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8월 7일 수요일

엔캐리트레이드 청산? 글쎄 20240807

 


엔캐리 트레이드 청산으로 인해 엔화강세가 촉발되었고, 일본 주식 시장의 투매와 한국, 대만 등 아시아 시장의 투매로 이어졌다는 소설에서의 문제는 1) 엔캐리 트레이드가 존재했나? 2) 그것이 청산되었나? 에 대한 증거가 없다는 것이다.


미국 헤지펀드들의 엔화매도 잔고가 어쩌구 하는 것은 그저 전문적으로 환율에 대한 투기적 거래를 하는 주체의 계좌 상황일 뿐이고, 전체 규모도 알 수 없고, 이게 엔캐리 트레이드인지 아닌지도 알 수 없다.


돈 많은 주체가 패면 대상이 뭐든 단기적으로 빠질 수 밖에 없고 그런 것은 일본 당국의 달러매도 개입시에 몇 %의 엔화강세가 순식간에 나타나는 것을 보면 알 수 있다.

이것을 엔캐리청산이라고 부르지 않는데, 이것은 애초에 엔캐리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럼 미국 헷지펀드는 엔매도를 해서 당겨온 달러를 미국이나 다른 나라에서 금리가 높은 곳에 투자해서 수익을 추구한 것인가?

그럴리가 없다. 왜? 손해였으니까.


2020년에 버핏은 일본에서 수조를 차입해서 캐리하지 않고 일본의 5개 상사 주식에 그대로 투자했다.

물론 다른 누군가는 엔화를 빌려서 미국주식에 투자했을 수도 있다. 이것이 엔캐리트레이드인가?

그럼 엔화를 빌려서 헤지 안 하고 몇년짜리 투자를 진행했을까? 

헤지하면 이자절감보다 비용이 큰데 왜 일본에서 빌려서 미국에 투자하나?

정신이 나간게 아니면 최근 몇년간 엔매도 거래는 엔캐리 트레이드라기 보다 그냥 엔화 약세에 베팅한 것이다.


엔 캐리 여건이 없었음에도 엔캐리 청산에 대한 얘기만 앵무새처럼 반복하는 기사, 보고서가 넘쳐나는 와중에 다른 의견이 있는 보고서 두 개가 나왔다.


훌륭하다.




엔캐리 트레이드의 주체나 규모는 보고서 쓰는 사람이 정하기 나름이지만 그것에 대한 언급도 보통은 없는데 비해 nh의 보고서는 언급하고 있다.

일부에서 엔화를 빌려서 미국에서 주식투자를 했다고.

이것이 회자되고 있는 바로 그 "엔캐리 트레이드"인지는 모르겠다.






신한의 보고서는 대놓고 엔화 공매도 포지션의 청산이라고 한다.

엔캐리는 커녕 외국인의 일본 주식매수가 유입되었다고 한다.
아예 오해의 여지도 없다.



급격한 엔화 강세가 나오면 일본당국의 개입이나 엔캐리트레이드청산이라는 선입견이 가득한 해석이 쏟아져 나온다.

이번에는 일본당국의 개입이었을리는 없고, 당연히 일본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등 긴축정책이 가져올 변화가 트리거였을 것이다.

일본은행의 긴축은 예상하지 못할 것도 아니고, 미지근하고 수긍할만 것이었다고 본다.
그런데 왜 이런 시장의 반응이 나타났을까?
위 보고서의 견해를 참고해서 생각해보자.



일본 경제는 30년의 디플레이션에서 벗어나고 있다.

물가, 임금인상의 스파이럴이 유지될 가능성이 있고, 여기에는 12년에 시작된 아베노믹스의  영향이 크다고 본다.

제로금리, 채권시장을 통한 양적완화뿐 아니라 주식시장, 리츠(부동산) 시장에 대한 직접 매수 개입으로 자산가격의 상승까지 유발하는 급진적인 정책을 23년까지 10년 이상 지속했다.


18년 이후 미국에서 양적 긴축 기조로 돌았던 것과 비교하면 일본의 긴축은 23년에 시작되었고 약 5년의 시차가 있다.
물론 20년의 판데믹이 아니었다면 일본도 더 빨리 긴축을 시작했을 가능성이 있다.

23년 일본중앙은행장이 바뀌고도 긴축은 아주 느리게 물가, 임금을 확인하면서 진행되었고, 미국의 22년 이후 가속된 긴축에 따른 고금리로 인해 엔화 약세 압력이 가중되면서 약 30%의 절하가 나타났다.

이것이 헤지펀드의 과도한 엔화 약세 베팅때문인지, 디플레탈출에 따른 펀더멘탈 변화의 결과인지는 보기에 따라 다를 것이다.


작년부터 올해 초까지 일본 기업 등 실수요자의 컨센은 달러당 130-145 엔정도였던 것으로 보인다. (기업들의 ir자료 전망에 보통 올라옴)

변동성을 고려해도 160엔 이상은 단기적으로 과도하다는 판단을 다수가 했을 것이고 미연준의 기준금리인하 가능성과 일은의 기준금리 인상이 겹쳐진 시기는 베팅에 적절한 타이밍이었을 것이다.

일단 엔화 약세 추세가 끝났다고 본다면 엔화약세로 인해 급증한 수출로 벌어들인 막대한 달러를 보유하고 있던 수출기업들의 경우 신속하게 달러를 매도할 이유가 생긴다. 

동시에 외환시장의 투기적 거래자들에게 마진콜이 가능성이 생겼을 것이다.

투매가 투매를 부르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 이상하지 않았다.


이대로 두어서 외환, 주식, 채권 시장이 안정된다면 다행이지만, 자산 시장의 붕괴로 인해 일본의 30년 디플레 탈출이 무위로 끝나고 부동산 시장도 냉각되고, 임금, 물가의 상승이 멈춘다면 일본은행에 대한 비난은 수십년을 지속할 수 있다.

10여년에 걸친 노력이 헛수고가 되는 것이고, 아마 소멸하고 있는 일본에게 남은 마지막 기회일 것이기 때문이다.



일본 당국은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무제한으로 개입할 것이다.

외환, 채권, 주식, 리츠 (부동산) 모두가 대상이다.



그래서?

지금 확인하고 있는 것은 다수가 원하는 환율 수준이다.

장기적으로 엔화 약세의 방향이 바뀌기 위해서는 일본 전체가 디플레의 망령에서 완전히 벗어냐야한다. 

세대 교체가 필요할 수도 있는 일이, 겨우 두해 진행된 인플레이션으로 달성되었을 가능성은 없다.





요약

엔 캐리 트레이드도 없고, 청산도 없다.

엔화 공매도의 청산이 있을 뿐이다.







2024년 8월 5일 월요일

japan bank vs us 10-yr treasury 20240805

 


한국 증시의 8%대 하락도 크지만 일본의 12%대 하락은 놀라운 수준이다.
그 중 대표 수출주, 금융주는 더욱 하락폭이 크다.


앤캐리 트레이드 청산 등 말이 많지만, 믿을 바가 못 된다.
엔화 강세는 엔선물/현물투자자들이 열심이 살 때 발생하고 관련된 지표는 엔화강세와 동어반복에 해당하는 무의미한 지표이다.

22년 이후 24년 상반기까지 미국금리상승과 엔화약세가 진행되는 동안 일본 보험사, 은행 등은 해외자산에 대한 투자를 늘리기는 커녕 기왕 보유증이던 미국채 등에 대한 매도가 증가하고 엔화 자산에 대한 투자나 엔화 현금 보유가 늘었다.

5%가 넘는 헤지비용을 고려하면 미국채가 아니라 금리가 4%이상 낮은 일본국채에 대한 투자의 수익성이 더 높았던 시기였다. 엔 캐리로 이익을 낼 조건이 아니었다고.


그런 조건에서 일본 금융사들의 주가 상승은 미국채, 미국지방은행채 등 해외자산에서의 손실에도 불구하고 일본내 예대마진 개선, 장기 금리 상승에 따른 투자성과 개선, 경기 확장 등에 대한 기대 등이 원인이었다.







동아시아 주식시장 폭락을 선도한 일본 은행주 etf와 미국채 etf를 비교했다.

명확히 대칭이다.

미국채가 안전자산의 대표라고 보면 일본 은행은 정확하게 위험자산의 대표라고 부를만하다.
과장하면 미국채 인버스라고 해도 될 듯하다.

일본은행주식의 최근 급락은 판데믹 초기의 급락과 비교해도 두드러진다.
미국채보다 늦게 미국의 금리하락/침체 가능성을 일본의 은행과 주식과 엔화가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도 있고 일본 정부와 중앙은행의 뒤늦은 긴축에 대한 위험관리 때문일 수도 있다.

원인이 무엇이든 두 자산의 대칭적 움직임이 명확하고 어떤 것이 안전자산인지는 시기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기 때문에 미국금리급락과 경기침체의 가능성이 실현되는 조건에서는 앞으로도 일본은행주식을 청산할 가능성이 있다.





요약 

1) 미국 금리상승의 수혜를 입었던 일본 은행 업종이 시장 변화를 선도하고 있다.

2) 지나고 보면 과거의 수혜가 당연해 보이지만, 기왕에 보유한 막대한 미국 채권때문에 당시에는 당연한 것도 아니었다. 당연해 보이는 미래도 의심할 필요가 있다.



 




2024년 8월 4일 일요일

unemployment rate - logistic model 20240804

 


https://informationtransfereconomics.blogspot.com/2017/01/dynamic-equilibrium-presentation.html


미국 실업률에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직선을 더하면 하락구간이 고원기로 바뀌고, s자 모양의 로지스틱 모델로 쉽게 피팅을 할 수 있다.

그러면 2차대전 이후 침체기간의 미국 실업률은, 금융위기와 판데믹 시절을 제외시, 일정한 진폭과 기울기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만약 최근의 실업률 상승이 금융위기 이전의 침체 패턴을 반복한다고 가정하면?

1) 실업률 상승의 시작은 이미 1년 전에 시작되었고,

2) 현재는 중반의 가속기에 진입하고 있고,

3) 실업률 상승의 전체 기간은 2년반 - 3년정도 지속될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보면 현재와 비슷한 구간은 1989년과 2000년의 두 침체기이다.


다만 전형적이지 않은 두 번의 침체를 겪은 이후이고, 침체에 선행하는 것으로 알려졌던 경기 지표들의 유효성이 다시 검증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번의 실업률 상승이 어떤 경과를 지나게 될 지 미리 알 수 없다. 결과적으로 침체가 선언될 지도 미리 알 수 없다.

주로 금융위기 이후 무제한 양적 완화에 의한 경제 체제 교란이 원인일 것으로 본다.



요약

최근 미국의 실업률 상승이 침체 신호라고 가정할 경우, 경험적으로 실업률을 로지스틱모델과 비교하면 진폭으로는 급가속구간의 초입이고 기간으로는 초반을 지나 중반에 진입하고 있다. 




-------------------

참고

로지스틱 모델에 대해서는 과거 판데믹 시절 글 참조.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0/02/novel-coronavirus-outbreak-logistic.html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0/02/hubei-novel-coronavirus-outbreak.html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0/11/korea-covid-19-6th-wave-getting-bigger.html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0/12/korea-covid-19-20201218.html

코비드 확진자와 사망자를 여러 나라와 시기에서 로지스틱 모델로 피팅하고 경과를 예상해볼 수 있었다. 특히 초반을 지난 경우 추정치는 실제치와의 차이가 급격히 감소한다. 

실업률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본다. 중요한 것은 지금이 실업률 상승의 초기(2-3개월 경과)인지 중반(1년 전후 경과)인지를 구분하는 것이다.






2024년 8월 2일 금요일

korea export vs ism pmi 20240802 - 갭 확대

 



최근까지 한국 수출은 강하고, 무역수지도 플러스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은 아시아권 국가 중에서도 유난히 경기 침체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수출이 내수 둔화의 악영향을 완화시키는 버팀목 역할을 못하는 경우 심각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중국 경제가 장기 디플레이션 가능성을 보이고 있고, 한국 수출에서의 비중도 미국과 다시 역전되어 감소하고 있어서 미국 경제의 중요성은 2000년대 이후 가장 높다.

고용, 임금, 소비 등 중요한 지표들이 하락으로 방향을 틀면 미국 서비스업에는 크게 기대할 바가 없어진다.

반면 미국 제조업은 한국 수출과의 관련성이 높고, 최근 투자가 집중되는 ai와 관련 인프라가 한국 수출의 경쟁력이 높은 분야라서 바닥 탈출 후 장기 활황에 대한 기대가 존재한다. 

ism pmi는 높은 노이즈에도 불구하고 미국 제조업황에 대한 정보를 빨리 제공한다. 어떤 시기에는 한국 수출에 선행한다고 볼 수도 있다. 

그런데 최근 1년 동안 한국 수출과의 괴리가 커지고 있고 7월 지표는 그 차이가 매우 커졌다.

갭의 확대를 위험 증가로 보는 것이 보편적이겠지만, 특정 분야에서 한국 수출제조업의 경쟁우위를 나타내는 긍정적 지표로 볼 수도 있다.


최근에는 한국 수출이 ism pmi보다 우위에 있던 경우가 없지만, 과거에는 몇 번 나타났다.

1995-1996년 - 첫번째 메모리 수퍼싸이클 고점

2000년 전후 - it거품 고점

2002-2003년 - china shock전 중국붐 초기

2006-2008년 - 04년 차이나 쇼크 이후 금융위기 직전까지 중국 거품

2023-2024년 - 현재 상황 ?everything bubble ?ai bubble


이렇게 설명을 붙여 볼 수 있다.

한국 수출이 특별히 더 잘 나갈 때는 (사후에라도) 그럴싸한 이유를 찾을 수 있고, 지금은 특히 반도체, 자동차 등에서 찾을 수 있다.

그러나 그런 디테일보다 중요한 것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이다.

 


요약

한국, 미국 지표 간의 괴리가 좋은 방향으로 축소되기를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