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8월 4일 금요일

미국채 20230804 - 버핏은 장기채 안 산다는 것

 

http://www.sisajournal.com/news/articleView.html?idxno=269445



"버크셔는 지난주 월요일 100억 달러(한화 약 13조원)의 국채를 매수했고, 이번주 월요일에도 같은 규모를 사들였다. 그리고 다음주 월요일 던질 유일한 질문은 버크셔가 국채 100억 달러어치를 추가 매입하는 데 있어 3개월물로 살지, 6개월로 살지라는 점이다"



버핏옹이 미국은 안전하고, 달러도 안전하고, 미국채도 안전하다고 하면 믿어도 된다.


그럼 정말 행동으로 옮기는지 확인만 하면 되는데, 미국채를 정말 사기는 샀다.

그런데 다들 관심있어 하는 10년물이 아니라, 3개월 6개월짜리 단기채이다.

이자가 5% 넘는 단기채를 6개월 들고 있는 것이 현금 부자에게 부담이 될 리 없다. 현금보다는 확실히 나을 것이다.


게다가 미국이 설령 망해도 6개월 안에 망하는 것과 30년 안에 망하는 것은 같은 문제는 아니다.

30년짜리를 만기까지 들고 있을지, 중간에 팔지 고민해야 하는 것과는 6개월짜리를 들고 있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이다.


버핏이 석유, 가스 주식을 사고, 미국 인프라에 투자하고, 일본의 상사를 사는 것은 인플레이션이 상수가 되는 세상을 보는 것이다. 

미국채를 산다고 인터뷰를 했다고 해서, 장기채를 사서 금리하락에 베팅하는 것으로 받아 들이면 안 된다.



한국 사람들이 일본 시장에 상장된 미국장기채 etf (hedged) 를 사서 엔화 강세로 먹고, 미국 금리 하락으로 더 먹는 일석이조를 노린다고 한다. (1482.t, 2462.t)

이런 얘기가 나온지 몇개월이 넘게 지나고 있으니 벌써 결과들이 나오고 있을 것이다.


나는 2007년에 중국 펀드(hedged)에 가입했다가 금융위기를 거치면서 주식 반토막, 환율 반토막으로 환헤지 손실 금액을 입금하지 않으면 원금 전액 손실로 해지되니 추가 입금하라는 연락을 받은 기억이 있다.

추가 입금한 후 상당 시간이 지난 후 다행히 거의 원금을 회복한 후 펀드를 해지했고, 거시경제에 대한 공부를 하는 계기가 되었지만, 만약 금액이 컸다면 전액 손실 확정으로 포기했을 것이다.


단기 주가를 예측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다만 버핏처럼 펀더멘탈에 기반해서 장기 주가 예측에 성공한 예가 없는 것은 아니다.

단기 환율을 예측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다만 소로스처럼 펀더멘탈에 기반해서 환율에 베팅해서 성공한 투자자가 없는 것도 아니다.

그러나 확률이 높은 것도 아니고 결과적으로 맞는 베팅을 했다고 모두가 끝까지 버티는 것에  성공하는 것도 아니다.



미국 단기채는 5% 이상의 확정 수익을 기대하는 단기 투자자를 위한 것이다. 현재의 인플레이션에서 실질 수익률은 플러스일 가능성이 높다.

미국 장기채는 만기까지 보유가능한 장기 투자자를 위한 것이다. 장기 실질 수익률이 지금 플러스라고 해도 만기에 다시 평가했을 때도 그럴지 알 수 없다. 다시 말하면 만기에 현재의  실질가치 이하로 떨어질 각오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더구나 만기까지 장기채를 보유할 수 있다고 해도 평가손실이 문제가 되는 투자자라면 피해야 한다.

또 만기까지 보유할 수 있다고 믿어도 채권 가격이 급락하는 결정적인 시기에 채권을 팔아야 하는 상황을 대형 금융기관들만이 아니라 개인들도 겪을 수 있다.




요약


장기 미국채 투자는 앞으로 남고 뒤로 밑지는 장사가 될 수 있다.

환율과 엮인다면 앞으로도, 뒤로도 밑질 수 있다.

10년 전의 브라질 국채보다 나을지 판단하기 어렵다.





2023년 8월 2일 수요일

sk 의 신기한 자금 조달 뉴스 20230802

 

https://view.asiae.co.kr/article/2023080108583621948

"SK그룹 정유사업 부문 계열사들이 6800억원 규모의 당좌수표를 유동화하는 방법으로 대규모 현금 지출 부담을 덜었다. 추가로 차입을 늘리지 않으면서 단기 운영자금 부담을 줄이기 위해 당좌수표 유동화 거래를 한 것으로 풀이된다. SK하이닉스의 대규모 적자와 이차전지 사업 투자로 차입금이 100조원을 훌쩍 넘어선 SK그룹이 최근 차입금·유동성 관리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sk그룹의 주요 계열사인 sk하이닉스와 sk온은 대규모 적자가 지속되어도, 생존을 위해 대규모 capex를 몇 년 이상 꾸준히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다른 계열사들이 재무적인 안정성을 유지하지 못하면 그룹 전체의 위험이 부각될 수 있다.

그러기 위해 부채 관리, 현금흐름 관리를 매우 빡빡하게 할 수 밖에 없는데, 이번에 sk이노베이션의 자회사들이 "당좌수표의 유동화"라는 신박한 방법으로 단기 자금을 조달한 것도 이와 관련이 있을 것이다.

기사에 조달 금리에 대한 언급이 없지만, 3단계를 거쳐서 투자자를 모았기 때문에 꽤 높지 않았을까 짐작할 뿐이다.

전자단기사채, cp등 단기자금 조달을 위한 다른 방법도 있겠지만, 창의적인 방법을 동원한 이유는 아마도 "당좌수표 유동화는 당좌 한도 내에서 결제가 이뤄져 차입금으로 잡히지 않"기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과거 영구채, 코코본드 등을 부채가 아니라, 자본으로 인정하면서 전세계의 많은 기업들이 이용하다가, 콜옵션 행사를 안 하거나, 아예 부도를 내서 상환을 하지 않고 휴지를 만드는 무서운 사건들이 발생하면서 거의 퇴출되는 듯하다.

"당좌수표의 유동화"라는 것이 부채비율을 올리지 않는 새로운 수단인지 의심스럽지만, 이어지는 기사가 전혀 없어서 재무지식이 일천한 나로서는 시간이 지나야 내막을 알 수 있을 듯하다.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3/07/hynix-20230726-high-risk-no-return.html

하이닉스의 실적 발표 이후, 많은 전문가들이 sk하이닉스의 부채 30조 같은 것은 문제가 안 되니 걱정할 필요가 없다고 한다. 

그러나 사람들이 기대하는 것처럼 메모리 업황의 개선이 빠르게 나타나지 않고, 천문학적인 투자를 지속한다면 걱정을 해야할 충분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외환위기 이후 한국에서 지주회사 체제를 장려한 이유가 그룹 내 한 회사의 부실이 다른 회사로 전염되는 것을 막기 위함이라고 하지만, 지난 20년간 한국에서 계열사의 부실을 책임지지 않는 재벌은 정부와 국민의 비난을 받아서 실질적으로 책임을 피하는 경우가 많지 않았다. 

결국 한 계열사의 부실은 다른 계열사에 직접 간접 영향을 주게 된다.


미국의 투자가 전세계 경기를 견인한다고 해도 ai, 전기차, 인프라 등 일부에 집중되어 있어서, 내구재 소비에 기반한 메모리의 슈퍼싸이클 같은 것을 다시 보는 것은 수십년이 걸릴 수 있다. sk온이 수익을 내는 것도 lg엔솔의 과거를 보면 몇년 이상 걸릴 수 있다. 정유 화학의 업황개선은 중국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항상 그렇듯이 중국은 블랙박스이다.

sk하이닉스의 30조도 걱정이 되지만, sk 그룹 전체의 100조는 더 걱정이 된다.


이것은 전혀 할 필요가 없다는 재벌, 연예인 걱정이 아니고, 내 투자에 대한 걱정이다.

그러니 쓸 데 없는 걱정같지는 않다.



요약

sk그룹은 요지경.




toyota 20230802 - surprise

 

실적도 놀랍고 주가도 놀랍다.

더 놀라운 것은, 매출과 이익 증가에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이 미국이 아니고, 일본이라는 것이다.

미국은 오히려 평균을 깎아먹고 있을 뿐이다.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3/07/japan-20230728-30.html

일본 경제에 변화가 발생하고 있는 것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수출이 아니라 내수 중심의 회복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



https://global.toyota/en/ir/financial-results/



지역별 매출

증가율에서 일본이 압도적. 미국은 평균 이하.


지역별 영업이익

이익 비중도, 이익률도, 증가율도 일본 내수시장이 압도적. 
중국은 급감 중(별도 그림). 





2023년 8월 1일 화요일

korea export 20230801 - 회복 가시화

 

7월 수출입과 무역수지가 발표되었다.

상반기에 바닥을 확인 중인 수출에 비해 반년 정도 뒤쳐진 수입이 여전히 저점을 갱신하고 있다.

수입의 빠른 감소 덕분에 무역수지는 두달째 흑자를 유지하고 있다.

원유, 가스 등의 수입 가격 하락이 상당기간, 상당수준으로 진행되었고, wti등의 유가는 이미 바닥을 확인하고 상승하고 있기 때문에 수입의 감소가 조만간 멈출 수 있는 조건이다.

수출과 수입의 감소가 멈추고 다시 상승을 시작하는 시점은 수출금액이나 전년동월비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고, mdd의 상승전환도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누르면 커짐)

우하부터 시계방향으로 수출입금액/무역수지, 수출입yoy, 수출입mdd, 수출입/무역수지ttm

무역수지의 양전과 수출 하락세 중단은 거의 명확하고, 수입하락은 조금 더 진행될 수 있다.




전년 대신 반년 전과 비교하면 조금 더 빨리 저점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노이즈 감수는 필요)
수출 전년비가 아직 바닥이지만, 반년전과 비교시 수출의 상당한 회복이 진행된 것으로 볼 수 있고, 둘 간의 차이는 큰 폭으로 벌어져 있다. 


한국 수출의 본격적인 회복이 나타나는 것은 중국, 유럽보다 주로 미국에 달린 문제로 보이는데, 다행스럽게도 미국이 고물가, 고금리에도 불구하고 침체를 건너 뛸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oecd에서 제공하는 여러 나라의 cli(경기선행지수)는 리비전을 할 때마다 더 많은 나라들이 경기 회복국면에 이미 진입해 있었다는 사실을 확인시켜주고 있다.

경기에 민감한 광고매출 중심의 빅테크인 구글과 메타의 매출 상승전환도 가능성을 높인다.

비슷하게 한국의 광고업체들도 2분기 실적 서프라이즈를 보이고 있다.



7월 한국의 수출에서 자동차와 기계 부문만 전년대비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

세계 경기 회복이 지속되면 한국 수출에서 다른 업종으로 회복이 확산될 것이고, 이것은 몇 개월 내에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고 해도 수출 이외 한국 내수의 전반적인 회복이 나타나는 것은 가계와 기업의 부채 부담을 해소하기 전까지는 어려울 것으로 본다. 설령 정부의 경기부양책, 한은의 완화정책이 효과를 보여도 회복 강도는 기대에 미치지 않을 것이다.





요약

한국 수출이 빠르게 회복 중이다. 
혹은 그럴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