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 12일 목요일

ppi, cpi, pce deflator, gdp deflator 20220512

 

최근 발표된 미국의 ppi와 cpi를 70년대 1차 오일 쇼크 시기와 비교했다.

한 두달의 차이에 불과하지만 물가지수 간에 시차가 없는 것은 아니다.

순서대로 나열하면 아래와 같다.


0) unit labor cost (분기) or average hourly earning

1) ppi - commodities

2) ppi - finished goods

3) cpi, pce

-----------------

?) gdp deflator


노이즈가 존재하지만 아직 ppi에서 고점을 확인하지 못했다. cpi의 고점은 아직 언급하기 이르다.

물가상승률이 기대인플레이션, 금리, 리스크 프리미엄, 환율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때보다 직접적이고 크기 때문에 현재 위치를 알고 있을 필요가 있다.





최근 10년간의 물가지수.

ppi상승은 진행형. 나머지는 딸림형.





1차 오일쇼크 직전 10년간. 

물가 상승 파동의 진행 순서는 최근과 비슷.

고용 둔화 신호가 아직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침체 직전 73년 8월의 1차 물가 고점에도 아직 도달하지 못한 것으로 보임. 

2차 물가 고점은 74년 11월으로 1차 고점과 1년 이상의 시차가 존재.

1년 전에 현재의 물가 상황을 예상하지 못한 것처럼 지금 1년 후의 물가 상황도 예상하기는 쉽지 않음.



지금이 늦여름인지 초겨울인지 한겨울인지 구분하기 매우 어려움.

어려움에 인플레이션을 얕잡아보는 연준의 태도가 한몫하는 듯.

15년 전의 인플레이션과는 급이 다르니, 섣부른 기대를 가지기보다는 50년 만에 한번 오는 좋은 경험으로 생각하고 잘 관찰할 필요가 있음. 






요약

물가 고점은 아직 확인할 수 없다.








댓글 4개:

  1. 경기 하락이 물가를 끌어내릴지
    아니면 물가가 경기를 끌어내릴지
    과거 볼커의 케이스가 있어 fed는 어떤 선택을 할지
    요즘은 궁금한것 투성이네요.

    공유해주시는 생각들 늘 감사드립니다.

    답글삭제
    답글
    1. 미국, 달러의 지위는 최근 어느 때보다 공고해 보이고 그래서 미국의 선택과 방향이 나머지 국가들에 미치는 영향력도 커지는 것 같습니다. 미래는 고사하고 현재 상황에 대한 판단도 어렵지만, 어떻게 전개될지 예측하기 어려워서 흥미진진하기도 하네요.

      삭제
    2. 연준이 일부러 인플레에 안일하게 대처한다고 생각됩니다. 인플레가 지속되면 미국도 힘들지만 제3세계 국가들이 더 어려워지고,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사태로 인해 유럽 국가들이 에너지난을 겪고 있습니다. 이를 기회로 삼아 미국 중심의 세계질서를 다시 정리하려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또한, 중국이 경제 부양을 위해 이완 정책을 펼쳤을 경우 미국이 금리를 가파르게 올림으로서 위완화를 흔들고 달러 강세를 불러올 수 있지 않을까요.

      삭제
    3. 연준의 의도와 행동과 그에 따르는 결과가 계획된 것인지 계획에서 벗어난 것인지도 판단하기 어려운 세상이네요. 결과적으로 인플레에 대한 대응이 늦었고, 높은 금리에 의한 침체가 아니라 높은 인플레이션에 의한 침체의 가능성이 높아졌고, 인플레이션에 대한 비난은 연준이 받을 수 있지만 책임은 적어질 수도 있는 상황이 진행되는 것같습니다. 인플레이션에도 불구하고 달러강세가 나타나면서 달러패권의 위상이 유지되고, 인플레이션의 악영향도 감소하는 효과도 얻었는데 이것을 의도한 것일까에 대한 대답은 못 찾겠네요. 만약 연준이 금리를 나중을 위해서 천천히 올리는 것이라면 그에 따르는 결과는 지금 상상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무시무시해질 가능성이 있겠네요.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