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5월 16일 화요일

미세먼지가 SO2, O3, NO2보다 덜 중요한 오염물질일 수도

탐사 황사마스크 K...


찾아보니 사망률과 대기오염물질과의 관련성을 보여주는 논문은 산처럼 많다.
그러나 홍콩에서 대기오염물질과 심장질환, 호흡기질환과의 관련성을 보여준 논문은 많지 않다.

호흡기 및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일별 사망과 홍콩의 대기 오염 사이의 연관성
Associations between daily mortalities from respiratory and cardiovascular diseases and air pollution in Hong Kong, China
https://scholar.google.co.kr/scholar?hl=en&q=Associations+between+daily+mortalities+from+respiratory+and+cardiovascular+diseases+and+air+pollution+in+Hong+Kong%2C+China&btnG=&as_sdt=1%2C5&as_sdtp=

이 논문은 1995년부터 1998년까지 미세먼지, SO2, O3, NO2의 일별 농도와 일별 사망률을 비교한 논문이다.
홍콩인구가 적기는 하지만 홍콩 사망자 전체에 대한 데이터이고, 홍콩은 후진국은 아니라서 의료데이터의 질은 중국과 비교할 수 없다.

Conclusions: Mortality risks were detected at current ambient concentrations of air pollutants. The associations with the particulates and some gaseous pollutants when analysed singly were consistent with many reported in temperate countries. PM10 was not associated with respiratory or cardiovascular mortalities in multipollutant analyses.
결론 : 대기 오염 물질의 현재 주변 농도에서 사망 위험이 감지되었다. 단독으로 분석했을 때 미립자 및 일부 기체 오염 물질과의 연관성은 온대 국가에서보고 된 많은 것들과 일치했다. PM10은 다중오염원 분석에서 호흡기 또는 심혈 관계 사망과 관련이 없었다.

이 논문의 결론은 눈길을 잡아끈다. 왜?
대기오염물질 중 미세먼지의 중요성이 사람들이 상상하는 것보다 높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무슨 근거로 그런 주장을 하는가?




일단 개별 변수와 사망률과의 관계를 보면 4가지 오염물질이 각각 사망률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질병이 있다. (유의한 경우를 분홍박스로 강조)
그 중에서도 특히 미세먼지는 유의한 경우에도 적은 차이로 유의성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오염물질을 4개, 3개, 2개로 조합해서 확인해보면 미세먼지는 어떤 경우에도 사망률을 유의하게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볼 수 없게 된다.

다시 말하면

90년대말의 홍콩에서 미세먼지의 증가는 심혈관과 호흡기 질환의 사망률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지만, 그것은 직접적인 효과라기보다는 주로 오존의 증가에 의한 것이거나 (호흡기질환, COPD), 아니면 질소산화물에 의한 것이거나(허혈성 심장질환, 폐렴) 아니면 황산화물에 의한 것이었다고(호흡기질환, 폐렴) 볼 수 있다는 것이다.


이 분석으로 미세먼지의 위험이나 각 오염요인들간의 시너지를 배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온통 미세먼지만 의심하는 시절에 중국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홍콩의 자료가 시사하는 바는 미세먼지에만 목맬 필요 없다는 것이다.
또한 위의 자료는 대기오염의 장기적인 효과가 아니라 초단기 효과를 확인한 것이라서 복잡하게 머리를 쓸 필요가 없게 만드는 장점이 있다.


----------------------
대기오염 관련지도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5/blog-post.html

https://www.windy.com/overlays?geos5,cosc,33.431,71.719,3,m:fnqaj6K --- co2
https://www.windy.com/overlays?geos5,so2sm,33.431,71.719,3,m:fnqaj6K --- so2
지구 전체의 so2, co2, dust를 각각 확인 가능.
기상 관련한 온도, 습도, 바람, 기압 등을 포함해서 중요한 대부분의 기상 지표 표시.


폐렴 - 부상하는 사망원인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5/blog-post_14.html

한국과 브라질의 공통점 - 폐렴 표준화사망률 비교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5/blog-post_16.html

한국과 대만의 공통점 - 폐렴 조사망률 비교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5/blog-post_24.html




한국과 대만의 공통점 - 폐렴 조사망률 비교

탐사 황사마스크 K...


대기오염 관련지도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5/blog-post.html

폐렴 - 부상하는 사망원인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5/blog-post_14.html

한국과 브라질의 공통점 - 폐렴 표준화사망률 비교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5/blog-post_16.html


어쩌다 보니 폐렴 사망률 관련 조사만 하고 있다.
우연히 2000년대 초반 북유럽과 러시아에서 폐렴 사망률이 공통적으로 높아진 적이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나 여전히 궁금한 것은 중국 주위 국가의 폐렴 사망률 추이이고, 한국은 대만과 같은 추이를 보이고 있다.



http://w3.mohw.gov.tw/CHT/DOS/Statistic.aspx?f_list_no=312&fod_list_no=1610

대만의 보건복지부(한국과 이름이 같다)에 난잡하게 늘어놓은 사망률 통계가 있다.
그 중에서 폐렴 부분을 찾아서 한국과 비교했다.


2000년 이후 15년 동안 두 나라에서 폐렴 조사망률은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분홍, 노랑)

표준화사망률은 대만의 기준이 한국기준이나 oecd기준과 같을 이유가 없고, 기준이 뭔지 찾기도 어려워서 비교해도 의미파악은 어렵다.

조사망률의 증가는 주지하다시피 고령화에 의한 것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그러나 우연히(!) 한국과 대만의 인구구성은 크게 다르지 않다.

http://www.indexmundi.com/taiwan/age_structure.html
http://www.indexmundi.com/south_korea/age_structure.html



따라서 표준화하지 않은 조사망률을 이용해도, 충분히 의미 있는 비교가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결론은 한국, 대만에서 공히 폐렴에 의한 사망률이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확장된 결론은 한국, 대만, 브라질에서 폐렴에 의한 사망률이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다.



---------------------
아래는  표.
(대만은 연호가 다르다.)






한국과 브라질의 공통점 - 폐렴 표준화사망률 비교

탐사 황사마스크 K...


폐렴 - 부상하는 사망원인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5/blog-post_14.html

아시아 국가들의 폐렴사망률을 비교하면 한국의 미세먼지 대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을 수도 있다.


http://stats.oecd.org/Index.aspx?DataSetCode=HEALTH_STAT#

그런데 폐렴 사망률의 국가별 비교가 가능한 자료가 oecd에 있다.
10만명당 성별 조사망률(crude rate), 연령표준화사망률(standardised rate)이 포함되어 있다.

아쉽게도 한국, 일본을 제외한 동아시아 국가의 자료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인도도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다행스럽게도 브라질, 러시아, 터키의 자료는 포함되어 있다.

아래는 전부 표준화사망률.


한국과 브라질의 폐렴 사망률은 10여년 이상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이외 몇 개 국가에서도 최근 몇년간 상승하고 있다.
한국보다 잘사는 나라는 포함되어 있지 않다.



선진국, 후진국을 포함하는 여러나라에서 2000년대 중반까지 폐렴 사망률이 뚜렷하게 증가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위 그림은 그 나라들만을 뽑아놓은 것이다.


일부 국가, 일부 시기를 제외하면 oecd국가에서 폐렴사망률은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그런 점에서 한국은 예외적이다.



노란색으로 폐렴사망률 상승기를 표시해보면, 전혀 랜덤하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폐렴 사망률이 증가하기 시작하면 몇 년 동안 지속되는 추세를 보인다.




북유럽과 구러시아연방소속 국가에서 밀집된 패턴을 볼 수 있다.
이것이 병원체에 의한 것인지, 대기오염에 의한 것인지, 혹은 다른 원인때문인지는 모른다.


특이한 점은 일본의 폐렴 사망률은 감소하고 있지만, 여전히 세계 최고 수준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다.



이 자료는 메이비님의 도움으로 확인한 것이다.
만약 중국과 인근 국가들의 자료를 한국과 비교할 수 있다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선진국처럼 낮았던 한국의 폐렴사망률이 후진국스러운 패턴으로 바뀐 것이 한국기원인지, 중국기원인지 확인할 수 있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