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2월 9일 월요일

kinder morgan





미국 파이프라인 업체이다.
엘 파소는 나중에 인수한 별도 업체이지만,  실체는 하나다.
그런데 현금 배당 주는 회사. 주식 배당 주는 회사. 관리 회사. 엘파소로 나뉘어서 상장되어 있다.

최근에 미국 모기지, 에너지 관련 회사들 중에 관리 회사를 별도로 분리해서 경영진이 마치 한국의 재벌들이 하는 짓들을 하는 회사들이 있다.
분할상장해서 주식장사를 하기도 하고, 경영자문 수수료로 기존 회사주주의 이익을 빼먹기도 한다.
위의 기업도 그런 것이 의심된다.
분식의 의혹도 오래전부터 얘기가 있지만, 진실은 알기 어렵다.

한국의 회사 중에도 저런 식으로 복잡하게 상장해서 투자자들을 혼동시키는 경우는 많지 않다.
대표적으로 위험한 회사이다.
Linn에너지는 분식을 인정하고 고해성사를 해서 반토막이 났다.

나름 알려진 기업이 두개나 이상하다면 그 업종은 쳐다 보지 않는 것이 좋다고 본다.


us jobs and tapering





미국 고용지표는 중요하다.
최근 더 중요해진 것은 연준이 양적완화의 축소, 혹은 테이퍼링을 실업율과 인플레이션 수치와 연계시켜 놓았기 때문이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6/taylor-rule-vs-evans-rule.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6/inflation-vs-fed-rate.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7/federal-funds-rate-model-unemployment.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8/countdown-to-tapering-2nd-half-of.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11/tapering-20.html

그런데 테일러, 혹은 에반스 룰을 이용해서 기준금리를 결정한다고 가정해보면 실제로 2000년대 이후 인플레이션은 별 영향이 없고 오로지 실업율이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유일한 요소였다.

앞으로 달라질 것인가?
이제는 지표가 아니라 연준의 입만을 바라봐야 하나?
아마도 아닐 것이다.

실업율이 실물경제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많은 이론, 가설, 음모론이 존재하고 일부는 그럴 듯하다.
그러나 실업율 대신 고용자 수나 관련된 다른 지표를 쓴다고 해도 큰 차이는 없다.
미국 경제는 회복되고 있다.
만족하든, 못 하든.




고용자수는 산업생산과 매우 밀접한게 동행한다.


그런데 80년 전후에 고용자수가  산업생산보다 매우 빠르게 증가했다.
80년 전후에 노동참여율이 증가했고, 여성의 사회진출이 증가했고, 맞벌이가 증가했다.
또한 80년 전후에 미국 제조업이 축소되고 서비스업이 확장되었다.

또한 80년대 이전부터 설비가동율이 하락했고, 설비투자도 지속감소했다.
또한 80년대 이전부터 미국경제에서 소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끊이없이 증가했다.

오래 전에 미국에서 80년대 이후 과잉고용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고 주장한 적이 있다.
그런데 위 그림은 그럴 가능성을 매우 강하게 지지하는 증거로 보인다.



실업율 관련 지표를 구하는 원래의 숫자들이다.
인구는 증가하는데, 노동력(빨강)은 정체되고 있다.
이것이 실업율의 분모라서 인구처럼 증가하면 실업율이 10%에 육박할 것이라는 얘기를 한다.
믿는 것도, 안 믿는 것도 자유이다.
보이는 사실은 취직할 생각이 없는 사람들이 늘어서 참여율은 80년대 수준으로 회귀했다는 것이다.

이 사실을 그냥 인정하면, 실업율도 인정할 수 있다.



기업 대상으로 조사한 고용자는 가계 대상으로 조사한 고용자보다 항상 적다.
그런데 차이가 감소하고 있다.
오바마케어 덕분이라고 한다.
30시간 이하로 고용해야 파트타임이 되고 보험료가 안 나가고, 그런 사람들이 투잡을 하면 기업 대상에서 2명 고용으로 잡힌다고 한다.

http://advisorperspectives.com/dshort/guest/Shedlock-131206-Jobs-Report-Discrepancies.php

그런데 적어도 2번 이런 일이 있었다.
60년대 중반, 90년대 중반.



90년대 중반에는 파트타임이 갑자기 증가한 시기가 있었지만, 이번에는 그렇지 않다.
60년대는 자료가 없다.

파트타임이 증가해서 미국 고용의 질이 떨어졌다고 하는데, 장기적인 추세에는 변화가 없다.
문제는 파트타이머가 증가한 것이 아니라, 정규직 고용자수가 이전 호황을 넘어서지 못한 것이다.

적어도 위의 그림들은 미국 고용지표에 무슨 특별한 속임수가 있다는 것을 지지하지 않는다.



산업별 고용자 수를 보면 제조업의 감소, 서비스업의 폭증이 드러난다.
금융업은 금융위기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지 못했고, 건설업은 급감했다.
정부고용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은 부채에 눌린 미국 정부의 한계를 보여준다.

나머지 서비스업은 금융위기가 큰 영향을 주지 못했다.
그런데 30년동안 감소하던 제조업의 고용이 돌아섰다.
이것이 유지되려면 투자가 진행되어야 한다.

사상 최대의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는 미국의 기업이 미국에 투자하게 만들 유인이 무엇일까?



고용에서 서비스업의 비중이 2차대전 이후 70년 이상 증가해서 87%에 육박한다.
그런데 그것이 멈추었다.
과거에도 계단식으로 변화했지만, 방향이 바뀔지 지켜볼 가치가 있다.



Natural Gas






http://www.bloomberg.com/news/2013-12-05/shell-halts-20-billion-louisiana-gas-to-liquids-project.html

 "For a gas-to-liquids plant to make money, a barrel of oil has to trade at a ratio of about 16 times the cost of a million British thermal units of natural gas, Sasol Chief Executive Officer David Constable said in an interview last year."

매우 싼 가스로 기름공장도 만들고, 석유화학공장도 만들려던 계획이 가스가격 상승으로 연기, 취소될 수 있다.

16배가 손익분기점이라면 가스가 6달러까지 상승하면 수익을 낼 수 없다는 것이다.
기름값이 조금 내려오면 그 시기는 더 앞당겨질 것이다.




다양한 가스 etf(ung, boil, ugaz...)가 있지만, 현물이 아니라 선물에 투자하는 것이라 장기 투자 시에 롤오버 비용, 리스크가 커서 문제가 있다. 가스는 몇토막이 났지만, 유가는 제자리인데도 선물 etf는 반토막이다.

가스기업 etf (FCG)는 석유 etf, 석유기업 etf와 차이가 크지 않다.
개별 가스 기업들의 재무재표는 대개 상태가 좋지 않아서, 옥석을 가릴 수 없으면 가스 etf보다 위험하다.

가스 투자는 원자재 중에 특별히 유망해 보이나, 장기 투자할 수 있는 수단을 찾는 것이 쉽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