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3월 31일 금요일

19대 대통령


대통령 선거는 최악이 아닌 선택을 하면 충분한 게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다수가 최악의 선택을 하면 어떤 일이 발생하는지 온 국민이 목도하고 있다.
그렇게 뽑힌 최악의 대통령은 특별한 선물을 남겨놓고 갔다.

19대 선거에는 최악의 선택이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여당이 사라져서 어떤 선택을 해도 정권교체는 필연적이다.
단일화라는 정치공학이 작동할 여지가 감소하면서 국민들은 정치권 내부의 야합, 담합이 아니라 지지율로 후보자를 좁혀나가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다.

최근까지 대선시장을 지배하던 대세론은 각 당의 경선이 끝나면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을 수 있다.





반기문의 표는 황교안과 안희정에게 반반씩 넘어갔다.
황교안이 답보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동안 안희정은 세를 불렸고 결과적으로 황교안의 발목을 잡았다.
황교안의 표는 홍준표와 김진태에게 남았으나, 일부는 다시 안희정에게 넘어갔다.
안희정은 튀는 언동으로 보수의 마음을 잡았으나 민주당 후보가 될 가능성이 사라지면서 안철수에게 표를 넘겨주고 있다.

같은 기간 문재인, 이재명의 지지는 일정한 수준에서 등락을 반복했다.



(문재인+이재명)의 지지율이 45%를 넘나드는 동안, (안철수+안희정+손학규)의 지지율은 30% 초반을 유지했다.
현재 15%수준인 보수의 지지율은 지속해서 감소하고 있고, 골수 박근혜 지지자들만 남기고 떠난다면 조만간 10% 이내로 감소할 것이다.
이 표가 안철수, 국민의당으로 넘어가서 오차의 범위 이내로 차이가 감소하는 순간, 본격적인 대선이 시작될 것이다.


그럴려면 민주당지지자들이 감소해야 하고, 국민의당지지자들이 증가해야 한다.
가능할까?



안희정을 따라 증가한 민주당 지지자는 골수가 아니다.
안희정이 탈락한 후 문재인을 지지한다면 원래지지자에 해당하는 5%가 남을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더 감소할 것이다.
이재명 지지자들은 민주당에 남아 문재인을 지지할 가능성이 높다.

민주당지지율 40%, 문재인지지율 45%가 현재 기대할 수 있는 현실적인 숫자이다.





안철수 지지율, 국민의당 지지율은 동시에 증가하고 있다.
단기간에 안희정의 지지표를 흡수해서 30% 수준에 도달하면 양박 혹은 골박을 제외한 보수의 지지를 얻을 가능성이 증가한다.
40%에 육박하는 지지율이 나오면 문재인 대세론은 사그라들게 된다.


반기문, 황교안의 불출마 이후 국민이 지지자를 갈아타는 시간이 2-3주 걸렸다.
각 당의 후보가 결정되고 나면 빠르게 진행될 것이고 길어도 3주 후에는 상황이 정리될 것이다.

위의 예상대로 대선이 진행되면 문재인은 마지막 순간에 심상정의 지지를 호소하게 될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승리를 확정지을 수가 없다.




------------------

위의 그림의 자료는 1월 이후 리얼미터의 자료를 선관위에서 받은 것이다. 다른 조사기관의 자료들까지 비교하면 좋겠으나, 추세를 보는 것은 한 회사의 것으로 충분하다.

http://www.nesdc.go.kr/portal/main.do
조사기관명은 리얼미터, 조사의뢰자는 MBN, 매일경제.







2017년 3월 23일 목요일

국제수지, 외환보유액, 환율 20170323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g2-dollar-yuan-ppi-cpi.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12/usdkrw-cpi-20161213.html

환율를 예측하려면 물가를 예측해야 한다.
금리나 성장은 다음 문제이거나 혹은 좀 다른 문제이다.

환율의 과거를 설명하려면 국제수지와 외환보유액을 먼저 봐야한다.
그래서 다시 본다.


12개월 누적 국제 수지이다.

경상수지는 12년 이후 흑자가 매우 커졌고 최근 고점을 확인 중이다.
수출과 무역수지는 아래 그림.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1/korea-export-20170103.html


자본금융계정은 경상수지와 대칭이고 아래방향이 유출이다.
준비자산증감도 금융계정에 포함되는 것이고 아래가 유출이지만, 외환보유액이 증가하는 것이다.
자본금융계정에서 준비자산을 제외한 것이 민간의 자본이 해외로 유출되는 것을 표시한다.




90년 초반 이후 누적치.

경상수지와 자본금융계정은 대칭이다.
준비자산을 제외한 자본금융계정은 11년 고점이후 지속적으로 하락중이다.

98년 외화위기 이후부터 2011년까지 한국은 경상수지로 달러가 들어오고, 자본금융계정으로도 달러가 들어오기 때문에 외환보유액이 증가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14년 이후 외환보유액은 일정한 수준을 넘지 않고 있다.
크게 보아 경상수지와 자본금융수지의 균형이 도달된 것으로 볼 수 있고, 정부는 외환보유액을 이용해서 환율을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하는 전형적인 스무딩조작을 하고 있다.





2011년까지의 누적치를 보면 16년 말 누적경상수지의 1/4에 불과해서 확대하지 않으면 세부적인 변화를 확인하기 불편하다.

탄핵당한 대통령이 지배하던 5년동안 차원이 다른 수준의 무역수지, 경상수지를 달성했다.
해외부채보다 해외자산의 규모가 커졌고, 자본을 수출하는 나라가 되었다.
2차산업, 제조업 수출 중심의 국가에서 어느새 3차, 4차산업의 수출과 투자가 진행중인 나라가 되었다.

환율수준, 국가간의 투자 장벽들, 타이밍을 맞추려는 노력 등과 상관없이 연기금, 외환보유액, 개별기업, 개인 등 어떠한 투자 주체들도 해외투자를 고려하는 세상이 되었다.

쌓인 자본이 해외보다 한국에 투자되는 것이 유리하다면 위의 그림에 변화가 발생할 수 있지만, 그런 조건이 갖추어지기 어렵다. 단기간에 변곡점을 기대하기도 어렵다.




외에 표시한 세가지 외환보유액 중 준비자산누적액은 외환보유액 평가액의 증감을 배제하기 위한 것이다.
상대적으로 정부의 시장 개입을 판단하기에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R3는 오차와 누락을 포함하는 것이라서 외환시장에 대한 보고되지 않는 영향을 포함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어떤 것을 보든 대세에는 차이가 없다.
14년을 전후로 외환보유액의 상승추세가 둔화되었다는 점이 중요하다.



약 20년 가까이 외환보유액의 증가추세가 존재했다.
그래서 외환보유액에서 5년 평균값을 빼주어야 환율과 관련시킬수 있었다.

그렇게 2014년까지 유지된 관계에 지금은 괴리가 확대되고 있다.



최근 2년은 그저 환율과 외환보유액을 비교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정부는 피동적으로 환율이 오르면 달러를 팔고 환율이 내리면 달러를 사서 환율이 급변하지 않게, 혹은 일정한 범위를 유지하게 조절하고 있다.
원화 약세를 위해 지속적으로 외환보유액을 늘리면서 달러를 사고 원화를 파는 일은 없다.
2004년 전후에 투드러지는 전형적인 환율 조작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본다.




준비자산증감액을 누적하고 1년 평균을 빼면 11년 이후 약 6년간 환율과의 관련시킬 수 있다.
한국에서 장기추세가 아니라 단기적인 환율의 변동에 관한 한 변함없이 정부가 가장 큰 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장기추세를 만드는 것은 무역수지, 경상수지를 만드는 큰 수출기업, 수입기업이다.
환율이 기업들의 실적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은 11년까지이고 이후에 벌어진 상황은 기업들 자체의 경쟁력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나 또 한번의 큰 침체를 넘기면 더 확실해질 것이다.


이상에서 외환보유액, 국제수지가 환율의 과거를 설명할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확인했다.

만약 미국의 물가가 한국보다 더 빨리 오르고, 미국이 기준금리를 계속 올리고, 한국의 내수가 여전히 정치에 갖혀있고, 수출기업들은 트럼프, 시진핑의 압박에도 꺾이지 않는다면 환율의 미래는 초딩도 예측할 수 있다. 조건이 달라지면 더 어렵겠지만 한국의 기준금리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는 자체로 중요한 변수가 아니다.


그래도 금리차와 환율이 궁금하다면?

04년에 벌어진 일 - 금리차, 외환보유고, 환율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3/04.html

환율3 - 금리차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3.html

아직 달라진 것은 없다.
그러나 14년 이후 금리차와 환율뿐 아니라 다른 어떤 것도 환율과의 관계가 이전과 같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여러 곳에서 드러나고 있으니 자신있게 결론을 내리지는 말라.






2017년 3월 20일 월요일

돈과 돈이 도는 속도 m2 and m2v 20170320


GDP = M * V = M1 * M1V = M2 * M2V
GDP' = M' + V' + M'V' =~ M' + V'

경기가 회복 중일 때 GDP(명목)가 증가하고 돈이 많이 풀리고(M2 증가), 풀린 돈이 빨리 돌기도 한다(M2V 증가).





그런데 금융위기 이후에는 속도가 회복되지 않고 있다.
그래서 여러 얘기들이 나오지만 강호를 평정하는 이론은 없는 모양이다.
가장 무서운 설명 중에 하나는 대공황이후 2차대전 직전과 비슷한 상황에 놓여있는 것은 아닌가 하는 것이다.

만약 지하실을 뚫고 내려간 v가 회복된다면 근심거리가 하나 사라지는 것이다.




m'과 v'는 오랫동안 대칭이다.
주간 m'가 내려가고 있는 것을 보면 분기별 v'의 상승이 강화될 것이 명확하다.
1-2년 내에 v가 상승전환하는 것을 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예전 수준으로 돌아갈 지는 모르지만, 지켜볼 만 하다.




2017년 3월 18일 토요일

고압경제 + 대칭적물가목표 CPI vs federal rate 20170318


연준에서 기준금리를 본격적으로 올리기 시작했다.
물가 2%가 목표라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작년에 고압경제라는 말이 추가된 후 이번에 대칭적 물가목표라는 것이 추가되었다.
그래서 앞으로 달라질 것이 있나?
전혀 없다. 물가를 일정 범위에서 유지하겠다는 정책을 확인한 것 뿐이다.


물가목표가 2%라고 하는 것은 목표일 뿐이고 최선의 상황에서도 물가는 일정한 값을 유지하는 것이 아니고 일정한 범위에서 움직인다.

방의 온도를 조절하는 경우에도 그렇고 어항의 온도를 유지하는 경우에도 그러하다.
측정이 정확하고 히터와 쿨러의 성능이 좋으면 온도는 좁은 범위에서 움직이고 성능이 나쁘면 넓은 범위에서 움직인다.
만약 히터와 쿨러 중 하나 밖에 없다면 온도는 대칭적으로 움직이지 않고 비대칭적으로 움직이기 쉽다. 또한 원하는 범위에 온도를 유지하는 것도 많은 경험과 노하우가 필요하게 된다.

또 물가의 상한선을 3%라고 정해놓고 정책수단을 사용하는 것과 물가의 목표를 2%로 놓고 수단을 사용하는 것은 실제 상황에서 전혀 다를 수 있다. 상한선을 정해놓고 움직이면 역시 비대칭적으로 움직일 가능성이 높아진다.

실내 온도를 올리고 싶지만, 모든 문, 창문이 열려있는 상황에서는 히터를 풀 가동해도 효과는 제한적이거나 없다. 대부분의 문이 닫혔고, 백약이 무효인 상황이 지나간 것으로 보여도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온도가 실제로 올라가는지 보고 판단해야 한다. 그래서 온도가 올라가고 있다면 히터를 낮추어야 하지만 얼마나 낮출 것인가?는 과거의 경험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연준이 금리조작 이외에 통화량과 물가에 영향을 주는 다른 수단을 가지고 있는지, 수단들이 얼마나 효율적인지, 목표가 통화량인지 물가인지, 목표가 값인지, 범위인지, 상한선인지, 하한선인지, 하나가 아니라 여러개인지에 따라서 실제로는 매우 다르게 행동할 수 있다.

기준금리는 시장을 움직이는 강력한 도구였으나 금융위기 이후 풀가동을 유지했기 때문에 상수였고 오랫동안 없는 것과 마찬가지였다.
대신 QE를 통해 높은 자산을 쌓았고, 통화를 직접 공급했다.
지금 기준금리를 올리면서 경기회복, 물가상승에 대응하고 있지만, 연준이 원하면 자산매각을 통해 매우 강력하고 빠르게 경제를 얼어붙게 할 수 있다.

금융위기에 적극 대응하면서 연준은 과거보다 더 강해졌다.
더 강한 연준은 그 힘을 더 여유있게 사용할 수 있다.




core cpi, core pce deflator, gdp deflator, federal rate


94년 이후 미국의 핵심물가는 1-3% 범위에서 움직였다.
물가가 오르면 기준금리를 올리고, 기준금리를 올리면 물가가 내려가고, 물가가 내려가면 기준금리를 내렸다.
그래서 물가 대칭적으로 움직였나?
그렇다면 이미 20년 동안 대칭적 물가목표 2%를 달성한 것이다.

금융위기 이전 기준금리는 평균적으로 물가보다 높은 수준을 유지했다.
무슨 뜻인가?

물가를 누르고 눌러서 2%라는 것이고, 눈으로 보이는 핵심물가 이외에 더 강력한 물가상승 요인에 존재한다는 것이다.
매우 높게 기준금리를 유지하지 않으면 물가를 2% 수준에서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이다.

무슨 요인이 금리를 높게 유지하게 만들었을까?
기름 식품 등의 비핵심물가, 부동산주식등의 자산가격, 높은 실질 성장률...


요약하면 지난 20년간 대칭적인 물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기준금리는 비대칭적으로 움직였다.




전체 물가와 핵심 물가를 비교해보면 전체 물가의 변동이 당연히 더 크다.
연준이 core pce deflator를 중요시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headline cpi가 높아지면 연준이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2004년에 시작된 금리상승은 2년 지속되었다.
그럼에도 물가는 저 높은 곳까지 다녀왔다.

연준이 금리를 올리지만 2%에 도달한 물가가 높아서 그런 것이 아니다.
처음 금리를 올리고 1년 이상 관찰한 결과 2% 물가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늦었지만) 선제적으로 대응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황인 것이다.

싸이클 후반에 급격한 침체를 겪지 않으려면 연준이 가진 강력한 힘의 사용을 최대한 미루고 가능하면 느리게 자산규모를 축소시킬 수 있는 상황을 만들 필요가 있다.

급격한 물가상승, 급격한 금리상승은 연준이든 트럼프정부든 원하는 바가 아니다.
하드 랜딩으로 많은 신흥국이 죽어나가면 미국도 어려워진다.




길게 봐도 1950년대가 끝이다.
여기에 현재와 비슷한 수준의 물가와 기준금리가 나타난다.
기준금리가 싸이클 마지막에 3%가 될지, 4%가 될지 알 수 없으나 현재 점도표에 보이는 3%는 물가가 내려가면서 낮아진 것이고, 물가가 올라가면 올라가게 될 것이다.


50, 60년대와 비교해도 90년대 이후와 비교해도 끝에 표시한 기준금리 전망이 특별히 가파른 것처럼 보이지 않는다.
그렇게 진행될지 알 수 없다.
그러나 준비는 필요하다.
개인도 그렇지만, 한국 경제 전체가 준비할 필요가 있다.





2017년 3월 17일 금요일

자연인, 여성, 한국인


탄핵당한 대통령이 여자라는 표현을 스스로 혹은 대리인이 사용하는 경우에 여성성에 대한 모독으로 받아들여지는 경향이 있다.
그점을 가장 불편하게, 그러나 가장 적확하게 지적한 것은 5년전 황상민의 '생식기만 여성'이라는 표현이었을 것이다.
당시에도 논란이 되었지만, 이후에 그는 탄압의 대상이 되었던 것 같다.
그러나 한 시절이 지나고 보니 통찰력있는 지적이라고 인정할 수 밖에 없다.

탄핵 결정 이후 언론에서 수도 없이 박통이 이제 자연인의 신분으로 돌아갔다는 표현을 쓴다.
'나는 자연인이다'라고 하는 광고에서처럼 자연인 하면 타잔처럼 사회에서 격리된 인간의 모습이 먼저 떠오르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자연인'은 '법인'과 대비되는 법적 주체를 얘기하는 모양이다.

박통은 탄핵 전에는 헌법기관이었고, 탄핵 이후에는 자연인이 된 것이다.
그러니 박근혜를 자연인이라고 부르는 것이 자연인에 대한 자동적인 모욕이 되는 것은 아니다.
또 자연인이라는 말 자체가 모욕적인 뜻을 가지고 있는 것도 아니다.

박통은 여성이고, 자연인이고, 한국인이다.
어떤 여성인지, 어떤 자연인인지, 어떤 한국인인지는 전혀 다른 문제이다.

안타깝지만 박통도 인간이다.
또한 누가 되든 다음 대통령도 인간이다.
그 인간들을 대통령으로 뽑는 한국인의 구성은 거의 달라지지 않았다.
이점을 인정하지 않으면, 과거 5년 혹은 10년 동안 벌어졌던 불편하고 부당한 일들이 반복되기 쉽다.
나는 여전히 불편부당한 세상은 대통령을 바꿔서 오는 것이 아니고, 국민이 바뀌어야 온다고 믿는다.


---------

심심해서 구글번역기를 돌려봤더니, 내 마음을 알아주는 듯한 부분이 있다.
또 내가 속인 부분에서 실수한다는 것도 알 수 있다.

There is a tendency to be accepted as a blasphemy against femininity when the president who is impeachment uses the expression "woman" by himself or an agent.
The most uncomfortable, but most precise, point of the point was that Hwang Sang - min 's "genitalia only women" five years ago.
It was controversial at the time, but later he seemed to be the subject of repression.
However, one can not help but acknowledge it as an insightful point.

After the impeachment decision, the press wrote that the blindness has now returned to the status of a natural person.
It is true that, as in the advertisement 'I am a natural person', natural person comes to mind first of human being isolated from society like Tarzan.
However, 'natural person' seems to talk about the legal entity which is in contrast to 'corporation'.

Park was a constitutional body before the impeachment and became a natural person after impeachment.
Therefore, calling Park Geun-hye as a natural person is not an automatic insult to natural persons.
Also, the word "natural" does not mean insulting.

She is a woman, a natural person, and a Korean.
What a woman, what a natural person, what a Korean is is a different matter.

Unfortunately, it is human.
And whoever he is, the next president is human.
The composition of the Koreans who chose the humans as the president did not change much.
If you do not admit this, the uncomfortable and unjust things that have happened in the past 5 or 10 years are likely to repeat.
I still believe that the uncomfortable world does not come from changing the president, but the people must change.


I bothered to turn around the Google Translator, and there is a part that seems to recognize my mind.
You can also see that I am mistaken in the lying part.


2017년 3월 9일 목요일

term spread 20170309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2/operation-untwist-20170227.html

은행은 단기 저금리로 빌려서 장기 고금리로 대출해서 돈을 벌기 때문에 장단기금리차가 커져있을 때 은행들은 대출에 혈안이 되고 통화량이 늘고 투자, 고용이 늘어난다. 이것이 경기싸이클 초반에 나타나는 일이다.

기업의 투자 수요가 확대되면 경제 전반으로 온기가 확산되겠지만 14년 이후 유가하락과 함께 디플레이션 압력이 커지면서 이러한 고리는 위축되고 주식, 부동산의 자산가격상승만 유지되었다. 미국에서는 wealth effect라는 것이 소비를 통해 경기를 견인한다고도 하나 지난 3년간의 제조업 침체 중에는 명확하지 않았다. 미국의 주택보유율이 낮아지는 것과 관련되었을 수도.

이제 미국을 필두로 유럽, 신흥국 등에서 회복의 신호가 명확하게 나타나고 있고 미국은 금리, QE, OT를 금융위기 이전으로 되돌려야 한다. 물론 정부부채의 한계를 알 수 없는 것처럼 상대적으로 일천한 역사를 가진 QE의 한계도 미리 알 수 없으니 미국이 무슨 일을 할지, 혹은 안 할지도 미리 알 수 없다.

금융위기 이전에 연준은 주로 기준금리로 경기를 조절했지만, 금융위기 이후 3번의 QE와 1번의 OT를 통해 직접 시장에 자금을 공급했다.
QE가 비상수단이었다면 정상화된 세상에서는 원래대로 돌려야 한다.

만약 연준이 충분히 자신있었다면 금리인상 전에 QE로 부푼 자산을 원래 수준으로 돌려 놓아야 했다.
비록 기준금리가 느리게 인상되고 있고, OT가 원래 상태로 돌아가고 있지만 아직은 경제전반 혹은 금융시장이 완전히 정상화되었다고 그들이 판단하지 않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물가, 고용, 성장 중 고용은 충분히 높고 성장, 물가는 그렇지 않다.
만약 물가(특히 pce)가 2%대를 유지하면 조금 더, 성장률이 3%대로 올라가면 완전히 원래 상태로 돌려놓을 것으로 예상하는 것이 현실적인 가정이다.

OT는 장기물을 매도하고 단기물을 매수해서 원래대로 돌리고 있지만, 경기회복이 일정수준에 도달하면 만기에 도달한 단기물을 재매수하지 않는 것만으로 QE를 원상회복시킬 수 있다.
긴축(QT)은 패시브하게 시작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연준이 10년물 이상 국채와 모기지의 규모는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5년-10년물을 전부 5년 이하로 바꾸는 것은 현재 속도라면 2년여가 걸린다.
경기가 가속되면 빨라질 수 있다.
이후에도 물가, 성장률이 평균이상으로 유지되고 있고, 기준금리가 충분히 높거나 장기금리가 낮다면 QT가 시작될 것이다.

다시말하면 현재의 경기회복이 1-2년 이상 지속되어 기준금리가 올라도 장기금리가 낮아서 장단기 금리차가 낮은 상태를 유지한다면 QT가 시작될 것이다.


지금 장단기 금리차는 어떠한 위치에 있나?





14년 이후의 디플레 압력이 장기금리를 낮추고 금리차를 낮추었다.
연준이 OT를 뒤집고 있어도 그렇다는 것이고, 이것은 과거 OT가 금리차를 낮게 유지하기 위한 목적이었던 것과는 반대의 상황이다.
만약 연준이 시장에 개입하지 않았다면 금리차는 더 내려갔을 것이다.

금리차가 16년에 상향으로 바뀌었고 트럼프당선후 명확해졌다.
3월의 금리상승이 회복에 찬물을 끼얹는 것인지, 회복을 기정사실화하는 것인지도 지나봐야 알겠으나, 미국, 중국, 한국, 북한, 유럽 등 전세계의 정치권들이 미쳐돌아가는 상황에서도 걱정할만한 숫자나 그림을 찾기는 어렵다.


요약
연준이 단기금리, 장기금리, 금리차를 모두 조작하고 있지만, 그것은 경기회복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