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11월 21일 목요일

us debt, delinquency rate 20191121



장단기금리차 역전, 실업률 상승은 경기침체에 선행한다.

연체율의 증가도 경기침체 시작 전에 나타날 수 있다.
그런데 어떤 대출이 어떤 경기 싸이클에서 특히 문제가 될지 미리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전 금융위기는 서브프라임모기지사태로도 불리는 것처럼 미국 가계의 주택대출에서 문제가 발생하기 시작했다.

01년의 침체는 it산업의 거품과 붕괴와 관련되었고, 90년의 주택대부조합사태는 주택대출과 관련이 높았고, 80년대 초반의 더블딥은 70년대의 오일쇼크와 관련한 에너지섹터의 버블과 관련이 있었다.

현재 미국의 주택경기는 거품이라고 할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가계대출 중 학자금대출, 자동차대출은 거품의 양상을 보이지만 규모가 충분한지 알 수 없다.

그런데 기업 대출과 관련해서는 조금 다른 양상이 관찰된다.



https://www.newyorkfed.org/medialibrary/interactives/householdcredit/data/pdf/HHDC_2019Q3.pdf



가계부채는 전고점을 넘어 증가하고 있지만 속도는 금융위기 시와 비교할 수 없다.



학자금 대출, 자동차 대출의 연체율이 높거나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대출의 규모는 모기지 대출에 비해 적고, 모기지 대출의 연체율은 더없이 안정적이다.



https://www.federalreserve.gov/releases/chargeoff/delallsa.htm


연준의 표와 fred의 그림에서 은행의 대출 연체율을  확인해보면 걱정할 필요가 있나 싶을 정도이다.




그런데 상업, 기업대출만 따로 들여다보면  안심해도 되는지 판단하기 어렵다.

이미 15년에 한번 위험한 시기를 넘긴 것으로 보인다.
당시 전세계의 제조업 침체, 디플레이션의 우려를 넘기고 침체를 피할 수 있을지 미리 알기는 어려웠다.

연체율을 은행의 대출태도와 함께 보면 경기싸이클과의 관련성이 더 잘 보인다.



상업/기업 대출을 전년동월비로 보거나 gdp와 비교하면 지금도 안심할 수 없는 시기로 볼 수 있다.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9/11/gdp-gap.html

미국기업의 투자 싸이클이 이미 꺾인 것인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미국에는 부동산, 소비, 고용이 활황으로 보이는 것과는 다른 영역이 존재한다.

그것이 미국경제를 침체로 이끌지 주시할 필요가 있다.


----------------
관련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7/11/deliquency-rate-20171116.html


2019년 11월 15일 금요일

us unemployment rate, initial claims, cpi, earnings 20191115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9/11/gdp-gap.html

60년대 이후 최저 수준의 실업률이 완전고용을 시사하고, 더 이상 좋아지기 어렵다는 점을 gdp 갭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경기가 악화되는 신호는 신규실업수당청구와 실업률yoy에서 조금 더 빨리 확인할 수 있다.




주간 신규실업수당청구가 발표되었다.

장기추세는 하락 중이고, 실업률과 높은 관련성을 보인다.





최근 5년을 확대해보면 높은 노이즈에도 불구하고 1년 이상 평균이 낮아지지 않고 있다.
꾸준히 하락하고 있는 실업률과 차이가 보이기 시작했다.




전년동월비를 보면 신규실업수당청구에서는 높은 노이즈로 인해 유효한 신호를 확인하기 어렵다.
그러나 실업률yoy는 매우 조심스러운 위치에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업률 상승에 몇년 선행한다고 볼수도 있는 물가, 임금의 최근 2년여간의 추이를 보면 더욱 조심스러워진다.





요약

미국 실업률 조심.



2019년 11월 8일 금요일

미국 경기 순환 - gdp gap, 실업률, 장단기금리차, 설비가동률, 투자, 기업이익, 대출


미국 경기는 정점 근처에 있다.
정점 이후에는 내리막이 기다리고 있다.

상당히 오래 반복적으로 한 얘기라서 식상하지만, 다르게 볼 이유가 전혀 없다.
문제는 언제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될 것인가, 얼마나 빠르게 진행될 것인가이다.

정점의 형태를 예상할 수는 없기 때문에 향후 몇년간의 장밋빛 미래를 점치는 사람들과 반드시 대치되는 견해라고 할 수 없다.
그러나 남은 것은 얼마간의 능선과 내리막이기 때문에 정신을 차리고 있을 필요가 있다.



미국의 gdp 갭이다.
90년대의 고점 이후 최고 수준이다.




3%대의 실업률은 완전고용을 부인하기 어려울 만큼 낮은 수준이다.
80년대 이후 실업률과  gdp 갭은 완벽하게 동행한다.

낮은 실업률에 비해 물가가 높지 않은 것이 이상하다고 볼 수도 있으나, 그것은 연준 포함 전세계의 전문가들이 몇 년 동안 고민하고 있는 문제이니 내가 답을 가지고 있을 필요는 없다.

물가와 실업률의 관계가 전문가들의 이론처럼 딱 떨어지지 않아도 세 지표들이  시사하는 것은 명확하다.

경기 과열과 고점.




단기적으로 물가와 GDP갭의 관련성이 떨어졌다고 하나, 긴 그림에서 상상력을 발휘하면 다르게 볼 수 있다.

60년대의 경기과열은 70년대의 오일 쇼크를 가져왔다.
오일 쇼크는 중동 전쟁으로 인한 공급쇼크뿐 아니라, 60년대 서방세계의 수요증가가 큰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손뼉이 마주쳐야 소리가 나는 것은 어디서나 진리이다.

90년대 미국의 신경제가 2000년대의 유가상승의 배경이라고 보는 것은 견강부회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2000년대 브릭스를 포함하는 국가들의 급속성장에 미국의 달러공급이 중요한 역할을 했고, 90년의 미국 번영이 가져온 통화량의 팽창이 없이 가능했을지는 의문이다.

내가 보기에 30년 주기의 원자재 슈퍼싸이클 배경에 미국경기의 과열과 달러공급의 증가, 통화가치의 하락은 필수적인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래서 지금 독야청청하는 미국 경제가 한번의 위기/침체/둔화를 넘어서서 60년대 혹은 90년대의 영화를 다시 가져오게 될까?
불가능하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침체없이 20년간의 경기확장이 이어지는 것은 미국역사에 없던 일이기 때문에 정상적인 예측을 넘어서는 것이다.
30년 가까운 경기확장이 진행중이라는 호주의 극단적인 예가 있다고 해서, 그것이 미국의 미래를 시사한다고 볼 이유는 전혀 없다.





미국 경기싸이클을 기업의 고정자산투자를 중심으로 보면 단순하게 요약할 수 있다.

경기가 저점을 찍고 회복되기 시작하면 설비가동률이 증가하고, 기업이익이 증가하면서 투자가 증가하고, 자기자본을 이용한 투자에서 부채를 이용한 투자로 진행된다.
경기 후반 이익률이 감소하기 시작하고, 설비가동률이 감소하고, 투자가 감소하고, 대출이 감소하면서 침체/둔화 국면에 진입한다.

위 그림에서 미국 기업의 이익이 어떤 국면에 있는가?

최저수준인 미국의 실업률, 다시 플러스 전환한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는 낙관적인 미래를 보장하기보다는 오히려 반대에 가깝다.








설비가동률의 추세는 잘봐야 장기 횡보이다.

그러나 기업이익은 꺾여있고, 투자와 대출의 추세는 둔화되고 있다.







GDP와 비교한 투자는 설비가동률과 비슷하게 박스권에 갇혀있다.
GDP와 비교한 기업이익은 지속해서 하락하고 있다.






GDP와 비교한 대출은 이전 싸이클의 경기막바지수준에서 증가하지 못하고 있다.



만약 다시 미국의 경기확장이 지속되려면 어떤 조건이 필요할까?

설비가동율이 증가하고, 기업이익이 증가하고, 대출이 증가해야 한다.

또한 실업률이 더 낮아져서 60년대보다 더 낮은 기록적인 수치를 기록해야 하고, 장단기금리차는 다시 높아져야 하고, gdp 갭은 90년대의 높은 수준에 육박해야 한다.


내가 보기에 어느 하나 쉬운 일이 없다.




------------
참고


fred의 몇 가지 기업이익과 민간 비주택부문 고정자산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