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1월 21일 목요일
us debt, delinquency rate 20191121
장단기금리차 역전, 실업률 상승은 경기침체에 선행한다.
연체율의 증가도 경기침체 시작 전에 나타날 수 있다.
그런데 어떤 대출이 어떤 경기 싸이클에서 특히 문제가 될지 미리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전 금융위기는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로도 불리는 것처럼 미국 가계의 주택대출에서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01년의 침체는 it산업의 거품과 붕괴와 관련되었고, 90년의 주택대부조합사태는 주택대출과 관련이 높았고, 80년대 초반의 더블딥은 70년대의 오일쇼크와 관련한 에너지섹터의 버블과 관련이 있었다.
현재 미국의 주택경기는 거품이라고 할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가계대출 중 학자금대출, 자동차대출은 거품의 양상을 보이지만 규모가 충분한지 알 수 없다.
그런데 기업 대출과 관련해서는 조금 다른 양상이 관찰된다.
https://www.newyorkfed.org/medialibrary/interactives/householdcredit/data/pdf/HHDC_2019Q3.pdf
가계부채는 전고점을 넘어 증가하고 있지만 속도는 금융위기 시와 비교할 수 없다.
학자금 대출, 자동차 대출의 연체율이 높거나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대출의 규모는 모기지 대출에 비해 적고, 모기지 대출의 연체율은 더없이 안정적이다.
https://www.federalreserve.gov/releases/chargeoff/delallsa.htm
연준의 표와 fred의 그림에서 은행의 대출 연체율을 확인해보면 걱정할 필요가 있나 싶을 정도이다.
그런데 상업, 기업대출만 따로 들여다보면 안심해도 되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이미 15년에 한번 위험한 시기를 넘긴 것으로 보인다.
당시 전세계의 제조업 침체, 디플레이션의 우려를 넘기고 침체를 피할 수 있을지 미리 알기는 어려웠다.
연체율을 은행의 대출태도와 함께 보면 경기싸이클과의 관련성이 더 잘 보인다.
상업/기업 대출을 전년동월비로 보거나 gdp와 비교하면 지금도 안심할 수 없는 시기로 볼 수 있다.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9/11/gdp-gap.html
미국기업의 투자 싸이클이 이미 꺾인 것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미국에는 부동산, 소비, 고용이 활황으로 보이는 것과는 다른 영역이 존재한다.
그것이 미국경제를 침체로 이끌지 주시할 필요가 있다.
----------------
관련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7/11/deliquency-rate-20171116.html
피드 구독하기:
글 (At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