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4월 10일 수요일

herbalife, KPMG


herbalife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1/hebalife.html

내부거래 혐의' KPMG, 허벌라이프·스케쳐스 감사 포기

http://www.businessinsider.com/herbalife-halted-2013-4

The Dumbest Insider Trading Scheme Ever Alleged


미국의 허벌라이프 본사의 분식회계 의혹과 관련해서 미국의 유명한 투자자들 간에 대립이 존재했다.

내부자 거래와 관련한 혐의로 허벌라이프의 감사를 담당했던 KPMG가 허벌라이프에 대한 감사를 포기했을 뿐 아니라, 지난 3년간의 재무제표에 대한 승인을 철회한다고 발표했다. 더불어 FBI와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조사를 받는다고 한다.

지금 드러난 것은 내부자 거래에 대한 혐의이지만, 그것이 사실이기에는 너무나 미련한 짓이라고 한다면, 배후에 더 놀라운 일이 벌어졌을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자세한 내막이 밝혀지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겠지만, 미국의 허벌라이프가 불법 피라미드가 아니라고 주장했던 사람들에게 불리한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는 점은 명확하다. 미국의 허벌라이프가 여전히 한국인이 선호하는 미국주식 2위인지는 모르나 좋을 결말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KPMG는 미국의 4대 회계법인, 컨설팅 회사 중의 하나이지만, 스캔들의 규모, 파장에 따라 어떤 일이 발생할지는 알 수 없다. 분식회계 스캔들로 2000년대 초 미국의 침체에 일조했던 엔론뿐 아니라 이 회사의 감사를 맡은 아서앤더슨도 파산했다.








LG전자 - 사리를 만드는 기업


디스클레이머.
내 몸에 사리가 생긴다면 8할은 LG전자때문이다.


1분기 실적이 궁금하나 보름은 기다려야 한다.
항상 예측을 뛰어넘는 기업이니 추정은 삼가는 것이 좋다.
포기하고 기다리기로 한 지 오래이나, 치기가 발동해서 썩고 있던 2012년 그림을 올려본다.



3년이 넘게 감소하던 매출이 방향을 틀었다.
전화기와 기타 모두 기여했다.



1분기 이래 지속된 영업이익의 감소에 계절성뿐 아니라, TV의 예상치 못한(?) 부진도 기여했다.
중요한 것은 전화기가 버틴다는 것이다.




이익율에도 전화기의 턴어라운드가 명확하다.
저평가의 원인이 전화기에서 TV로 바뀔지 알 수 없는 노릇이다.
다만 asymco의 데디우처럼 노골적으로 LG휴대폰 사망설을 유포하던 자들의 입을 막아준 것만으로도 작년의 실적은 충분히 역할을 했다.





sec에서처럼 전화기와 기타부문으로 묶어서 보는 것은 여기서도 유효하다.
전화기의 턴어라운드가 전체영업이익의 방향을 유지하고 있다.

과거에는 2분기가 실적의 정점이었으나 전화기의 몰락 이후 종잡을 수 없게 바뀌었다.
전화기의 회복이 가시화되면 1분기보다 2분기의 실적이 개선될 것이다.
실적개선이 지속되면 삼성전자에서 3년째 관찰하고 있는 것처럼 계절성이 사라지는 것도 볼 수 있을 것이다.
물론 김칫국이다.



이익율도 대동소이하나, 전화기의 개선이 더욱 두드러진다.






과거에 이런 분석으로 실적 예측이 가능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욕심을 부린 적이 있다.
지금 판단은 상식을 벗어나는 기업은 상식으로 분석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냥 과거의 모습을 기억하기 위한 목적이다.

LG전자같은 기업의 주가를 한 마디로 설명한다면 생존에 대한 기대감이다.
넘버 3는 살아남지 않을까 하는 그런 기대감이다.

노키아, 블랙베리, 모토롤라는 존재감이 없다.
레노보를 포함해서 중국업체는 그저 싸구려 업체에 불과하다. 90년대 초반의 삼성.
HTC도 거의 사망했다.
팬택. 글쎄.
소니가 LG전자처럼 돌아오게 될까? 그러나 넘버 3는 아닐 것이다.







우선주 보고서에 대한 단상


http://blog.naver.com/ehdwl2000/40186798938


기존 보고서를 편집한 수준이다.
한국의 우선주 수익율조차 단순평균으로 계산할만큼 기본이 안되어 있다.
기하평균을 쓰던 다른 것을 쓰던 장기 수익율을 비교하려면 최소한의 기본은 지켜야 한다.

그런데 일단 보고서처럼 2000년부터 수익율을 계산하는 것은 썩 좋은 생각이 아니다.

우선은 보통 10년, 5년, 3년 단위로 수익율을 비교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2005년 전후로 한국시장의 대세상승이 시작되면서 장기 수익율이 레벨업되었다.
바로 그 때부터 우선주가 뒤쳐지고 있다.
또 그 시기를 전후해서 대형주, 중소형주, 성장주, 가치주 등의 수익율에 장기간에 걸친 차이가 발생했다.

또한 한국의 개인투자자 대부분은 투자의 기간이 13년이 되는 경우가 없다.
한국기관투자자의 포트폴리오도 가치투자펀드를 포함해서 평균 회전율이 수백%가 넘으니 거의 무의미하다.

가장 중요한 점을 추가하면 우선주 수익율이 2001년-2002년 사이에 특별히 높았다.
그러니 그 시기를 포함해서 수익율을 단순평균하면 비교의 가치가 거의 없다.
포함하려면 아예 더 길게 해야 바이어스를 줄일 수 있다.

의도적으로 2000년부터 계산할만큼 자세히 생각해봤을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데이타를 들여다보면서 기본적인 사항등을 먼저 확인하고 왜 라는 질문을 던지지 않고, 남의 보고서를 요약 정리하는데서 시작을 하니 장수를 늘리기에는 좋은데 투자에는 도움이 되지않는 쓰레기 분석이 쌓이는 것이다.

한국의 일부 우선주에서 보통주대비 수익율이 낮지 않은 이유는 삼성전자처럼 특별한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주로 배당성향, 배당의 안정성 때문이다.

실제로 보통주와 우선주의 수익율을 비교하려면, 과거의 배당을 종목별로 조사하고, 주식수 변동을 확인하고, 배당재투자를 고려해야 한다.
총수익율이라고도 부르는 모양이다.
그러나 그려려면 시간이 매우 많이 들고, 한 종목을 제대로 정리하는 것도 어렵다.

주식투자바이블, 투자의 미래를 쓴 제레미 시겔교수가 훌륭한 점은 그런 과정을 대상이 되는 종목 전부에 대해 모두 분석을 수행하고 방법론을 상세히 밝혀놓았다는 것이다.

상식 수준의 과학적인 분석이 제레미 시겔 교수의 책에는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아직 한번도 한국 시장의 우선주에 대해 기본적인 규칙을 지키면서 분석한 보고서를 본 적이 없다.

과거에 한번 s-oil우선주에 대해 나름 기본을 갖춰서 조사를 해본다고 했는데, 블로그에 왔던 사람들의 반응이 별로였다. 막상 열심히 해도 과거의 자료를 가지고 왜 그렇게 열심히 분석을 하는지 이해하는 독자도 많지 않다는 것 또한 한국의 현실이다.


위의 보고서는 예전에 우선주에 대한 수많은 카피 보고서를 보지 않은 사람에게는 요약정리의 의미가 있는 보고서이고, 배당수익율, 괴리율 순으로 정리한 표는 도움이 된다.
이런 표를 증권사의 단말기에서 쭉 뽑으면 5분이면 될 것이다.


-------
전에는 주로 상식을 벗어난 기사에 대해서 비판을 했었는데, 투자에는 제도권 보고서의 문제를 확인해보는 것이 더 도움이 될지도 모르겠다. 그런다고 그들이 바뀔리는 없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