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월 11일 금요일

효율적시장 vs 삼성전자


2012/04/04



버핏은 효율적 시장가설을 인정하지 않는다고 한다.
또한 자신이 반례를 구성한다고 볼 수 있다.
많은 다른 가치투자자들도 시장이 효율적이면 자신이 초과수익을 얻을 가능성이 감소할 것이라고 믿는다.


가설의 지지자들은 버핏을 운좋은 원숭이에 비유한다.
수억의 투자자 중에서 버핏같은 사람이 안 나오는 것이 이상하다는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는 버크셔도 다른 투자회사와 비슷하게 망할 수도 있는 것이다.


버핏을 포함해서 벤자민 그레이엄의 영향을 받은 일단의 투자자들이 수십년간 모두 성과가 좋은 것은 운으로 설명할 수 없다.
이외에도 장기적인 성과가 훌륭한 가치투자자들이 의외로 많은 것은 사실이다.
그런데 책으로 알려진 유명투자자의 투자방식은 본질은 유사할지언정 모두 다르다.
그래서 가치투자의 실체가 무엇인지는 알기가 어렵다.


그럼 이해하기도 쉽지 않은 가치투자가 특별한 방법인가?
꼭 그런 것 같지도 않다.
그로스와 같은 유명 채권투자자의 글과 책을 보면 대상이 채권일뿐 가치투자자와 매우 비슷한 방식의 계산을 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버핏이 주식을 이자가 증가하는 채권이라고 얘기한 것을 보면 가치투자자가 채권투자자의 아류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든다.


소로소, 로저스를 포함한 유명한 투자자들은 가치투자자와 다르다는 것은 누구나 알 수 있다.
그러나 그들은 '가까운' 미래에 사람들이 원하는 것,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계산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 점은 비슷한 것처럼 보인다.


장기적인 성과가 뛰어나서 투자의 귀재로 불리는 사람들이 서로 다른 시기에 다른 방법으로 다른 대상에서 수익을 올린다.
또 그런 사람들은 황금기의 시장보다 성과가 뛰어나다.
그런데 이사람들도 시장의 일부를 구성할 뿐, 시장 밖에 있는 것이 아니다.
시장 안에서 치우침이 있는 것은 지극히 정상적이다.


보통 비판의 대상이 되는 효율적인 시장은 이성적이고, 균질한 사람으로 구성되고, 정보유통이 빠른 환상적인 시장이다.
그러나 버핏같은 초인과 범인이 적당히 섞인 현실의 시장도 평균적으로 효율적일 수 있다.
버핏이 보통사람들에게 미국 인덱스 펀드를 추천하는 것은 장기적으로 시장의 평균은 효율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믿기 때문일 것이다.
가끔 투자에 대해서 묻는 사람들에게 무조건 인덱스펀드를 추천하는 것은 한국을 믿고, 버핏도 믿기 때문이다.


다양한 투자자들이 평균적으로 효율적인 시장의 일부라면, 다양한 기업이 평균적으로 효율적인 시장을 구성하는 것도 이상할 이유가 없다.


시장이 효율적이면 삼성전자로 초과수익을 기대하는 것이 불가능한가?
한 번 바꿔본다.
삼성전자는 많은 전문가들이 주목하고 있기때문에 '항상' 시장에서 적정한 평가를 받고 있는가?
그렇지 않다.


그렇다고 이것이 시장이 효율적이지 않은 증거도 아니다.
시장이 효율적이면 혹은 정상이면 대형주에서 초과수익이 생길 수 없다고 믿는 사람들은 원래 많았다.
최근 한발 더 나아가 삼성전자만 많이 올랐다고 시장이 정상이 아니라는 주장을 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내가 보기에는 그래서 시장이 정상이고, 그래서 시장이 효율적이다.


그냥 평균적으로 효율적인 시장에 다양한 투자자, 다양한 기업, 다양한 평가, 다양한 시기가 존재할 수 있다고 보면 될 일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