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11월 11일 금요일

환율 음모론 20221111

 




그림 출처: 

https://stooq.com/q/?s=usdjpy&c=10d&t=l&a=lg&b=1&r=usdeur+usdgbp+usdkrw+usdcny+usdtwd



5거래일 째 원화강세가 다른 통화대비 두 배 이상의 속도로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속도가 너무 빨라서 정상적인 설명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그래서 혹시 정부 혹은 한국은행에서 계획한 외환시장 개입이 아닐까 상상을 해 보았다.



1) 지난 달 한은 총재는 "해외 위험자산에 투자해 환율이 올라갈 경우 이익을 볼 것으로 생각하지만 환율이 1~2년 후 정상화 됐을 때 생각하지 않고 투자하면 상투를 잡을 위험이 있다"고 매우 친절한 조언을 했다.

물론 까불다가 다칠 수 있다는 얘기이지만, 배를 째 주겠다는 얘기였다면 얼핏 순해 보이는 총재가 사실은 엄청 무서운 투사일 수도 있다는 것이다.


2) 지난 두 달여간 외환 시장에 실제 개입 혹은 구두 개입을 단행한 것으로 추정되었던 영국, 일본, 중국 등의 환율이 결과적으로 강세로 돌아서고 있었다. 달러 강세가 주된 문제였음에도 불구하고 각국의 독자적이고 산발적인 개입이 효과를 나타내는 시장이었다는 것이다. 미국 당국도 반복적으로 용인하는 태도를 보였다.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2/09/fx-intervention-20220930.html


3) 어제(10일) 발표 예정되었던 미국 cpi는 전달에 이어 하향 추세를 유지할 가능성이 높았다. cpi 고점을 확인하면 피봇이 나타나고 강달러와 주식, 채권의 동반 폭락이 끝날 것이라는 기대가 커지고 있었다. headline과 core의 추세는 다르지만 피봇 결정에 유리할 수 있는 headline에만 사람들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었다.


4) 또한 어제(10일) 발표 예정되었던 미국 재무성의 환율보고서가 발간되고 나면, 반년 후 새로운 보고서가 준비되기까지 미국 당국의 눈치를 덜 볼 수 있다.

https://home.treasury.gov/news/press-releases/jy1094

http://www.sisafocu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6502


5) 가스, 석탄 가격 상승으로 한전의 적자는 올해에만 30조를 넘길 수 있고 내년에도 크게 달라지기 어렵다. 만약 원화 강세가 나타나면 한전의 적자로 인한 전기요금인상, 한전채 발행 관련 채권 시장 경색의 난제에 상당한 숨통을 틔울 수 있다.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2/11/20221103.html


6) 한국의 외환보유액은 최근 감소하고 있었지만, 몇 번 이상 강하게 외환시장에 개입할 규모가 되고도 남는다.


7) 만약 외환시장 개입에 성공해서 원화 강세로 한국의 원화, 채권, 주식에 대한 숏 포지션을 완전히 괴멸시킬 수 있으면 당분간 원화 약세가 빠르게 진행되는 부담을 벗어날 수 있다.



아직 무슨 일이 발생했는지 모른다.

다만 외환 당국이 본격적으로 개입했던 것이라면 타이밍이 좋았고, 일단 성공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 9개:

  1. 강달러가 끝나도....중달러는 될것이고 채권은 좋아지겠지만 주식은 경기불황이 오는데 좋아지는게 힘들것으로 보는데 시장의 기대는 크네요

    답글삭제
    답글
    1. 고물가나 경기침체에 대해서 어제 데이타가 다르게 볼 힌트를 준 것 같지 않은데 참 열광적인 시장입니다. 그 와중에 역대급 개인 매도도 신기하구요. 금투세 관련해서는 시장 조정이 조금만 더 갔으면 여론에 유리했을 것같기도 한데 어떨지 모르겠네요.

      삭제
  2. 어제 박소연전략가의 인플글도 그렇고 지난번 글도 그렇고 사람들이 엄청 듣고싶어하는것이 주가상승이구나 그생각드네요

    답글삭제
    답글
    1. 바라는 것이 이루어졌으니 오늘은 다수가 행복했을 것 같습니다.

      삭제
  3. https://n.news.naver.com/article/014/0004927170 외환당국이 기관투자자의 환헤지와 조선사의 선물환 매도를 지원한다는 것은 금융위기 직전 원화가 900원에 도달할 때 벌어졌던 일을 정부가 주도한다는 것. 잘 되면 약이 될 수 있지만 달러강세 압력이 단기간에 끝나는 것이 아니면 정부와 한은이 원화 초약세의 기틀을 마련하는 것이고 도박과 다르지 않다고 봄.

    답글삭제
    답글
    1. 위험을 키우면 언젠가 댓가를 치르게 된다.
      외환시장이 터지지 않을 것으로 확신하면 자연스럽지 않은 일을 굳이 할 필요가 있을까?

      삭제
    2. 모두가 예상하는 폭락은 발생하지 않는다 vs 복잡하게 꼬인건 한 번 터져야 정리된다

      둘 중 뭘까 생각해봤는데, 이러다가 모두가 예상하지 않은 경로에서 몇 가지 문제가 더 발생해서, 뒤통수를 방어하다 불시에 관자놀이를 맞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지 않나라는 생각도 해봅니다.

      직접 주식투자를 하는 입장에서야 시장에 머물러 있으라는 내용이 거의 항상 옳고... 이번에도 결국 2200에서 2500까지 오를 때 시장에서 빠져 있었다면 마음이 2중으로 아팠겠지만, 막상 예상치 못하게 올라버리니까 무서움이 더 커지네요.

      삭제
    3. 주식시장 자체는 낙폭과대에 따른 반등이 가능한 상황에서 미국발 cpi호재가 불을 붙일 것일수도 있는데, 위기의 진앙이 될 수 있다고 의심받던 채권시장은 cp금리 등을 보면 전혀 호전되지 않고 있습니다.
      한전채 관련한 문제는 채권시장과 물가에 직접 영향을 주고 있으니, 정부가 동원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든 최대한 동원해서 환율을 낮추고 수입물가도 낮춰서 전기요금을 덜 올리면서 버티려는 것은 아닌가 싶고, 맞다면 경제적인 이유보다는 정치적인 이유가 더 크다고 할 수 있네요.
      그러나 미국 core cpi가 3개월만 현 수준에서 머물면 환율조작의 효과는 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삭제
    4. 기사에 나온 내용대로면 직적 개입도 아니고, 구두 개입도 아니지만, 관련 기업과 기관의 손을 비튼 것이니 개입일수도 아닐 수도 있겠네요.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