끝은 창대해지기를 기대해본다.






silver vs copper, silver vs gold 20240520

 




은과 구리의 가격.
일부러 색표시를 지웠지만, 봐도 구분 잘 안 됨.


구리값이 오르니 구리 수요가 증가하는 이유, 구리 공급이 증가하지 못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기사들이 많아졌다.

그런데 아직 은의 수요와 공급에 대해 설명하는 글이 별로 없다.

전문가들의 구리에 대한 설명이 맞다면, 그 설명들을 은에 가져다 써도 이상하지 않을 정도로 둘의 가격은 비슷하게 움직이고 있다.

은은 화폐로서의 역할은 거의 사라졌고, 산업용 금속으로서의 역할도 구리, 알루미늄 등에 비할 바가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슷하게 움직인다면 산업적인 이유보다는 금융적인 이유가 더 큰 것은 아닌지 의심해야 한다.




은을 "우연히" 산업용 구리와는 거리가 먼 화폐용, 외환보유고용, 장신구용 금과 비교해보면 은의 장기간에 걸친 움직임이 일부 납득이 간다.

금에 대한 수요가 투기적이라면, 은에 대한 수요도 투기적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 구리에 대한 수요는 실수요라고 주장하는 전문가들이 거의 전부이다.



최근의 금, 은, 구리 싸이클이 수년에서 수십년짜리 슈퍼싸이클인지 아닌지는, 길면 2-3년 내에 결판날 것이다.

다만 항상 그렇듯이 절대적으로 확실한 것은 없다.





요약

금와 구리가 진실을 반영하는 것이라면, 양다리 걸친 은은 더 그렇겠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