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9월 1일 토요일

semi export, capex, inventory 20180901


반도체 수출은 눈부신 수준이다.
그러나 겁낼만한 이유도 있다.



8월 반도체 수출은 사상최고이다.
또한 반도체 수출이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2.5%로 사상최고이다.


2000년대 이후 한국수출에서 반도체가 차지하는 비중은 이전까지 10% +/- 3% 범위에서 움직였다.
17년 이후 점유율이 급등해서 20%를 넘어선 이후 20% 초반의 좁은 범위에서 움직이다가 다시 돌파한 것이다.

좋은 것을 좋다고 하면 되지 왜 사서 걱정을 하나?

반도체를 제외한 수출의 증가율이 낮아서가 아니고, 수출이 아예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한국의 전체 수출도 잘 버티고 있다고 했다.
그러나 반도체를 제외하면 2011년 이후 한국수출은 후퇴하고 있다.

16년 저점이후 반도체 수출, 반도체제외수출 모두 증가했다.
그러나 14년 고점의 두배에 육박하는 반도체에 비해 반도체제외수출은 14년 수치에 도달하지 못했다.
14년의 반도체제외수출은 11년과 같은 수준이다.

7년동안의 정체기간 동안 소위 5대 수출업종 it, 화학정유, 자동차, 조선, 철강 중에 it, 화학정유만 성장을 지속했다.

화학정유가 제자리였어도 한국수출은 성장했겠지만, it중 반도체가 제자리였으면 한국수출은 감소했을 것이다.

만약 그래서 17년부터 한국경제에 빨간 불이 들어왔다면?
(소득주도 성장 관련해서 많은 상상을 해볼 수 있지만, 부질없는 짓이다.)






한국의 반도체 장비 수입액이다. (관세청 신성질)


메모리 반도체 업황의 고점 논쟁은 벌써 1년 넘게 진행 중이다.
그러나 매출이 이전 고점을 넘기고 있으니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다.

반면 반도체 장비의 고점은 벌써 고점을 확인했는지도 모른다.
17년 중반, 18년 초에 약 20억불 (약 2.2조원)의 장비 수입이 있었다.
이후 감소하기 시작해서 3개월동안 반토막이 났다.
12개월 합계(ttm)로도 200억불 (약 22조원)의 고점을 지나서 하락하기 시작했다.

전세계 반도체업체capex의 약 60%가 장비구입에 들어간다.
공장건설비용, 국내장비구입을 고려하면 장비수입액전후의 국내 투자가 발생했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그렇게 보면 17년에 18조의 국내 투자가 반도체에서 유래했을 것이다.




한국 gdp중 설비투자 항목이다.
17년의 투자증가가 주로 어느 업종에서 기인했는지 짐작할 수 있을 정도의 관련성을 보인다.




삼성과 하이닉스가 투자를 늘려서 정권의 요구에 부응하기로 했으나, 투자의 집행 속도는 예단할 수 없다.
정부 정책에 호흥하기 위해 부총리를 만날 때까지 투자속도를 조절했을 수도 있고, 반도체 가격하락을 막기 위해 그랬을 수도 있다.

그러나 다른 이유도 가능하다.


삼성전자의 분기별 반도체 매출과 재고이다.

매출은 16년초부터 , 재고는 17년 하반기부터 증가하고 있다.

매출/재고 비율은 17년 3분기를 고점으로 2분기까지 지속 하락하고 있다.


경기지수, 재고순환, kospi, 금리차 20180831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8/kospi-20180831.html

미스테리한 한국 제조업의 재고순환지표에 대해 언급했었다.
삼성전자의 재고순환지표를 확인해보자.



확실히 18년 한국의 상황을 더 잘 보여주는 것처럼 보인다.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7/hynix-2q2018.html

2분기에 1분기보다 확연히 개선된 하이닉스보다 삼성전자의 상황이 더 좋지 않았다는 것도 알 수 있다.
만약 2분기 삼성전자 반도체부문에 비정상적인 문제가 발생했고, 해결되었다면 위의 험악한 지표는 개선될수도 있을 것이다.




그래서 삼성전자의 미래는?
한국 수출의 미래는?

나도 궁금하다.
그런데 만약 반도체가 꺾이면 한국이 상당한 혼란에 빠질 수 있다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8/apple-vs-samsung-2q2018-opm-reversal.html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7/hynix-2q2018.html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7/semi-export-20180705.html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6/micron-2q2018.html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6/semi-inventory-cycle-20180613.html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6/semi-export-20180602-cycle-cycle-cycle.html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6/samsung-cash-20180531.html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5/micron-20180523.html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5/samsung-hynix-memory-export-20180503.html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5/20180503.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vs-semi-export-q-vs-p-20180419.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3/semi-export-20180315.html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7/09/memory-supercycle-boom-bubble-and.html








댓글 11개:

  1. 늘 블로그 잘 보고 있습니다. 나름 메모리 회사 종사자로서 의견을 좀 적어보면,

    저 DRAM의 재고지표를 보실때 rev/inv만 보시기보다는, Bit inventory를 추정해 보시는걸 추천합니다. 재고값을 DRAM 가격으로 나눈 수치를 기준으로 보는건데요, 이렇게 보면 하이닉스의 경우 아래와 같이 보입니다. (NAND비율을 계산해야 하지만, 하이닉스는 DRAM중심이므로 DRAM스팟만으로 계산해도 오차가 적어서 편함)

    2018 2H bit inventory ~ 2,880,934 * 1백만원 / 4$ (금일 DDR4 4Gb 기준) = 72
    2017 말 bit inventroy ~ 2,224,740 * 1백만원 / 4$ = 55
    2016 말 bit inventroy ~ 1,698,723 * 1백만원 / 3.25$ = 52
    2015 말 bit inventroy ~ 1,407,614 * 1백만원 / 2$ = 70


    이렇게 보면 지금 각 메모리 회사의 DRAM재고 레벨은 2015년 메모리 불황(?)시절 재고 수준과 비슷하다고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무려 세월이 3년이나 흐른 상황이고, 당시와 비교했을때 각 디바이스에 탑재되는 메모리 양이 1.5~2배 가까이 늘어있습니다(갤럭시 노트 5 (4GB DRAM) -> 갤럭시 노트 9(6~8GB DRAM). 만약 위 bit 재고 수치에서 디바이스당 평균 메모리 탑재량을 나눠 '현재 메모리 회사가 가지고 있는 DRAM으로 조립 가능한 디바이스 개수'에 해당하는 지표로 본다면, 아직 고점이라고 하기는 이른 수준이 됩니다. (현재 약 40으로 2015년 70과 비교하면 사실상 과수요상태)

    자세한 계산은 각 회사의 spot비율과 oem비율, NAND DRAM비율, 서버 및 클라이언트 고객별 DRAM소요 변화를 봐야겠지만 일단 러프하게 보기에는 이런 지표도 충분합니다.

    이런 기준에서 보면 삼전의 수출이 아직 꺾일 시간은 아닐수도 있습니다.



    답글삭제
    답글
    1. bit inventory를 계산하는 것은 생각을 못 해봤네요.
      그러면마찬가지로 bit sales 혹 bit revenue를 계산할 수도 있겠네요.

      금액을 단가로 나누면 명목지표를 실질지표로 바꾸는 과정을 거치는 것인데, rev/inv는 기본적으로 명목/명목이고 이것을 실질/실질로 바꿔도 재고순환의 본질은 달라지지 않을 것 같습니다.

      이전 글에서 반도체 수출의 금액지수, 물량지수, 가격지수를 확인했었고 그것은 말씀하신 bit당 단가의 개념을 이용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7/semi-export-20180705.html

      http://runmoneyrun.blogspot.com/2018/04/vs-semi-export-q-vs-p-20180419.html



      반도체 수출이 꺾이는 것이 언제인지는 예측하기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윗글에서 언급하는 문제는 몇년간 반도체수출만 성장하고 다른 업종 합계가 감소하고 있기 때문에 반도체수출이 멈추는 시점이 언제이든 그 시점부터 한국 수출은 감소로 전환할 수밖에 없고, 다른 돌파구는 현재 전혀 보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재고순환지표를 보는 이유는 수출, 매출, 재고 혹은 각 지표의 yoy로 보는 것보다 더 순환적인 요소가 잘 드러나기 때문인데 명목으로 보든 실질로 보든 차이는 없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삭제
  2. 게다가 최근 DRAM가격 상승으로 OEM및 Channel의 재고보유비용이 최저점 대비 3배 이상 커졌을 것이고, 이는 해당 중간단계의 비트 재고가 운전자본 관리를 위해 줄었을 것이라는 추정을 가능하게 합니다. 그렇다면, 실제 시장의 총 메모리 재고(메모리 재조사 + OEM + 채널)수준은 우리가 메모리 회사의 재고량으로 추정하는것보다 더욱 적을 것입니다.

    아마도 이것이 삼성, 하이닉스의 최근 공격적 설비 증설의 근거가 아니겠는가 생각합니다. 사내에 늘어나는 재고를 덜 염려해도 되는 상황이라던지...Channel의 재고 Turnover를 추정할 숫자가 있으면 이를 알 수 있을텐데 아쉽네요.

    답글삭제
    답글
    1. 유통 채널의 재고는 사실 제가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으니 애널들의 보고서나 기사에 언급되는 것을 확인하는 정도인데 현업에 계시는 입장에서는 그런 현장의 변화를 빠르게 파악하실 수 있으리라 봅니다. 제가 보는 숫자들은 빨라도 보름에서 한달 가까운 시차가 존재하는 것들이고, 전문가들의 손을 이미 여러번 거친 데이타들이라서 한계가 있을 수 밖에 없다고 생각합니다.
      현직자의 인사이트가 담긴 말씀은 현재 보고 있는 숫자가 현실과 동떨어져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스러울 때 좋은 참고가 됩니다. 아직은 싸이클 고점을 걱정할 시황이 아니라는 점은 이제 충분히 납득이 됩니다.
      길고 상세한 댓글 감사합니다.

      삭제
    2. 현업이라고는 해도 개발팀이지 재무나 그런걸 보는쪽은 아닙니다. 대충 OEM들이 어떤식으로 하겠구나...이런거나 대충 아는 정도입니다. Turnover가 나빠지고는 있는데 그 이유가 매출감소는 아니고 제조사 재고 증가에 따른 것인지라, 메모리반도체를 부품으로 하여 나가는 완제품들의 출하는 유지되고 있다고 보면 되겠지요. 그렇다면 이게 과잉증설에 인해 재고가 늘었거나, 재고 보유자가 변한것인데 전 후자의 가능성을 보는겁니다. 왜냐하면 제조사 입장에서는 반도체 제고가 원가(재료비)로만 보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재무적 부담이 적은 반면(기회비용은 잃지만), 채널과 OEM에게는 반도체 재고가 원가 + 반도체회사 감가상각비 + 이익까지 붙어서 반영되게 되기 때문에 재무적 부담이 클수밖에 없습니다.

      전 산업 총 메모리 재고 지표(?)같은걸 만들 수 있으면 좋겠지만, 이게 아마 개인이 할 수 있는 수준의 일은 아닐걸로 보입니다.

      삭제
    3. kosis에 반도체 산업의 생산, 재고, 출하 지수가 있기는 한데, 이것이 또 수출이나 다른 지표들과 어긋나기 시작한지 꽤 지났습니다. 믿기 어려워서 궁여지책으로 보았던 것이 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재고순환이고 시간이 더 지나면 통계청이 무슨 조치를 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삭제
  3. 지나가다가 하나 말씀드릴께 있어서요. bit inventory 계산이 맞는 컨셉이지만 위에서 말씀하신 계산 방식이 조금은 잘못된거 같습니다. inventory는 매출액이 아니라 제조원가와 관련있기에. 현재 재고 금액을 현재 단가로 나누는게 아니라 현재의 bit 당 단위 제조원가로 나누어야 대략적 bit 재고 수준을 구할 수 있습니다. 그 측면에서 반도체 회사의 bit 당 원가가 하락하는것을 생각할때 지금의 재고금액을 bit으로 환산하면 훨씬 더 커진것이지요.

    답글삭제
    답글
    1. 개념적으로 맞는데, 실제로 적용하려면 고려할 사항이 더 있다는 말씀이네요.
      삼성전자 재무제표에 재고를 부문별로 제품및상품, 반제품및재공품, 원재료및저장품 등으로 구분해놓았습니다.
      제조원가율은 하이닉스나 비슷할테니 적용해서 bit inventory도 비슷한 수준으로 구해 볼 수는 있을 것 같습니다.
      재고 중에 제품및상품재고는 20%가 되지 않고 대부분은 반제품및재공품입니다. 제조원가율을 20%로 놓으면 bit inventroy는 20%+80%x5정도로 금액으로 볼때보다 4배 이상 커지는군요.
      삼전의 반도체 분기 매출이 금액으로는 재고의 약 2배 수준이었는데, bit로 보면 1/2이 되네요.
      반도체회사들의 이익률은 변동이 크고 최근 하이닉스는 몇년 전에 적자가 난 적도 있으니 같은 개념을 과거의 재고 수치에 적용하려면 재고의 구성과 이익률을 확인해야 하니 쉬운 일은 아니네요.

      댓글 달아주신 두 분들 덕분에 생각해 볼 거리를 얻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삭제
  4. 반도체 부분은 영업이익률이랑 매출총이익률이랑 차이가 im이나 ce 부분보다 적을테니. 그냥 inventory/(sales-op) 를 가지고 대략적으로 판단할 수 있을것 같다는 생각도 들더라구요. 그리고 말씀하신대로 재공품 증가폭이 훨씬 큰데, 이게 앞으로 다가올 분기의 공급 증가의 leading indicator 인것 같다는 생각도 함께 들구요.

    답글삭제
    답글
    1. 재고는 기왕에 확인하고 있으니 재고구성도 이후에 추적을 해 봐야겠습니다.

      삭제
  5. 생각해보니 저도 반도체 재고의 재무적 부담을 이야기할때 원가 잡히는 방법을 이야기해놓고, 제조사 inventory계산할때 시장가로 계산하는 어처구니 없는 짓을 했군요;; 덕분에 틀린부분 다시 배워갑니다. 덤으로 비트 단위로 출하량도 계산해볼 수 있겠군요.

    주인장이 쓰신 반제품 및 재공품이 중요한 indicator가 될수 있다는 사실도 생각해보게 되서 좋았습니다. 이건 원가로 표시되는 것이고, 제조공정상 완제품보다 이전 파이프라인에 머물러있는 것들일테니로 차후 메모리 가격과의 관계성을 더 파악하기 쉬울지도 모르겠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