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4월 25일 화요일

4 stocks of 2015

 

어제 3년에서 1년 가까이 상승을 지속하던 종목들이 단체로 하한가에 간 이후 여러 루머가 나왔지만, jtbc의 취재가 몇개월 이어졌고 당일 방송될 예정이었던 것이 장전에 주가조작에 관여했던 자들 사이에 미리 알려졌던 것으로 보인다.

저평가된 가치주이면서 시총과 거래량이 적은 주식을 대상으로 장기간에 걸쳐 상당수의 관련자들이 정보를 공유하면서 주가를 몇배에서 십몇배까지 상승시킨 일이 2015년에도 발생했었다.

일단 관련 종목들이 하한가에 들어가고 나서야 일반 투자자들은 그런 상황이 있었는지 알 수 있었다.

이 사건이 주가 조작인지 대주주의 횡포에 맞선 소액주주운동인지 8년간에 걸친 공방이 있었지만 대법원은 통정거래, 자전거래, 시세조정 등에 대해 검찰의 손을 들었다. 


아래는 관련된 종목들의 주가이다.



길게 보면 하나를 빼고 당시의 주가가 과도하게 상승했다고 보이지만, 주가가 낮아진 세 종목도 이전에 비해 높은 수준을 8년 가까이 유지한 것을 보면 이전의 저평가도 과도했을 것으로 보인다.

상승 과정의 기간, 상승률, 낮은 변동성 등이 이번과 비슷하다. 자연산이 아니고 양식한 느낌이라 바가지가 아닌가하는 합리적 의심이 저절로 들게 된다.





하락기를 확대한 것이다.

며칠 간의 큰 변동이후 몇 개월에 걸쳐 60-70% 하락.



이번 사건에서 sg증권의 하한가 종목들.

하림지주, 대성홀딩스, 서울가스, 선광, 삼천리, 세방, 다우데이타, 다올투자증권.

여기에 cj까지 급락.

참 돈들도 많다.



항상 그렇듯이 많이 비슷하지만 똑같지는 않다.

비슷한 점: 가치주, 시세의 기간, 폭, 저변동성, 통정거래, 자전거래, 다수의 피해자

다른 점: 자금 규모, 투자대상 규모, 다단계식 영업, jtbc 취재, 소액주주운동



------------------

참고


2015년의 사건 관련 기사

https://dealsite.co.kr/articles/91196

http://www.thebell.co.kr/free/content/ArticleView.asp?key=202212261505526320108121&svccode=00&page=1&sort=thebell_check_time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2123016424338086





2023년 4월 23일 일요일

lithium price 20230423

 



탄산리튬과 수산화리튬의 수입단가와 중국의 탄산리튬가격이다.

한국의 수산화리튬가격은 중국의 탄산리튬가격에 약 5-6개월 후행한다.

수산화리튬은 전구체, 양극제를 거쳐 배터리셀의 핵심 소재가 된다.

22년에 양극재는 배터리 셀 원가의 40-50%를 차지했다.


중국 탄산리튬가격은 22년에 20년의 저점대비 15배 이상 상승했다.

지금은 고점대비 1/3 이하로 하락해서 21년 말의 가격 수준으로 돌아갔지만,  여전히 저점대비 4배 이상의 높은 가격이다.

한국의 수산화리튬 수입가격은 중국현지 가격보다 변동성이 적어서 저점대비 7배정도 상승했고 아직 본격적인 하락이 시작하지 않았다.

7-8월에 한국의 수산화리튬 수입가격이 20불대로 하락해서 1/3이 되는 것이 정상적이라고 할 수 있다.


양극재, 배터리 셀의 원가가 하락하면서 판매가격의 하락이 나타나면, 전기차업체들의 가격경쟁이 더 진행되는 조건이 된다.

장기적으로 전기차의 가격하락이 수요를 증가시켜서 화석에너지에서 친환경에너지로의 전환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리튬가격의 상승과 하락이 석탄가격, 가스가격, 전기가격의 상승 하락과 동행하는 것은 우연으로 보기는 어렵다.

에너지 가격상승은 직접적으로 리튬 생산과 제련의 원가 상승요인이 될 수 있고, 화석에너지원의 급격한 가격상승과 전쟁과 공급망 교란으로 인한 공급의 제한이 가져온 친환경 전환의 가속화도 기여했을 것으로 본다.

14년 이후 전통에너지원에 대한 투자 부족과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 지연으로 인한 장기적인 에너지 인플레이션 가능성은 남아있지만, 전쟁과 전염병으로 인해 심각했던 단기적인 수급불안 요인이 완화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라 22년의 높은 에너지 가격으로 빠르게 회귀하는 것은 가능성이 낮다고 본다.

마찬가지로 리튬, 니켈, 코발트 등 지난 2년간 급등후 급락하고 있는 배터리 관련 금속소재들의 가격이 장기적으로 22년의 가격으로 돌아가는 것도 가능성이 높지 않다고 본다.

소재의 가격상승은 관련한 투자를 끌어내서 공급를 늘리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지만, 수요를 축소시키는 부정적인 영향도 있다. 최근의 금속소재 가격의 정상화는 장기적으로 전기차, 이차전지 산업의 수익성 감소를 제한하고, 전기차 가격 인하를 지속해서 수요를 증가시키는 역할을 할 것으로 본다.

부가적으로 한국 무역수지에도 적지 않은, 긍정적 역할을 하게 될 것이다. 

최근 시장의 주목을 받은 양극재 업체들의 매출에 부정적 영향이 나타나는 것은 피할수 없는데, 가격 전가력과 물량에 따라 스프레드와 수익성은 증가할 수도 감소할 수도 있다. 높은 기대에 걸맞는 능력을 보여줄지 확인할 수 있는 것은 3분기 정도는 되어야 할 것이다.




요약

배터리 소재가격의 정상화 혹은 평균회귀가 급하게 진행 중이다.




----------------

관련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3/04/battery-revenue-20230414.html

시장의 배터리, 양극재 업체에 대한 기대는 2030년까지 연간 40% 전후의 매출 성장과 영업이익률 10% 이상. 



---------------

추가

https://dealsite.co.kr/articles/102483

광물가격 하락, 배터리 3사 '반색'








2023년 4월 14일 금요일

100 year charts of ppi, cpi, recession - 20230414

 


미국 ppi가 발표되었다.

인플레이션이 끝났는지, 침체의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는지에 대해 여러 말들이 있다.

차트는 길게 보는 게 좋고, 비교해 보는 게 좋다.



fred에서 100년짜리 물가를 두 개 제공한다. 다행히 cpi, ppi 하나씩이다.

최근의 물가 하락이 어디와 비슷한가?

40년대와 비슷한가?

70년대와 비슷한가?

2000년대와 비슷한가?

아니면 안 보인 1910-20년대와 비슷할까?




길게 우상향하는 지표는 yoy로 보는 것보다 원래 숫자를 보는 것이 좋을 때가 많다.

지금이 1940년대, 1970년대, 2000년대 중 어디와 비슷한가?


그보다 100년동안 두 지표가 수렴 발산을 반복하면서도 같은 범위에서 움직이는 것이 신기하지 않은가?






ppi보다 cpi가 고용, 소득, 소비와 더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다.

실업률과 함께 보면 다가 올 침체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알 수 있는 것은 내일, 다음주, 다음달은 아니라는 것이다.

그러나 반년 후, 일년 후가 아니라고 얘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물가가 내려갈 때 나타나는 침체와 물가가 올라갈 때 나타나는 침체는 왜 다른가?

무엇이 그렇게 만들었나?






70년동안 침체에 선행한 수정구슬 장단기 금리차이다.

왜 50년대 이전에는 아니었을까?

70년대의 스태그플레이션이 금리차 역전의 크기를 키웠을까?

최근의 큰 금리차 역전은 무언가의 전조일까? 그저 우연에 불과할까?



질문은 그림만 보면 심심할 수 있으니 달아놓은 것.

나한테 답이 있을 리가 없다. 



요약

물가가 낮은 것도 아니고, 실업률이 높은 것도 아니고, 침체가 안 오는 것도 아니다.

지금 필요한 것은 시간.





battery revenue 20230414



한국수출과 경제를 홀로 이끌던 반도체가 쉬는 시기에 자동차와 이차전지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2/10/battery-revenue-doubling-20221029.html

배터리 매출의 증가속도는 타 산업 대비 압도적으로 빨라서 선형축이 아니라 로그축에서 매출 추이를 보는 것이 좋을 정도였다.


lg엔솔의 1분기 실적이 발표되었고, 최근 핫하던 양극재 회사의 실적도 나온 김에 추가해서 그려보았다.


로그축. 단위는 억.

(추세 밴드는 주가에서 추정한, 시장이 기대하는 배터리 업체의 성장속도)



이 회사들의 밸류에이션이 25년 27년까지의 성장으로는 설명하기 어렵기 때문에 최소 30년 혹은 35년까지의 성장을 고려해야 한다.

그렇게 길게 보는 것이 정확히 맞을 가능성은 낮다는 것을 염두에 두고 위 그림과 아래 설명을 보는 것이 현실적이다.


전세계에서 한해에 팔리는 자동차가 많으면 1억대, 적으면 8000만대.
하나의 자동차 회사가 최대로 많이 팔면 토요타나 vw이 천만대, 나머지는 수백만대 이하.

전세계 전기차 판매는 
2030년까지 5000만대. 힘들지만 가능하다고 봄.
2035년까지 8000만대. 이것은 무리라고 봄.

이중 1/3 이상은 중국에서 만들테니 한국배터리와 전혀 상관없을 가능성 높음.

테슬라가 2030년까지 2천만대를 파는 것은 무리. 천만대를 파는 것은 최상의 경우 가능.

중국차가 2030년까지 유럽, 미국 등에서 전기차든 가솔린차든 수백만대 이상 파는 것이 가능할지는 미지수. 

한국 배터리가 중국에서 의미있게 팔리는 것은 무리. 삼성폰, 현대차도 전부 퇴출.



전기차 대당 평균 용량 70kWh로 놓으면

2030년  5000만대 * 70kWh/대 = 3500 GWh = 3.5 TWh

kWh당 100$로 놓으면 7000$/대

2030년 배터리 매출 5000만대 * 900만원/대 = 450조원

중국배터리 비중 50%, 한국 배터리 비중 40%로 놓으면

한국 배터리 매출 180조.
영업이익률 10%면 18조.
순이익은 세금 30% 떼고 12.6조.

per 20 주면 시총 250조. 이것은 2030년 기준.


엔솔 시총 140조
sdi 시총 53조
sk이노 시총 18조 
합쳐서 210조. 이것은 현재 상황.



230년의 250조를 연 10%로 7년 할인하면 2023년에는 130조가 적당.

결국 영업이익률이 17% 이상이거나, 매출이 300조 정도 나와야 현재의 시총이 적당한 수준.
2022년 현재 3사 매출의 4배 이상 매출이 2030년에 발생할 필요.

영업이익률이 10%를 넘는 것도 어려울테니 17%같은 것은 정상적인 조건에서는 불가능할 것.



2030년 매출이 180조가 아니라 300조 정도 나오려면?

1) 전기차 침투율이 50% 이상 
2) 전기차 배터리 용량이 평균 70 kWh 이상
3) 한국 배터리 점유율이 40% 이상
4) 배터리 kWh당 단가가 100$ 이상

결국 전기차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고, ess나 기타 수요가 증가해야 300조 매출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것도 아니면 2035년까지 당겨와야 한다.





요약 

2030년까지 배터리가 현 가치를 유지하는 것도 열심히 투자하고 성장해야 가능하다.




2023년 4월 2일 일요일

금융억압 떡밥 2 - 20230402



떡밥을 뿌리면 고기가 모여들고, 어떤 것은 미끼를 물 수 있다.

미끼에 걸린 고기 중 어떤 것은 요리가 되어 누군가를 살찌우게 된다.


과학은 세상을 이해하는 사고의 틀을 제공한다. 과학과 기술은 생산성을 높이고, 혁신으로 경쟁우위를 만들어내고, 장기적으로 부를 창조하는 원천이 된다.

다양한 종교, 신화, 미신들도 과학적 이론에 못지 않게 단순하고 명쾌한 분석틀을 제공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게 큰 효용이 있고, 어떤이들은 높은 비용을 기꺼이 지불하게 때문에 적지않은 지하 경제를 구성하게 된다.

음모론자도 어떤 현상에 대해서 종교인, 점쟁이들보다 이해하기 쉬운 설명을 제공하지만 과거에는 돈벌이가 되기 어려웠다. 요즘은 유튜브 등 여러 종류의 개인 미디어, sns를 통해 음모론자들도 수익화가 가능하다. 여전히 지구는 평평하다고.



최근 들어본 것 중 가장 대규모의 음모론에는 뭐가 있을까?

금융 억압.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2/10/20221019.html
금융 억압은 시대 착오 20221019

몇 개월 전의 금융억압 떡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새로운 이론을 최근 보았다.
여기저기 비슷하지만 조금씩 다른 음모론이 흘러다닌다.
아마 최근 발생하고 있는 은행들의 위기상황때문일 것이다.

아래에는 내가 이해한 대로 요약했다.


21년 이후 파월이 인플레이션을 방치해서 미국과 기타 유럽 선진국의 막대한 정부부채 부담을 낮추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 중이고, 일부 은행들의 파산이나 구제 금융은 어쩔 수 없는 부수적 손실일 뿐 현재의 혼란상을 금융위기로 발전시킬 이유는 없고, 금리 상승 과정에 나타나는 채권발행자의 이자 부담의 증가는 원금의 가치 하락에 비하면 조족지혈이다.


긴축재정과 내핍을 통해 정부부채를 줄이거나, 정부 부도로 탕감받고 통제당하는 것과 비교하면 인플레이션으로 부채의 가치를 낮추는 것은 장기간에 걸쳐 이루어진다면 상대적으로  편안한 과정이다. 요즘은 mmt를 들먹이는 것은 인플레이션의 위험을 모르는 철부지 취급을 받을 수도 있는 듯하다.


21년 파월의 '일시적 인플레이션' 주장은 금리를 천천히 올려서 장기간 인플레이션이 유지되도록 하려는 의도가 있던 것이고, 이후 1년 반 정도 뒤늦게 금리를 매우 과격하고 빠르게 올려서 일부 은행을 파산에 이르도록 한 것은 다시 금리를 낮출 명분을 만들기 위한 조작이다. 이것은 다시 장기적이고 높은 인플레이션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금리는 인플레이션에 비하면 부수적이고, 도구에 불과한 것이다. 


파월이 진정 원하는 것이 금융억압을 통한 미국정부부채가치의 하락 (부채/명목gdp)이고, 이것을 통해 미국 정부가 다시 재정건전성을 회복하고 장기간에 걸쳐 재정확장을 주도할 수 있다면 금융위기 이후의 맥없는 상황보다는 좀 더 활력이 넘치는 경제 상황이 펼쳐질 수 있을 것이다. 중국과의 헤게모니 싸움에도 조금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정말 이것이 진행 중인 음모이고 의도대로 진행된다면 어떤 상황이 펼쳐질까?


1) 장기간에 걸쳐 높은 인플레이션이 유지된다. (4-5% 이상 10년 정도)

2) 이러한 인플레이션을 낮추지 못할 정도의 어중간한 기준금리 수준이 유지된다. (물가보다 1-2% 낮은 수준)

3) qt의 qe 전환은 조용히 진행된다. 최근의 연준 자산증가는 qe가 아니고, 은행에 대한 지원은 구제금융이 아니라고 믿게 하는 것처럼.

4) 망하는 은행은 소위 g-sib급은 아니다. 한국의 5대 은행은 여기에 포함 안 된다. 
https://www.fsb.org/2022/11/2022-list-of-global-systemically-important-banks-g-sibs/

5) 긴장이 풀릴만하면 잠깐씩 금리를 확 올리고 몇십조짜리 적당한 은행이 한두개씩 망하게 두어서 정부와 연준의 양적 완화를 금융시장에서 요구하도록 한다.

6) 이렇게 긴축과 완화를 오락가락하면서 지금이 침체기인지 활황기인지 분간하기 어렵게 한다. 

7) 2030년 정도에 미국의 명목 gdp는 두배이상으로 증가하고, 미국정부부채는 이보다 훨씬 낮게  증가하면서 미국정부부채비율이 금융위기 이전의 60-70%대로 회귀한다.

8) 모든 조작은 당연히 물가안정을 위한 금리 인상, qt와 금융안정을 위한 금리 인하, qe를 섞어서 종잡을 수 없게. 

9) 그러나 명목 gdp(물가+성장)이 꺾이지 않게.



이런 세계관 하에서 파월은 세상물정 모르는 마바라 정치학자가 아니라, 미국 구원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금융의 신이다. 채권투자자를 벌주고, 구제하는 것도 신의 손바닥 안에.


왜 지금인가?
물 들어올 때 노를 저어야 효율이 높고 실패 가능성이 낮다.
판데믹과 우크라이나 전쟁이 만들어 낸 기회의 창을 놓치지 말아야.
금리인상을 너무 빨리 시작했으면 인플레이션이 잡힐 수 있고, 너무 늦어서 인플레이션이 더 강력하면 스태그플레이션이 나타났을 때 금융위기 가능성을 통제하기 어려울 수 있다.





요약

최근의 혼란은 장기간의 인플레이션을 유지하기 위한 준비과정...이라는 썰.





----------
사족

이 음모론이 기존과 다른 점은 기존의 금융억압 주장에서 저금리가 핵심이었던 것에 비하면 인플레이션 혹은 명목 gdp가 핵심. 채권자들의 손실에 기반해서 정부같은 채권발행자들의 이익을 지키려는 것이라서 산업자본보다 금융자본의 이익은 덜 중요. 


사족 2

만약 파월이 신의 탈을 쓴 겁쟁이라면 인플레이션을 10년 동안 쫓아다니면서 비슷한 결과를 낳을 수도 있음. 기름값이 하락 추세에서 벗어나는 것은 양쪽 모두의 파월에게 필요했던 상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