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통에 물을 한 바가지 부었는데 한 바가지도 안 차면?
답) 어디서 새는 것이지 물을 붓는 것이 수위를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다.
응용문제) 통에 물을 한 바가지 부었는데 두 바가지가 차면?
답) 언놈이 한 바가지를 더 부은 것이지 통에서 물이 저절로 생겨난 것이 아니다.
원리) 질량보존의 법칙
그림 1.
최근 단기 금리가 자산가격, 대출과 잘 안 맞고 있다.
단기금리는 기준금리(한국은행)가 장기금리는 시장이(주로 미국시장이) 당긴다.
그런데 자산가격(부동산, 주식 등)이 물가와 완전히 반대로 가고 있으면 선택을 해야한다.
그게 오늘 벌어진 일이고, 잘 했는지 못했는지, 메르스가 한 건 했는지는 두고 볼 일.
볼 때마다 확인하는 사실 하나.
집값을 잡아야 가계대출을 잡을 수 있다. 잡기 싫으면 말든가.
확실하지만 착각들을 하는 사실 하나.
기준금리(에 직접 영향받는 단기금리 포함)를 낮추면 장기금리까지 지렛대역할을 해서 낮추고, 실질금리가 낮아지고, 그래서 은행대출이 늘고(신용창조), 그래서 돈이 잘 돌기를 바라는 것이다. 반대면 반대.
그러니 부동산가격, 은행대출을 보면 당연히 금리를 올려야 하고 그랬으면 하늘색으로 칠한 부분에서 보이는 괴리는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니 부동산가격, 은행대출을 보면 당연히 금리를 올려야 하고 그랬으면 하늘색으로 칠한 부분에서 보이는 괴리는 나타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
예전에 금리가 주택가격, 대출을 따라다녔는데 지금은 아닌 것 같다고 낮아지는 금리의 역할이 달라지나?
그림 2.
이렇게 물가만 보면 그럭저럭 잘 맞는다.
물가가 최근 어떤 상태인지 잘 보자.
그래도 금리가 내려가는게 맞는지 잘 생각해보자.
그것과 상관없이 내려간 금리가 벌일 일을 1번 그림을 보면서 생각해보자.
그림 3.
다른 것은 전부 yoy를 쓰는데, 금리는 왜 yoy나 전년차를 안 쓰는지 생각해보자.
그림 4.
금리차, 금리전년동월비를 함께 고려하면 물가를 더 잘반영할지 생각해보자.
또 한국에서 실질금리에 대해 전문가들이 얼마나 오남용+개무시하는지 생각해보자.
왜 그런지도 추가로 생각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