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는 가능한 여러 시나리오 중 하나.
일본에서 발생한 지난 1년 간의 변화가 지속되면 30년 간의 저성장, 저물가에서 벗어나는 동력을 얻을 수 있다.
고용 상황은 미국 등 다른 선진국과 비교해도 뒤지지 않아서 임금상승이 지속된다면 소비의 활성화를 통해 경기 회복이 지속될 수 있다. 명목임금이 물가를 따라잡아서 실질 임금의 양전이 유지되는 지가 중요하다.
추세가 이어진다면 ycc에 대해서 기간은 낮추고, 변동폭을 늘리는 미봉책도 가능하고, 폐지할 수도 있다.
기준금리는 물가상승이 transitory하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는데 필요한 시간이 어느 정도 채워지고 있어서 ycc이 유명무실해진 후 도입할 수 있다.
양적 질적 완화를 통해 일본은행은 일본국채와 일본주식etf와 일본리츠etf를 매입하는 특이하고 강력한 정책을 10년이상 유지했다. 출구전략의 마지막에 변화가 나타날 것이다.
시점을 늦추더라도 미국의 기준금리가 5%에 도달하고, 일본의 물가가 4% 이상에서 몇 개월 유지되면 신임 일본은행 총재는 위의 정책을 도입 순서의 역순대로 축소하거나 폐지하게 되고 22년 후반 일본 환율과 채권 시장에서 나타났던 급격한 변화들이 몇배의 강도로 재현될 수 있다.
변동성이 더 크다면 방향은?
쉬운 것, 변수가 적은 것 부터 생각해본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시장과 소비자의 기대보다 높게 오래 지속될 것이다.
미국의 기준금리도 그러하다.
일본의 대응이 늦어지면 엔화약세를 통해 수입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적으로 확대된다.
일본은행이 환율시장 개입, 채권시장 개입을 통해 완화기조를 유지하면서 환율과 금리를 통제하려는 시도를 하지만 시장이 더 이상 반응하지 않는 시점이 나타난다.
기습적으로 ycc을 폐지한다.
10년물 금리가 1%로 갭상승한 후 3%를 향해 지속적인 상승세를 유지한다.
일본채권 일드커브가 매우 가팔라진다.
다운스트림 기업들과 소비자들의 가격상승에 대한 저항이 낮아지고, 기대 인플레이션이 상승한다.
다수의 대기업들이 20-30%의 임금 인상을 발표하면서 중소기업들도 동참하기 시작한다.
내수와 서비스에 의한 수요 측면의 물가 상승이 본격화되기 시작한다.
물가가 5%를 넘기면서 마이너스 기준 금리의 정상화에 대한 기대가 나타난다.
기준금리상승을 시작한다.
23년 하반기에 기준금리가 1%에 도달하고 반기만다 1%씩 상승한다.
24년 하반기에 3%에 도달한다. 이때 미국은 5%, 한국은 4% 이상의 기준금리를 유지한다.
여기까지는 쉬운 상상. 지금부터는 어려운 상상.
엔화의 방향은?
금리상승으로 일본 정부의 채무부담 증가에 대한 우려가 커지지 않으면 외환시장에 패닉이 나타나지 않고 무역수지 적자 요인의 악영향도 방어가능.
이 경우 느린 약세.
금리상승이 강세로 이어진다고 보기에는 기본 전제가 물가 상승의 고착화라서 어려움.
인플레이션은 실제로 통화가치의 하락과 동의어나 마찬가지임.
공급측면의 물가요인이 사라진 이후 남는 것은 일본의 성장이 지속될 수 있는지 여부.
투자와 소비가 지속되기 위해서 전 세계의 경기가 유지될 필요가 있는데 미국 경제는 항상 기대 이상.
일본의 반도체 투자는 정부가 주력할 타겟이 명확하다는 점에서 유리.
일본(한국도)이 미국, 유럽보다 판데믹에서 벗어나는데 1년 이상 지체했고, 여기에 6개월 이상 더 지체된 중국의 회복으로 향후 해외 관광객 유입 지속 증가할 예정.
일본의 평균 임금 상승은 아직 추세를 보이지 않지만 수상의 교체, 일본은행장의 교체로 인해 강력한 드라이브가 걸릴 수 있음. 기업들의 임금상승이 물가에 많이 뒤쳐지지 않아야 10년간의 완화에서 벗어나는 출구정책을 시도할 수 있음.
지금 일본 정부는 기업이 물가를 올리고, 임금을 올리는데 최대한의 압력을 다하고 있고, 한국에서 물가와 금리를 낮추기 위해 은행, 통신사, 전기가스회사 꿇어 앉히는데 쓰는 에너지 이상일 것으로 보임.
----------------------------
관련 그림.
출처: 일본은행, oecd, tradingeconomic, 한국은행
요약
90년 이후 어느 때보다 일본에서 물가 상승과 임금 상승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투자자의 문제
1. 만약 정부정책, 중앙은행정책에 맞춰서 투자해야 한다면 미국, 중국, 한국, 일본, 대만 중 유리한 나라는? (산업은?)
2. 정책이 총체적으로 실패한다면 가장 크게 피를 볼 나라는?
3. 가능성을 결정하는 요인은?
4. 보상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