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환보유액이 통안채와 외평채의 합과 같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가에 대해 파악할 필요가 있어서 도식화한 그림이다.
균형 상태에서
KRW1 = KRW2, 외환보유액 = 외평채+ 통안채
KRW1 외환보유액 ~ 달러공급
KRW2 (외평채+ 통안채) ~ 원화공급축소
외환보유액, 통화안정증권, 외국환평형기금 20171009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10/20171009.html
통안채 발행은 2004년 160조까지 급증한 후 10여년간 변동이 적다.
외환보유액은 이후에도 400조까지 증가했다.
차이는 기획재정부의 외평채가 담당한다.
통안채 발행잔액은 본원통화보다 크다.
그러나 800조에 달하는 M1보다 작다.
그러니 통안채가 조절한다고 알려진 유동성은 M0는 아니고 M1이나 M2 이상이다.
기획재정부가 발행하는 외평채도 M0와 관련없기는 마찬가지이다.
외환보유액 유지에 필요한 원화는 유동성(M1 또는 M2)을 흡수해서 마련하고, M0와는 관련이 없다.
균형상태에서 외환보유액(KRW1)은 흡수된 유동성(KRW2)과 같아야 한다.
실제로 환율과 비용을 고려하면 그렇다고 볼 수 있다.
정부/한은이 외평채+통안채의 규모를 변동시키고 이것을 외환매수매도에 사용하면, 외환보유액뿐 아니라 유동성(M1 또는 M2)에 같은 크기의 영향을 준다.
만약 다른 수단을 이용하면 외환보유액과 관련없이 유동성에만 영향을 준다.
한국은행 부채계정 내에 그러한 수단이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통안채 발행액은 2004년 이래 변동폭이 적게 일정 범위에서 유지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부채 410조중 175조로 가장 크다.
만약 같은 성격을 갖는 외평채를 합하면 350조 이상에 달한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하면 rp매도나 기타 다른 유동성 조절 수단의 크기와 변동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비하면 rp매도나 기타 다른 유동성 조절 수단의 크기와 변동은 크지 않다고 볼 수 있다.
이상까지 확인한 내용을 정리하면
1) 외환보유액과 외평채+통안채의 발행량이 동일
2) 장기간에 걸쳐서 한국의 환율이 일정한 범위에서 유지
3) 환율이 외환보유액과 통화량(M1)의 비율로 결정
2) 장기간에 걸쳐서 한국의 환율이 일정한 범위에서 유지
3) 환율이 외환보유액과 통화량(M1)의 비율로 결정
4) 외환보유액 증가를 위해 발행하는 외평채+통안채는 통화량(M1 혹은 M2) 감소를 유발
5) 외환보유액에 영향을 주지않으면서 통화량을 증가시킬 수단이 존재하나 규모는 크지 않음
소결
외평채, 통안채는 유동성 흡수수단이기도 하지만, 외환보유액 유지를 위한 원화조달창구이기도 하고 이것은 동전의 양면과 같다.
비용때문에 유동성조절수단으로 외평채나 통안채의 발행이 아니라 rp 매도나 기타의 방법을 사용했을 가능성은 높다고 보기 어렵다.
비용때문에 유동성조절수단으로 외평채나 통안채의 발행이 아니라 rp 매도나 기타의 방법을 사용했을 가능성은 높다고 보기 어렵다.
추측
16년까지 10여년간 통안채는 정체되고, 외평채만 증가한 것은 외환보유액 관리는 기재부, 유동성 관리는 한은으로 이원화 혹은 창구분담되었을 수도.
해외에서 외평채를 발행하면 두 단계가 하나로 줄고, 정상적으로 외평채, 통안채가 통화량에 중립적이어야 한다는 것과 부합하나, 국내의 작은 외환시장에 초과공급되는 달러를 완충하는 의미는 감소할 듯.
2004년은 최중경이가 외환시장을 좌지우지하던 시절. 그때부터 바뀌었을 수도.
2004년은 최중경이가 외환시장을 좌지우지하던 시절. 그때부터 바뀌었을 수도.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