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biz.heraldcorp.com/view.php?ud=20141226000489
일본의 가계저축률이 마이너스 전환했다는 것이 작년말의 뉴스였다.
덕분에 경제동물이라는 오래된 말도 다시 들을 수 있었다.
일본의 거품이 꺼진후 지난 20년동안 일본과 관련해서 자주 듣던 말들은 읽어버린 20년, 오다쿠, 히키코모리, 고독사, 식물남처럼 활력이 빠져가는 사회의 단면을 나타내는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저축률이 마이너스라고는 하는데, 이것이 과거에 다른 곳에서 인용되던 값과 비교하면 약 3%정도의 차이가 난다. 그러니 현재의 -1.3%는 이전 자료들에서는 약 2%정도의 저축률에 해당한다.
이러한 차이는 기사에서 설명한 저축률("국가 전체의 가계 소득에서 세금과 사회보험료를 뺀 가처분소득 중 소비지출을 제외하고 저축으로 돌린 비율") 계산법 차이에서 나오는 것이겠지만, 상세한 내용은 알 수 없다.
source: Demographic change and household savings in Japan and Korea: implications for china (English)
세계 은행의 보고서인데 몇 나라의 저축률 그림이 깔끔하고, 총저축률, 가계, 기업을 구분해서 보여주니 편하다.
위의 보고서에서는 인구구조와의 관련성에 대해 언급한다.
http://www.imf.org/external/np/seminars/eng/2012/korea/pdf/yhorioka.pdf
인구구조와 저축률에 대해서 한국, 인도를 비교한 보고서. 여러나라 비교그림 포함.
금리, 물가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다.
특히 실질 금리는 저축률과의 관련성이 높다.
신기하기도 하고 당연하기도 하지만, 많은 전문가들은 대개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이유는 모르겠다.
너무나 뻔해서?
내가 보기에 실질금리는 언제 어디서나 매우 중요하다.
물론 금리차도 항상 중요하다.
일견 한국의 저축률도 외환위기 전후의 급변동을 제외하면 일본과 대동소이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일본보다 훨씬 높고, 기업의 저축률, 총저축률, 총투자(안 보이지만)가 더 높다.
이것이 단순히 양적인 차이인지 질적인 차이인지는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왜?
한국의 성장속도는 앞으로도 오랫동안 일본보다 높게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
중국은 아직 한국, 일본과 전혀 다르다.
아직도 중국의 저축, 투자는 한국, 일본의 최고시절보다도 훨씬 높다.
어떤 과정을 거쳐 낮아질 지 알 수 없으나, 단기간에 낮아지는 것은 불가능하다.
GDP도 그럴 수 밖에 없다.
변동성이 클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하지만, 논외이다.
https://research.stlouisfed.org/publications/review/11/03/67-88Wang.pdf
미국의 저축률은 길게 볼 수 있다.
70년대 중반이후 계속 내리막을 보이다가, 금융위기에 바닥을 확인했다.
파란선은 소위 debt service ratio (DSR)이고,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을 나타낸다.
부채가 가계에 미치는 부담을 표준화해서 비교하기 위해서는 가계부채를 가계순자산과 비교하는 것과 원리금 상환액을 가처분소득과 비교하는 것은 그중 낫지만, 가계부채/가처분소득처럼 허술한 방법이 더 자주 사용되는 것이 현실이다.
가계저축률과 DSR의 분모가 똑같이 가처분소득이다.
가처분소득 중에 소비지출을 뺀 대부분은 저축과 원리금이다.
합쳐보면 30년동안 내리막이다.
소비지출은 30년동안 오르막이었다는 것이다.
적어도 미국에서는
1. (소비지출)과 (저축+원리금상환액)은 장기적으로 일정한 추세(secular trend)를 보인다.
2. 단기적으로 저축의 감소는 원리금상환액의 증가를 낳고, 역도 성립한다.
3. 원리금 상환액을 결정하는 각종 요소(부채원금, 금리, 대출 조건....)는 저축과 매우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 위에서 확인한 것처럼 가계저축과 부채는 동전의 양면이다. 반면 소비는 별개이다.
# 한국의 전세가 저축인지 부채인지 많은 전문가들이 사람들이 고민하지만 다르지 않다.
# 전세금을 올리기 위해 저축하는 것은 담보대출을 갚는 것과 유사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위의 단순한 관계를 다시 확인했다.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총부채)*(10년국채금리)를 계산해보면 가계저축률과 거의 대칭이다.
미국에서 저축률은 가계부채와 금리로 환원해서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만약 일반적으로 인구구조, 부동산가격같은 변수들이 저축률을 결정한다면, 같은 변수가 가계부채와 금리도 결정해야 한다.
그런가?
정말 그런가?
적어도 금리가 인구구조를 결정하는 정반대의 관계를 설정하는 것은 쉽지 않다.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
한국은행의 자료이다.
위의 자료와 같지만, 최근 자료를 포함한다.
한국의 가계도, 기업도 저축이 낮아지지 않고 있다.
가계의 저축이 낮아지지 않는 것을 원리금 상환액이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을까?
가계대출금리와 가계의 월 이자비용이다.
2011년부터 증가하지 않고 있다.
왜?
금리가 낮아지는 속도가 부채가 증가하는 속도보다 빨라서 그렇다.
이자비용은 소득과 비교해본다.
부채는 순자산과 비교해본다.
기업에서 하듯이 가계의 부채도 그렇게 볼 필요가 있다.
그래서 한국의 부채가 문제가 될 것인가?
몇년째 똑같은 답.
한국의 부채는 일본보다 먼저, 중국보다 먼저, 유럽보다 먼저 문제가 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fig: db
동네 은행들만 그렇게 계산하는 것이 아니고, imf나 기타 저명하신 국제기구들 생각도 비슷한 모양이다.
한국이 미국, 영국, 독일같은 몇 나라를 제외하면 대부분의 알만한 나라들보다 덜 위험하다.
한국 내에서 비교하면 가계가 상대적으로 더 위험하다는 것과 혼동할 필요없다.
한국의 부채가 터지려면 내부에서 먼저 시작하기보다 외부에서 밀려올 것이다.
실제로 그렇게 진행되면 보일 것이다.
쓰나미가.
그러니 한동안은 가계부채에 신경을 끄기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