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 이후 장기간에 걸쳐 물가와 임금상승률이 낮게 유지되었고, 그것을 당연하게 받아들인다.
fred에서 1965년 이후 평균 시간당 임금을 제공하지만, 약간 성격이 다른 평균 시간당 임금을 이용해서 1921년까지 연장하고 물가와 비교했다.
100년 동안의 기록을 보면 현재의 임금과 물가 상승률 5%를 넘어섰을 때 벌어질 상황과 비교할 만한 시점은 60년대 후반에 나타난다.
만약 폭증한 유동성이 장기간의 경기확장과 동반되고 임금과 집값과 원자재값을 급격히 올리는 상황이 1960년대 이후 미국에 나타났던 것이라면 금융위기 이후 현재의 상황과 비슷할 수 있다.
물가상승이 일시적이지 않을 수 있다는 생각을 이제는 상당수의 사람들이 하고 있다.
막으려면 빠른 긴축, 선제적인 금리 인상이 필요하겠지만, 정부의 역할이 무한정 돈을 찍는 것이라고 믿는 정치가, 경제학자들이 넘쳐나는 시대에 그런 책임을 질 사람은 없을 것이다.
장기간에 걸친 물가 상승을 피할 수 없다고 보면?
60년대말부터-80년대초까지 약 15년에 걸쳐 나타난 보기 드믄 상황을 잊지 말아야 한다.
채권과 주식의 실질 수익률이 장기간에 걸쳐 동시에 마이너스였다.
실질 주택 가격도 50년대 중반부터 90년대 중반까지 40년동안 제자리였고 큰 변동성만 존재했을 뿐이다.
이런 시기에 투자(주식, 채권, 부동산)로 자산을 늘리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이다.
지금 나타나고 있는 높은 물가와 높은 임금은 40년 동안 나타났던 현상과는 다르다.
판데믹으로 인해 발생한 특수한 상황이라서 빠르게 19년 이전의 익숙한 상황으로 돌아갈 것이라고 본다면, 위 그림의 1919년부터 1921년까지의 시기를 참고할 수 있다.
포효하는 20년대가 시작하기 직전에 보이는 굵고 강력한 deflation은 대공황보다 깊다.
위 그림에서 얻을 교훈은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현재의 물가 상승이 어떤 결과로 이어질지 예단하지 말고 상상할 수 있는 모든 가능성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고 본다. 당시에 금이나 기름 등의 대체 자산이 했을 역할을 암호화폐나 기타 특이한 자산들이 할 수 있을지도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요약
미국 물가가 안정되지 않는다면 나타날 일들을 생각해 보자.
안녕하세요....
답글삭제저를 포함해서, 이곳을 자주 찾는 많은 분들이 자산의 가격이 올라야 아무래도 얼굴에 미소가 가는 분들이 많을텐데요......
그렇네요~~
오랜전에 하셧던 포스트 "일생의 기회" 감회가 새롭습니다.
그 때 사실 듀프레인님의 의견을 100%믿었었는데.......
믿는 것과 실행하는 것은 현실의 여건에서는 일치하지 않기에 참여하지 못한 것 참 아쉬워었습니다.
두루두루 평안하십시오.......
감사합니다. 12-13년같은 편안한 시기는 당분간 오지 않겠지만, 지켜보면 이해하기 쉬운 세상이 다시 돌아올 수 있겠지요.
삭제와이프와 장기간 인플레가 오면 무었을 해야하나에 대해서 많은 이야기를 나눴는데요.. 우리가 할 수 있는 것은,
답글삭제장기간 고정이자로 대출을 일으켜서 프라임 위치의 부동산을 사는 방법이 가장 확률이 높다. 였어요.
위에서 말씀하신대로, 주식 채권 다 인플레를 따라 잡기 힘들고, 70년대에는 금이 좀 괜찮았지만... 지금은 사람들의 금에 대한 생각도 많이 바뀌었고.. 원유나 커머디티는 개미들이 하기에 애초에 구조상 글러먹었고..
상업용 부동산을 개인이 접근하기 힘드니 리츠는 대안의 하나가 될 수 있겠네요. 요즘 한국은 리츠 상장 붐의 초기같기도 하네요. 좋은 힌트 감솨.
삭제뜬금없지만 과거에 암것도 모르고 미래에셋의 센터1빌딩관련 상품에 투자했다가 고생했던 기억이 나네요
답글삭제그때의 기억때문인지 한국리츠 운용에 대해 믿음이 안가네요. 물론 롯데나 제이알 일부 있습니다만...
좋은 글 감사합니다.
k-리츠도 다양해지고 있고, 일본, 미국, 싱가폴 등에 투자할 수 있는 리츠가 매우 많고 증권사들도 적극적으로 소개하고 있는 듯 합니다.
삭제감사합니다. 당시와는 다루고 메리트(올해까지 부5천 분리과세라)도 일부 있어서 알아보고 있습니다
답글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