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2월 4일 일요일

기준금리, 물가, GDP - 국가간 단면 비교 20180204


term spread - us, uk, germany, japan etc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6/term-spread-us-uk-germany-japan-etc.html
왜 역전이 나타나는가?
단기금리가 경기 후반에 상승하기 때문이다.
왜 단기금리가 상승하는가?
후반에 나타나는 경기과열과 더불어 물가상승, 자산가격상승이 나타나기 때문에 연준이 기준 금리 인상을 포함한 금융긴축을 진행하기 때문이다.
경기후반 장기금리의 하락이 역전의 원인이 아닌가?
장기 데이타를 보지 않거나 무시하는 자들의 착각이다.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가 감소하고 있었다.
연준이 명백한 이유로 기준금리를 올려도, 시장은 장기금리를 올리지 못하고 있었다.
최근 장기금리가 올라가면서 금리차의 하락세가 진정되었기 때문에 침체 신호인 금리차 역전이 발생하기까지 시간을 벌었다고 볼 수 있다.

금리차의 상승이 시장의 위험이 감소하고 있다는 신호임에도 불구하고, 기준금리는 전적으로 각국의 중앙은행이 결정하는 것이라서 경기 과열에 따른 각국 중앙은행의 행보가 시장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는 두려움이 증가하고 있다. 물론 시장의 높은 밸류에이션도 한 몫 했을 것이다.

국가별 기준금리와 물가, gdp의 관계를 확인해보면, 미국과 한국의 1.5% 기준금리는 1% 후반의 물가를 반영하는 것이고, 다른 나라에 비해 특별히 낮거나 높은 것이 아니다.
정상적인 경기회복이 진행되고, 물가가 상승하는 조건에서 물가 3%에 해당하는 기준금리는 약 3% 초반에 해당한다.

이전까지는 크게 긴장할 필요없다고 본다.



아래 데이터는 https://tradingeconomics.com/에서 보여주는 gdp 상위 40여개 국가중 기준금리 10% 이하만.


17년 4분기의 gdp, 최근월의 cpi를 기준금리(혹은 지급준비율)와 비교한 것이다.
한 눈에 높은 관련성이 드러난다.

관련성은 cpi > (real gdp+cpi) >> real gdp 순.

보통 물가, 고용, 성장을 얘기하지만, 물가가 기준금리결정에 가장 중요하다.
당연하지만 관련성이 매우 높다.




기준 금리(x축)와 물가의 관계에서 기준금리의 고저를 비교해볼 수 있다.
선의 아래에 있는 국가는 기준금리가 물가에 비해 높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위의 물가 자료는 최근 한달치 자료에 불과한 것이고, 핵심 cpi나 다른 것들을 더 확인해 본 것도 아니기 때문에 직선에서 멀지 않다면 정부나 중앙은행을 욕할 필요는 없다.


중요한 것은 지표들이 그럴 듯하게 비례한다는 것이고, 이것을 이용해서 물가과 성장과 기준금리의 대략적인 범위를 추측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별한 국가의 예를 제외하면 물가가 3%를 넘기지 못하고 이번 경기 싸이클이 마감하는 것을 예상하기 어렵다.
또한 명목성장률이 6%를 넘지 않고 이번 경기 싸이클이 마감하는 것을 예상하기 어렵다.
또한 기준금리가 3%를 넘지 않고 이번 경기 싸이클이 마감하는 것을 예상하기 어렵다.

그래서 단기금리, 장기금리, 장단기 금리차가 상승하는 지금 불안에 떠는 시장도 이해하기 어렵다.




----------------
추가


위에서 물가 3%는 headline cpi를 언급한 것이다.
고압경제 + 대칭적물가목표 CPI vs federal rate 20170318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3/cpi-vs-federal-rate-20170318.html
미국의 core cpi는 90년대 이후 1-3% 범위에서 움직였고, headline cpi는 이보다 변동성이 훨씬 크다.
만약 core cpi가 3%까지 상승하면 headline cpi는 이보다 최대 2-3%까지 더 높게 치솟게 된다.






----------------
위 그림의 숫자


  Interest rate gdp+infl GDP YoY Inflation rate
Switzerland -0.75% 2.00% 1.20% 0.80%
Denmark -0.65% 2.50% 1.50% 1.00%
Sweden -0.50% 4.60% 2.90% 1.70%
Japan -0.10% 3.10% 2.10% 1.00%
Euro Area 0.00% 4.00% 2.70% 1.30%
Germany 0.00% 4.40% 2.80% 1.60%
France 0.00% 3.80% 2.40% 1.40%
Italy 0.00% 2.50% 1.70% 0.80%
Spain 0.00% 3.60% 3.10% 0.50%
Netherlands 0.00% 4.30% 3.00% 1.30%
Belgium 0.00% 3.61% 1.90% 1.71%
Austria 0.00% 5.00% 2.80% 2.20%
Ireland 0.00% 10.90% 10.50% 0.40%
Finland 0.00% 3.50% 3.00% 0.50%
Portugal 0.00% 3.60% 2.50% 1.10%
Israel 0.10% 3.40% 3.00% 0.40%
United Kingdom 0.50% 4.50% 1.50% 3.00%
Norway 0.50% 4.80% 3.20% 1.60%
Singapore 0.86% 3.50% 3.10% 0.40%
Canada 1.25% 4.90% 3.00% 1.90%
Taiwan 1.38% 4.49% 3.28% 1.21%
United States 1.50% 4.60% 2.50% 2.10%
South Korea 1.50% 4.00% 3.00% 1.00%
Australia 1.50% 4.70% 2.80% 1.90%
Poland 1.50% 7.00% 4.90% 2.10%
Thailand 1.50% 4.98% 4.30% 0.68%
Hong Kong 1.75% 5.30% 3.60% 1.70%
Saudi Arabia 2.00% -0.03% -0.43% 0.40%
United Arab Emirates 2.25% 5.70% 3.00% 2.70%
Chile 2.50% 4.50% 2.20% 2.30%
Philippines 3.00% 9.90% 6.60% 3.30%
Malaysia 3.25% 9.70% 6.20% 3.50%
Indonesia 4.25% 8.31% 5.06% 3.25%
China 4.35% 8.60% 6.80% 1.80%
Colombia 4.50% 6.09% 2.00% 4.09%
India 6.00% 11.51% 6.30% 5.21%
Pakistan 6.00% 9.70% 5.28% 4.42%
Vietnam 6.25% 10.30% 7.65% 2.65%
South Africa 6.75% 5.50% 0.80% 4.70%
Bangladesh 6.75% 12.94% 7.11% 5.83%
Brazil 7.00% 4.35% 1.40% 2.95%
Mexico 7.25% 8.57% 1.80% 6.77%
Russia 7.75% 4.30% 1.80% 2.50%
Turkey 8.00% 23.02% 11.10% 11.92%
         
correl 100.00% 63.28% 34.05% 76.53%

댓글 15개:

  1. 불안에 떠는 것보다는 매수기회를 만들고 있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 제가 너무 낙관적인지는 모르곘지만...

    답글삭제
    답글
    1. 앗 처음 댓글을 달았는데 익숙하지 않아 익명인 상태네요. 좋은 글 올려주셔서 항상 감사합니다.

      삭제
  2. 안녕하세요~~ 궁금한것이 있는데, 경기 사이클 말씀하실때, 왜 기준 금리 또는 물가 상승률을 3%라고 예를 들으셨는지 ???
    궁금하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고압경제 + 대칭적물가목표 CPI vs federal rate 20170318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3/cpi-vs-federal-rate-20170318.html

      90년대 이후 장기간에 걸쳐서 미국의 물가가 움직인 범위이고, 이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연준이 개입을 해왔습니다.
      한국은행 포함 다른 중앙은행들도 대개 비슷한 목표를 달성하려고 하는 것으로 보이고, 신흥국/후진국의 허용범위는 좀 더 높은 것으로 보이네요.

      삭제
  3. 장기금리 하락은.. 오히려 경기가 최악을 지나고 나서 중앙은행이 금리 언제 올릴것이냐? 이런 말 할때 하락을 하는 것이 보통의 경우라고 생각합니다. 그러고 보니 장기금리가 단기 금리를 선행하는 하네요. (여기서 단기는 리보금리)

    답글삭제
    답글
    1. 침체 직전 몇년간의 일반적인 순서를 따지자면 단기금리 상승, 금리차 역전, 장기금리 하락, 단기금리 하락, 침체.
      장기금리가 단기금리를 선행하는 국면은 금리차 역전 이후.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5/us-interest-rate-20170512.html

      경기가 침체를 벗어난 후의 장기금리 하락은 일반적인 현상.
      침체 전후에 장단기 금리차가 역전을 지나 다시 확대되는 것은 단기금리가 더 빨리 감소하기 때문.

      위 글에서는 침체 전 금리차 역전이 발생하는 시기에 벌어지는 일을 중심으로.

      삭제
  4. 제가 설명이 좀 부족했네요. 자세히 설명해 주시니 완전히 이해 하겠습니다.. 글도 아예 따로 하나 올리셨네요. 저도 이번주말에 금리차 정리하고 있었거든요.. 이번에 조정 좀 받으면 주식좀 늘리자가 결론 이었습니다

    답글삭제
  5. 장기금리가 올라 금리차 역전까지 시간을 벌어서 다행이에요.

    답글삭제
    답글
    1. 고평가는 정리하고 갈 모양이네요.

      삭제
    2. 한국은 덜 올라서인지, 미리 수출주가 조정을 받아서인지 미국, 일본, 대만에 비하면 그나마 양반이네요.

      삭제
  6. 잘생각해보니까 단기금리부터 오르는게 당연하네요.
    신용한도가 다 떨어지면 금융회사가 부담해야될 신용비용이 증가하니까 비용이 그만큼 커지게 되니 단기차입하고 ,
    단기 차입이 많아지니 FRB에서 신용규모를 제어하기위해 금리를 올리는 게 아닐까라는 생각이 문득 들었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신용도에 따른 금리차이는 credit spread로 확인되는 것이라 (fred에서는 aaa, baa, high yield 등으로 확인 가능) 같은 신용도를 갖는 국채의 장기 단기금리를 얘기할 때는 관련이 적고, 연준이 기준금리를 충분히 올리면 신용의 규모를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맞다고 보지만, 그것이 목적이라고 보기에는 현실과 거리가 있는 것 같습니다.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