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12월 5일 수요일

yield curve inversion 20181205



말 많던 yield curve inversion이 드디어 시장을 흔들고 있다.
금리차를 그래프로 확인하고 싶으면 미국 재무성 사이트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https://www.treasury.gov/resource-center/data-chart-center/interest-rates/Pages/Historic-LongTerm-Rate-Data-Visualization.aspx

더 빠르게 확인하려면 아무 금융 사이트에서 금리 숫자를 직접 확인해서 비교해볼 수도 있다.

역사를 알고 싶으면 당연히 fred에서 보는 것이 좋다.


기준금리부터 30년물까지의 금리를 11월말까지 표시한 것이다.
금리차 역전이 60년대 이후 경기침체에 1-2년 선행한 것은 명백한 사실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보는 10년-2년은 무슨 근거가 있는 것이 아니다.
내가 보기에 2년물은 금융위기 이후 단기물의 대표가 되기 어렵다.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10년-1년을 선호했지만, 요즘은 많은 이들이 10년-기준금리를 보기도 한다.

10년에서 2년 이하금리는 뭘 빼든 크게 상관없는데 30년-10년, 5년-3년, 5년-2년은 좀 다르다.

1년 이하 단기금리는 금융위기 이후 미국이 마이너스 금리를 도입하지 않은 것때문에 혹은 양적완화로 대신한 것 때문에 만기간의 차이가 압착되어버려서 15년 금리인상이 시작되기까지 차이가 적은 상태였다.


2년이상 7년까지의 금리는 연준의 Operation Twist와 Untwist로 인해 영향을 받았고, 지금은 양적 긴축의 영향을 받고 있을 것이다.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7/02/operation-untwist-20170227.html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7/03/term-spread-20170309.html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7/06/qt-1.html


특히 30년-10년은 금융위기 이후 이전과 차이가 나고 이유를 이해하는 것도 썩 쉽지 않다.
모기지, 보험 등 장기 금융 상품이 필수적인 분야들에 대한 깊은 이해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3/12/t30-t10-spread.html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3/06/decrease-of-t30-t10-spread.html


쪼개보면 복잡한 것 같지만, 금리차가 정말, 진짜, 확실히 역전되는 시기에는 기준금리가 10년물을 넘어서 모든 금리차가 역전된다.

일부 구간의 역전은 선행신호가 될 수는 있지만, 현재로서는 노이즈에 불과하다.
5년, 7년 금리 하락이 다른 만기물보다 더 큰 것은 시장 수급 어떤 것으로도 설명될 수 있겠으나 그것이 특별히 미국채를 선호하거나 안전자산을 선호하는 증거가 될 수는 없다고 본다.




조금 더 확대해서 최근의 금리를 자세히 보면 5년에서 2년까지의 금리가 밀집되어 있다.
1일에서 30년까지의 폭이 좁아지는데 모든 구간에서 똑같은 속도로 진행하는 것이 더 이상하다.
과거 60년간 그런 적도 없다.

확실한 것은 2010년 이후 변함없이 금리차가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보기좋은 일드 커브 그림을 찾다보니 한화에서 나온 보고서 "한국 수출분석과 국내 주식시장 style전략"의 그림이 보기 좋다.
이외에 산업별 수출, 국가별 산업별 재고순환 지표도 대한민국의 다른 보고서에서 자세히 다루지 않으니 특별히 볼만한 가치가 있다.


사람들이 난리가 났다고 하는 부분이 분홍색 박스(내가 강조를 위해 원 그림에 표시한 것)의 금리가 옆으로 누운 부분이다.

실제로 금리차 역전이 발생하려면 빨간 화살표(역시 내가 표시)와 비슷한 정도의 금리변화가 발생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준금리가 3번 이상 순식간에 상승하거나, 장기금리금리가 그만큼 내려가야 한다.
느리게 기준금리가 변하면 그것은 또 다른 상황이다.

그 전에는 금리차 역전이 발생할 수 없다.

그런데 연준에서 언급하는 중립금리는 내 상식으로는 초단기, 초장기금리의 중간에 있으니 지금 금리차 역전을 가지고 호들갑떠는 것은 좀 아니라고 본다.




이상을 요약하면 아직 금리차 역전은 발생하지 않았고, 금리차 역전이 발생하려면 빠른 시간 내에 단기금리가 상당히 상승하거나 장기금리가 내려와야 한다.

그러나 내 생각으로는
단기금리가 빠르게 올라가는 것은 연준에 달린 것인데, 그럴 것 같지 않다.
장기금리가 빠르게 내려가는 것은 시장에 달린 것인데, 그럴 것 같지 않다.

그럼 금리차역전이 발생하면 1-2년 후 침체가 오나?
1960년대 이래 반복된 일이다.

금리차역전이 발생하지 않으면 침체가 안 오나?
온다고 본다. 대공황 이후 1950년대까지 금리차역전이 발생하지 않았어도 침체는 반복되었다.

그럴 땐 뭘 보나?
실업률, 물가, 산업생산, 부채...  아무거나 두어개만 더 보면 누구나 알 수 있다.

그래서 침체가 언제 오나?
모른다. 오고 있다는 것만 알 수 있을뿐.




이게 금리차를 대공황 이전까지 연장한 이후부터 들여다 보는 금리차이다.
아직이라고 할 수 있다.





댓글 10개:

  1. 저는 개인적으로는 97년의 inversion과 비슷한 상황이라고 생각하고 행동 하고 있습니다. 위험자산을 줄이지 않고 오히려 늘리는 중입니다.

    그렇지만, 지식만으로는, 그리고 과거의 패턴대로 투자하면 항상 성공한다는 법도 없다는 것도 잘 알다보니.. 틀릴 지도 모르는데.. 라는 생각도 많이 드네요.

    그래서 틀리면 어떻게 될까? 어떻게 해야 할까? 생각도 해봤는데.. 지금 결국 이대로 주식 시장이 30%이상의 하락을 보인다면.. 제가 할 수 있는 것은 그냥 들고 가는 것 밖에 없더라고요.

    원래는 거품이 끼면 위험자산의 비중을 줄이고, 안전자산의 비중을 늘려서 시장 수익률보다 좋은 수익률을 내려고 했지만.. 결국 그럴 기회를 못가졌다고 자위하고 그냥 시장 수익률로 가는 수 밖에 없다고..

    답글삭제
    답글
    1. 97년이라면 시간적인 여유가 있다고 보는 셈인 것 같네요.
      그렇다고 해도 지금은 몇년 전처럼 편한 시기는 아니지만, 침체가 언제 온다고 해도 금융위기급일 것으로 보이지 않고, 4-5년 이상 길게 보면 어떤 경로를 거치든 결국 비슷한 곳에 도달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위험에 맞서든, 피하든, 적당히 조합하든 자신에게 익숙한 방식을 고수하는 것 말고 달리 할 수 있는 것도 없구요.

      삭제
  2. 아.. 그리고 요즘.. 유럽의 위험자산들이 가격이 참 많이 빠졌읍니다. 코코본드 같은 자산군은 9월부터 지속적으로 하락해서.. 아무리 봐도, 브렉시트가 무질서한 상황으로 가면 어떻게 될 지 모른다고 유럽의 금융기관들은 몸을 사리는 것 같네요. 미국사람들은 걱에 별로 신경 안쓰는 것 같지만..

    답글삭제
    답글
    1. 유럽지수, 유럽금융주들도 많이 빠진 것처럼 보였는데, 유럽은행들의 코코본드도 그런가 보네요. 채권은 국채금리, 하이일드스프레드 가끔 보는 것말고는 모르지만, 크게 위험을 반영하고 있는 것같지는 않아보여요. 암튼 투자하기 어려운 시절같은 느낌이네요.

      삭제
  3. 저도 좌크님 생각에 동의 합니다.

    답글삭제
    답글
    1. 위험을 감수하는 것이 어떤 때는 욕심부리는 것이지만, 또 어떤 시절에는 욕심을 버리는 것이 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삭제
  4. 아직도 07년의 공포에 젖어있구나 이런생각이 들더군요....

    답글삭제
    답글
    1. 금융위기를 생각하면 아직도 식은 땀이...
      09년 이후 나스닥은 아니라도 s&p500정도의 투자성과만 올렸어도 몇년 쯤 쉬고 싶은 생각이 들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삭제
  5. http://mobile.newsis.com/view.html?ar_id=NISX20180719_0000368352#imadnews
    이런의견도 있네요

    답글삭제
    답글
    1. 버냉키 전의장은 금융위기 전에도 장단기금리차만으로 침체를 점치는 것보다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라는 교과서적인 말씀을 지속적으로 했습니다.

      https://www.federalreserve.gov/newsevents/speech/bernanke20060320a.htm

      2006년 글이고 수익률곡선평탄화가 침체의 전조가 아니라는 근거를 세개나 들고 있습니다.

      당시에도 장기금리 하락의 원인이 과거와 다르다고 했지만(텀 프리미엄 하락, 중국의 과잉저축, 미국채권투자...) 금융위기 이후 각국의 대응(양적완화, OT, 제로금리, 마이너스 기준금리)이 장기금리의 하락을 더 낮추는 경향을 심화 시켰다고 볼 수 있으니 버냉키의 논지는 강화되는 것이 당연한 일입니다.
      결과적으로 버냉키가 한번 틀렸다고 또 틀리는 것을 보장하는 것은 아니지만, 버냉키의 주장에서 장기금리가 낮게 유지되는 이유와 긍적적인 전망에는 관심을 주고 결론을 이용하는 것에는 조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18/03/bond-term-premium-tips-spread.html
      텀 프리미엄을 조사했던 이전 포스팅에서 버냉키의 낮은 금리의 원인에 대한 글을 한번 인용한 적이 있습니다.

      https://www.brookings.edu/blog/ben-bernanke/2015/04/13/why-are-interest-rates-so-low-part-4-term-premiums/

      So what moves term premiums? The key factors are (1) changes in the perceived riskiness of longer-term securities and (2) changes in the demand for specific securities (or classes of securities) relative to their supply.

      삭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