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9월 25일 월요일

대공황의 추억?


잊혀진 버블_미국의 농지버블_1920년대_하버드비즈니스 스쿨
http://blog.naver.com/rladudrl78/221104969292

곰님의 1920년대 호황기에 대한 자세한 리뷰와 과거의 사진을 보다가 2011년의 기억이 떠올랐다.
2011년 8월 이후 유럽위기가 심화되고 있었고, 미국의 더블딥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었다.
08년에 거지가 될 뻔 한 경험때문에 경제공부를 나름 열심히 하고는 있었으나, 미국이 다시 침체에 빠질지, 그것이 대공황같은 상황으로 이어질지 판단하기에 부족했고, fred가 제공하는 지표의 바다를 항해할 네비게이션은 머리에 장착된 단계가 아니었다.

경제사는 고사하고, 미국의 기본적인 역사에 대한 이해도 부족해서 읽고 있던 '케네스 c 데이비스'나 '앨런 브링클리'의 책들이 의미하는 바가 여간해서 와 닿지 않았다.
대공황도 모르겠고, 이전의 쿨리지 호황도 모르겠고, 그렇다고 최근 금융위기 당시의 미국을 아는 것도 아니고.

그러다 우연히 코스트코에서 내셔널 지오그라픽 dvd를 발견했다.
혹시 미국의 모습을 알 수 있을까 하는 기대를 하면서 샀지만 해상도가 기대에 못 미쳤고 내용을 읽기는 불편했다.
그러나 내용보다는 광고가 더 인상적이었고, 그것만으로도 충분하고도 남았다.
백년 전에 존재하던 기업을 내가 아직도 알고 있다니, 그런 기업에 투자하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심정 같은 것때문이었다.
그래서 2012년 초 미국에 더블딥은 없다는 판단이 선 후에 미국에 투자해보자는 결심을 하게되었다.

Once-in-a-lifetime opportunity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1/30.html

그런 고민의 결과가 미국주식에 30년만의 투자기회가 왔다는 결론이었다.
헤지를 위한 포트폴리오투자에게는 (한국주식+미국채권)의 조합이 아니라, (미국주식+한국채권)의 조합을 주장했던 것이다.
(지금 생각은 한국주식이 미국주식보다 낫다는 것으로 바뀌었다.)

결과적으로 황야에서 외치는 셈이었지만, 미국투자, 달러투자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사람이 거의 없던 시절이라 다양한 경험을 가진 투자의 고수들을 알게되는 계기가 되기도 했다.

비중을 늘리기 시작했던 미국투자가 지금은 다시 한국에 대부분 투자하는 것으로 바뀌었지만, 20불에 산 약간의 facebook 주식, 한주씩 남은 분할된 google, 홀랑 팔아버린 amazon, 한번도 사보지 못한 apple 모두 추억의 일부가 되었다.



지금 다시 미국 경제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고, 한국에 어떤 영향을 줄지 고민하고 있다.
아마추어 경제연구자로서 나는 침체의 가능성을 계산하고 있다.
그러나 전업 투자자로서 내가 생각하는 바는 최종병기 활에 나온 대사로 대신할 수 있다.

"바람은 계산하는 것이 아니라 극복하는 것이다."

투자의 어려움도 마찬가지이다. 그것이 북한, 미국, 중국에 있든 한국에 있든 무엇이든 다르지 않다.




-------------

2011.08.28. 16:44

1933 미국 - 내셔널지오그라픽 광고



할인점에 가서 내셔널 지오그라픽 잡지 DVD를 샀다.
1888년부터 2009년까지의 모든 페이지를 스캔해서 6장에 담아놓은 것이다.

사진만 20만장이라고 하니 그것만으로도 5만원이 싼 것이라고 생각했지만 관심은 1930년대 미국의 자취를 찾아보는 것이었다.
대공황시 최악이었던 시절이 32년, 33년이고 더블딥의 저점은 37년 정도라고 한다.
그 뒤로는 2차대전, 냉전의 전성기를 포함한 30년간 좋은 시절을 누린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아래는 33년 2월호에 있던 광고이다.
많지 않은 광고 중에 눈에 익은 회사 이름이 몇 개 보인다.
사람들이 어려운 시절에 관심있어 할만한 회사들에 대한 힌트는 주고 있는 것 같다.
또 어떤 회사들이 100년을 지속하는 회사인지도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하인즈 - 버핏옹의 달링




AT&T




캠벨 수프



펩소던트 치약




한국 금리와 통화유통속도의 관계 korea interest rates vs money velocity


길은 하나로 통한다 - interest rate, money velocity 금리, 통화유통속도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9/interest-rate-money-velocity.html


로그 금리가 보여준 다른 세상의 존재를 확인하다 우연히 아래와 같은 '정보전달경제학'이라는 특이한 이름을 가진 싸이트에서 기준금리를 설명하는 이론을 발견했다.
c log r = log (1/k* NGDP/MB) --(1)
c: arbitrary constant
k: fit parameters
r: effective fed funds
NGDP: nominal GDP
MB: monetary base

fred에 바로 적용하기 위해 변형하면 아래와 같다.
log r = w + log (NGDP/MB)^(1/c) --- (2)

이 식을 적용하면 아래와 같은 그림이 나온다.


미국의 기준금리를 설명하는데 유용해 보인다.
그래서 한국에 적용해봤다.

fred에서 한국의 본원통화는 못 찾았지만, M1, M2는 제공한다.
그러면 위의 식에서 MB를 M1으로 바꿀 수 있다.
log r = w + log (NGDP/M1)^(1/c) --- (3)

아래는 이 식을 적용한 그림이다.
시행착오를 통해 c = 0.5 로 정했고, 이경우 w = - 42.



이 정도면 끝내준다고 할 수 있다.
이 그림만 보면 한국은행이 심하게 욕을 먹을 만큼 이상한 결정을 한 일은 없는 것처럼 보인다.
또 gdp에 대한 상상력을 조금 발휘하면 한국은행의 향후 금리 결정을 희미하나마 예상해볼 수 있다.


그런데 신기한 것은 M1을 사용한 때문인지 기준금리보다 시장금리(그중에서도 장기가 더)가 잘 맞는다는 것이다.
이것은 미국과는 다르다.
미국의 기준금리가 위기상황 대처를 위해 대공황에 비교할만큼 역사적으로 낮았었다는 점때문일수도 있다.
그것은 미국의 과거로 더 연장을 해야 알 수 있지만 자료가 없다.


미국과 상수들에 큰 차이가 나지만 (2)와 (3)식에서 본원통화와 M1의 차이가 매우 크기 때문에 피할 수 없는 일이다.
fred가 한국의 본원통화를 제공하지 않는 이상 한국, 미국을 동등하게 비교하려면 공사가 크다.
더구나 fred는 자체적으로 fitting을 해주는 것이나 마찬가지이지만 엑셀은 그렇게 하려면 많이 불편하다.

이 작업의 목적이 금리, GDP, 통화량 간의 관계를 결정하는 공식이 한국에서 성립하는지 확인하는 것이었기 때문에, 한국과 미국이 최근 몇년 기준금리를 반대방향으로 조정하고 있지만 내부에 같은 기전이 작동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으로 일단 만족한다.


다른 선진국과 일부 신흥국까지 비교해보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지난 10년 이상 한국와 매우 유사한 장기금리, 단기금리, 금리차의 궤적을 보인 독일과 비교해 볼 가치가 있어보인다.
또 영국은 브렉시트 이전 오랫동안 한국과 환율와 인플레이션에서 높은 유사성을 보였기 때문에 특별히 비교가치가 있다.






-------
사족

직접 해 볼 사람이 있을지 모르나, 미국에서 m1, m2를 위의 식에 넣으면 기대와 다르다.
그러니 한국에서 mb를 m1 대신 넣으면 어떤 결과가 나올지는 해봐야 안다.
mb와 m2(혹은 m3, lf 등 광의 통화)는 한뿌리에서 기원했으나 시장을 거치면서 팽창하는 것뿐만 아니라 방향까지 전혀 달라질 수 있다.
m1은 중간 어디엔가 있다.






길은 하나로 통한다 - interest rate, money velocity 금리, 통화유통속도




로그 금리로 보는 다른 세상 another world through logarithmic interest rates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9/another-world-through-logarithmic.html

금리에 로그를 취하면 놀라운 세상이 보인다.
장단기 금리 사이의 면적이 위기 극복에 필요했던 에너지와 비례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공황과 비교해도 금융위기는 작은 위기는 아니었다.

로그를 취하면 보이는 저 세상을 나만  봤을 것 같지 않아서 검색을 해봤다.
그러다 주목할만한 싸이트를 발견했다.

Information Transfer Economics

나는 '정보전달경제학' 싸이트의 이론을 이해할 능력이 없다.
시간을 들일 필요가 없으니 다행이다. 
그러나 결과로서 얻어진 식이 의미하는 바를 짐작은 할 수 있다.


c log r = log (1/k* NGDP/MB)  --------- (0)           
c: arbitrary constant
k: fit parameters
r: effective fed funds
NGDP: nominal GDP
MB: monetary base


금리를 '정보전달경제학'으로 설명한다는데 내용 이해는 훗날 시도해보기로 하고, 일단 그 이론의 결과물을 적용해봤다.

fred에서 언젠가부터 log축에 표시하는 것 말고, log를 취한 값을 표시해준다.
장점이 있지만, 일단 log를 취하면 더 이상의 조작은 할 수 없다.
그래서 위의 식을 표시하게 편하게 변형한다.


log r = log (1/k)^(1/c) + log (NGDP/MB)^(1/c)   ------------- (1)

우변 첫 항은 임의 상수 w로 바꾼다.

log r =  w + log (NGDP/MB)^(1/c)                ------------------- (2)

아래 그림의 좌축은 log (NGDP/MB)^(1/c).
아래 그림의 우축은 log r.
w는 fred의 좌우축 높이 조정으로 구해짐. fit은 fred가 하는 셈.


약간의 시간을 투입해보니 c = 0.19정도면 적당하다.
그렇게 아래 그림을 얻고 보면 w = 13정도 된다.
이러면 위 식의 모든 수치를 보유하게 된다.



기준금리대신 앞 글에서 단기금리로 썼던 3개월물 금리를 쓰면 더 길고, 금융위기 이후의 이론금리와 더 잘 맞는다.


log r =  w + log (NGDP/MB)^(1/c)     ------------(2)

식의 좌변은 금리뿐이지만, 식의 우변은 명목GDP/본원통화, 기타 상수를 포함한다.

NGDP/MB = V0
NGDP/M1 = V1
NGDP/M2 = V2

주로 보는 통화유통속도는 V2 이다.
fred에서 V1, V2는 따로 제공하지만 V0는 제공하지 않는다.
그저 monetary base나 federal reserve asset의 자세한 자료만 제공한다.

식에 포함된 두 개의 상수중 하나는 임의의 상수이고 하나는 실험적, 경험적으로 결정되는 상수이다.
이론이 완성되지 않아서, 더 발전해야 한다는 뜻일 것이다.

나는 과문해서 아직 한번도 저렇게 기준금리와  연준의 자산규모를 직접 연결시키는 이론과 식을 본 적이 없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저 연준이 두 개의 수단을 별도로, 필요에 따라서, 평소에는 기준금리로, 위기시에는 연준자산규모로, 적당히, 그들의 의도에 따라 결정하는 것으로 여길 뿐이다.
양적완화의 규모를 기준금리인하폭으로 환산, 치환하는 과거의 다른 논문, 보고서들은 이론적 배경이라고 없이 그저 '쌩으로' 관련된 지표, 계수를 찾아서 통계처리하는 수준이라 그냥 내가 실업률이나, 가동률로 기준금리를 피팅하는 것보다 나은 수준도 아니었다.

금리와 유통속도의 관계를 저렇게 잘 설명할 수 있다면 나중에 좋은 이론이 될 가능성이 있다.
나는 그저 감상에 그쳤을 뿐인데, 누군가는 금리, gdp, 통화량, 통화유통속도를 연결하는 이론을  만들고 있던 것이다.





저 무서운 빨간 선이 결국 정부와 연준의 시장 조작을 직접 반영하는 것일 수 있다.
단기금리와 장기금리 사이의 면적이 위기극복에 필요한 에너지와 비례하는 것으로 보인다는 생각은 그러니 현실과 동떨어진 것은 아니었다.
GDP대비 연준의 자산이 증가하면 기준금리/단기금리가 내려간다는 사실을 로그금리로 보면서 다른 방식으로 상상했던 것이다.
선형 금리 그래프를 들여다 보면서 상상할 수 있는 것은 한계가 있다.


소소한 이론적 도구가 생겼으니 로그 금리로 본 다른 세상에서 추가적인 발견을 할 수 있을지 모른다.
예를 들어 우변에 통화승수, GDP/부채 등을 넣어 볼 수 있다.
그런 장난을 하기 전에 기왕에 얻은 중요한 교훈은 확인 해둘 필요가 있다.

낯설지만 경험에 잘 들어맞는 금리에 관한 정보이론이 주는 메시지는 명백하고, 아주 선명하다.




양적완화와 기준금리는 하나의 식으로 연결된다.
현재의 기준금리와 연준자산의 규모 사이에는 명백한 불균형이 존재한다.
기준금리가 과도하게 높거나, 연준자산이 과도하게 많다.
아니면 NGDP(=cpi + real GDP)가 너무 낮다.
이 중에 cpi는 연준이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고, real GDP는 미국정부가 전세계를 대상으로 강도짓을 해도 쉽게 올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