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7월 28일 금요일

value, price 20230728

 

가치는 받는 것이고, 가격은 지불하는 것이라고 한다.

내 생각에는 가치는 내가 결정하는 것이고 가격은 시장이 결정하는 것이다.


아래는 네이버 증권에서 보여주는 재무재표이다.



이건 누구나 다 아는 29조짜리 회사이다.



이건 싸구려 좋아하는 사람들이나 아는 1조 짜리 회사이다.


숫자를 대충 보면 두 회사가 크게 차이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둘 다 지주회사에, 지배구조는 둘 다 위험이 크고, 주주환원도 믿기 어렵지만, 최근 몇 년의 성과는 놀랍다.

그럼에도 대략 시총이 30배 정도 차이나는 이유가 몇년 후에 위쪽 회사는 연간 3-4조 이상을 벌겠지만 아래 회사는 4000억 전후가 꼭지일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둘러보면 시장에 이런 극단적인 차별화가 상당기간 진행되었고, 그것은 미래의 대한민국을  선도할 산업에 대한 합의점을 찾는 과정으로 보인다.

많은 사람들이 향후 전 세계를 이끌 산업을 ai라고 생각하고 미국 빅테크에 놀라운 강도로 베팅을 하고 있다. 그에 못지않게 한국에서 이차전지에 베팅을 강하게 하고 있다.

이런 베팅의 결과가 맞는지 틀리는지는 판단하려면 빨라도 몇년, 늦으면 10여년은 걸릴 것이기 때문에 세상이 미친 것처럼 보여도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없는 것이 아니다.

10년 전에 미국의 빅테크는 현재가격의 1/10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너무 비싸서 거품처럼 보였지만, 10년 동안 10배 오른 지금 거품이라고 하기에는 실적이 상당히 견고하게 받치고 있다.


비싸다는 것은 내가 보는 가치가 낮다는 것에 불과하고, 내가 지불할 수 없는 가격이기 때문이다.

비싼 것들이 그만한 가치를 증명해야 한국의 미래가 밝다. 

더럽게 싼데 영원히 좋아지지 않을 지도 모르는 발에 걸리는 잡동사니들과 비교해서는 적정한 가격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요약

이차전지, 반도체, 자동차 모두 잘 되기를 빈다.



japan 20230728 - 새로운 30년의 시작일까?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2/12/japan-lost-30-years-20221220.html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3/02/japan-green-shoots-20230219.html



드디어 일본은행이 장기간의 완화기조에서 벗어나기로 결정했다.

일본에서 30년만에 물가와 고용지표의 회복이 가시화되었고, 과도하게 긴축을 늦추면 무슨 일이 발생하는지 미국에서 선행학습을 했기 때문에 새로 임명된 은행장이 아무리 중립적으로 정책을 운영해도 피할 수 없는 일이었다.



미국은 긴축의 끝이 언제일지를 시장이 오래 베팅하고 있고, 일본은 완화의 끝이 언제일지 몇 년 동안 베팅하던 시장에 답이 나왔다.

https://www.marketwatch.com/investing/bond/tmbmkjp-10y?countrycode=bx


10년물 금리를 1%까지 열어 놓음. (0.25->0.5->1.0)

ycc 폐지 방향으로 진행 중.



1) 금리에 생길 일이 생겼다면, 다음에 벌어질 일은?

2) 환율: 엔화 강세 전환?

3) 주식: 내수 vs 수출

4) 부동산: 기왕에 움직인 듯.

5) 반도체 투자: 사활을 건 것 같기도.



https://stooq.com/q/?s=usdjpy&d=20230728&c=1y&t=l&a=lg&b=1&r=usdcny+usdkrw+usdtwd+usdeur



bank vs nikkei



요약

흥미진진 일본


----------

참고

https://www.boj.or.jp/en/mopo/mpmdeci/mpr_2023/mpr230728d.pdf





memory 20230728 - trap

 

마이크론, 하이닉스, 삼성전자의 실적이 공개되었다.

마이크론, 하이닉스의 재고는 1분기보다 2분기에 감소했다는 것을 숫자로 확인시켜 주었고, 삼성전자는 5월에 반도체 재고가 고점을 지난 것으로 언급하고 있다.

재고 고점은 업황 바닥의 신호라는 것은 4년짜리 메모리 재고 싸이클에서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상식이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바닥을 지났을 가능성이 있다.



세 업체의 매출을 비교해보면 하이닉스의 매출 급증이 특별해 보인다.

1분기에 하이닉의 매출감소가 문제라면 그 이전 분기들과 비교해볼 수 있고, 그 경우에도 하이닉스의 매출 중 약 1.5조는 마이크론이나 삼성전자와는 다른 영역에서 나왔을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이것이 hbm을 포함하는 gpu관련 매출이면 향후 메모리 수익성 개선에 도움이 될까?



두 업체의 매출vs영업이익을 도시한 것이다.

참고로 표시한 직선의 의미하는 바는 메모리 업황 회복기에 하이닉스는 매출이 4조 증가할 때 영업이익이 3조 증가한다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업황 회복기에 삼성전자반도체의 매출이 5조 증가할 때 영업이익이 5조 증가한다고 볼 수 있다.

반도체 산업의 고정비용이 매우 높기 때문에 영업레버리지가 매우 높게 나타나고, 그 레버리지는 지난 10년 동안 삼성전자가 하이닉스보다 더 높았다.


하이닉스는 2분기에 시장의 기대를 약 1.5조 뛰어넘는 매출을 기록했다.

하지만 영업이익의 증가는 매출 증가에 미치지 못한다.

매출 증가를 주도한 분야에서 비용도 급격히 증가했다고 볼 수 있다.


하이닉스에 비해 삼성전자는 과거의 추세선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지만, 본격적으로 매출이 증가하기 시작하면 어떤 상황이 벌어질지 알 수 없다.

 



마이크론의 매출과 영업이익 추이 (3분기 실적 가이던스 포함)를 보면 삼성전자나 하이닉스와 반대로 움직인다.

직전 슈퍼싸이클 고점에서 capex를 제한하고 업황 악화 시기에 인력 구조조정을 해서 손익분기점이 과거의 고점대비 오히려 낮아지고 있다.


메모리의 성장이 hbm에 달려 있다면 시장 초기 고비용 구조라고 해도 뛰어드는 것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그렇다면 다른 분야에서 다이어트가 필요한데 그것을 마이크론은 몇년에 걸쳐 했고, 삼성은 안 했고, 하이닉스는 오히려 살을 찌웠다.


미래의 위험에 대한 전망과 대비가 마이크론은 삼성전자나 하이닉스와 전혀 다르다.

2012년 이후 10년 이상 마이크론이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와의 시장점유율과 기술격차를 줄여왔다는 것은 명확하다. 그것이 연구개발뿐 아니라 과감한 인수합병을 통해 가능했다고 보지만, 재무적인 위험에 대한 대비에서도 차이가 드러나고 있다.


몇개월 동안 이차전지나 반도체 공히 과열권을 지나고 있지만, 미래를 선반영한다고 보면 어느 쪽이 더 고평가인지 판단하기 어렵다.


https://investors.micron.com/news-releases/news-release-details/micron-delivers-industrys-fastest-highest-capacity-hbm-advance

마이크론도 hbm을 준비한다고.




요약

한국 메모리 반도체의 미래는 아직 어둡다.




2023년 7월 26일 수요일

hynix 20230726 - high risk no return

 

하이닉스의 실적이 발표되었다.

놀라운 내용, 충격적인 내용이 혼합되어 있다.



매출은 1분기 대비 급증했다.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3/07/micron-20230705.html

마이크론의 2분기 실적 (3-5월)과 비교해도 두드러지게 증가한 것이다.

3분기에도 현 추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없지 않으니 길게 보면 다행스럽다고 할 수 있다.




ir 슬라이드에 따르면 매출원가는 증가했지만 판관비는 감소했다고 한다.
두 비용을 합쳐보면 10조가 넘는데 이것은 역사적 수준이고, 마이크론이 2분기에 비용감소에 성공한 것과 비교해보면 아쉬운 대목이다.




매출, 영업손익, 비용 (매출-영업이익 = 매출원가+판관비)을 도시한 것이다.

예상 외의 매출 증가, 예상 외의 비용 증가를 보였고, 영업손실은 1분기와 유사한 수준이다.

1분기의 비용 감소가 특별했던 것인지, 2분기의 비용증가가 특별한 것인지 지금 판단하기 어렵지만, 2조원의 차이가 적은 것은 아니라 이익을 예측하는 것이 당분간 쉽지는 않을 것이다.

재고가 약간 감소했지만 여전히 분기 매출의 2배 이상으로 높아서 언제라도 대규모 손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영업이익률은 심각하지만, 마이크론과 유사하다.



매출원가의 증가이유는 분기보고서가 나오기 전까지 자세히 알기 어렵다.

그러나 감가상각비가 일정한 수준을 유지하는 것을 보면, 일회성 비용(재고 비용)이나 인건비(hbm 연구개발, 지원 등)에서 엄청난 손실이 발생했을 가능성도 있다. 길게 보면 무형자산 투자라고 볼 여지가 없지는 않다.

세부 요소들을 알지 못해도, 현재 수준의 비용 구조가 유지될 경우, 손익분기점이 직전 슈퍼싸이클 이후 약 4조 이상 증가한 것은 매출vs영업익를 도시한 위의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다.

7조가 넘는 놀라운 매출을 기록했지만, 적자를 면하기 위해서는 11조 수준의 매출에 도달해야 해서 갈 길이 매우 멀다. 이전 싸이클에서는 11조 매출에서 3조 이상의 영업이익이 가능했던 것과는 차이가 크다.

더 문제는 이것이 마이크론의 비용 감소와 크게 대조된다는 것이다.
고정비용을 줄이면서 손익분기점을 낮추고, 재무구조를 개선하고 있는 마이크론에 비해 차입금이 지속적으로 증가해서 30조가 넘는 하이닉스의 미래는 하늘만 바라보는 천수답이라고 할 수 있다.

만약 dram에서 hbm과 ddr5가 기대만큼의 수익을 빨리 내주지 않으면, 개선될 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nand의 부진이 지속적으로 발목을 잡을 것이다.



한국의 메모리 반도체 업황에 희망이 안 보이지만, ai 관련한 후공정의 투자만으로는 한국의 반도체 업황을 이끌기 어렵다는 것은 대만tsmc를 봐도 알 수 있다.

내수 회복의 기미도 안 보이기 때문에 자동차, 기계, 이차전지 등 반도체 이외 수출 산업의 선전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요약

메모리반도체는 지금 어렵고, 당분간 더 어려워질 것이다.







2023년 7월 13일 목요일

business cycle - something different 20230713

 

대개 1960년대 이후의 세상에서 경기 싸이클을 판단하는 것은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크게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미국 정부에서 발표하는 산업생산, 소득, 소비, 실업률 정도만 봐도 충분하고, pmi, 장단기금리차 정도만 추가해서 보면 되는 일이었다.

그런데 지금은 많이 어렵다.



(그림 누르면 많이 커짐)

실질임금이 크게 하락하면 침체가 오고 상승하면 경기 회복이 진행된다는 것은 70년동안 진실이었다.

만약 침체가 22년-23년에 걸쳐 지나갔다면 여전히 진실이다.




50년대 이후 경기 싸이클 후반 물가가 오르면서 침체가 오는 양상이 반복되었고, 70년대에는 고물가와 동반된 침체=스태그플레이션으로 전 세계에 큰 충격을 주었다.

40년대 이전에는 침체는 디플레이션과 동행했고, 경기 싸이클 후반이 아니라 중반에 물가가 높았다. 


지난 2년간 전세계가 매우 높은 물가를 경험했고, 주로 가스, 석탄, 전기에서 문제가 발생했다. 기름값은 상대적으로 덜 올랐다.

23-23년 사이에 침체가 지나간 것이 아니라면 40년대 이후 3번의 경기 싸이클에서 보이는 디플레이션과 결합된 실업률 상승과 침체를 경험할 수 있다.



요약

침체가 가고 있는지, 오고 있는지, 실종된 것인지 알 길이 없다.




물가는 양날의 검 double-edged sword 20230713

 

물가 내려가니 미국 시장이 환호하는 느낌이다.

그런데 한국사람이 그렇게까지 좋아할 일은 아니다.

왜 그런가?

한국수출은 기름값이 상승하고, 미국물가가 호응해서 오르는 시기에 회복된다.

만약 하반기에 기름값과 물가가 빠르게 계속 내려가면 미국에 경기둔화/침체가 아직 안 왔다는 것이고, 한국 수출이 하반기에 다시 꺾일 것이라는 것이다.

만약 미국 고용이 악화되고 기준 금리가 빠르게 내려가는 상황이 발생하면, 금리차 역전의 경기 선행 신호가 이번에도 먹히는 것이고 모두 다 거품을 다 토해 낼 때까지 고생할 것이다. 


아래는 그림.



30년 동안 
1) 한국 수출은 유가와 동행.
2) 한국 주식시장은 수출과 동행.
3) 한국 주식시장은 유가와 동행.

만약 유가가 70불 저 아래로 내려가면 물가, 금리 내려가서 좋겠다가 아니고, 망한다는 것.



30년동안 미국물가는 유가와 동행
안 보였지만 미국 기대인플레이션은 유가와 더 밀접하게 동행.




만약 유가가 70불 아래로 계속 내려가면 미국 물가도 계속 내려갈 수 있고, 기준금리도 향후 한두번 상승같은 것이 문제가 아니라 결국 꺾여 내려가는 침체의 가능성을 생각해야.

기준금리가 급히 내려가고 나서, 침체가 안 온 것은 60년대 중반, 80년대 중반 두번에 불과.


미국에서 장단기 금리차는 이미 역전된 지 오래이고, 고용과 실질 임금 같은 것들은 침체와 거리가 있어 보이지만 빠르게 물가가 내려가면 미국내수보다 한국수출은 타격을 크게 받을 것. 

만약 그런 상황이 오면 상반기의 전세계 주식시장 랠리같은 것은 흔적도 없이 씻겨 내려갈 것. 적어도 한국에서는 그럴 것.




요약

미국 물가, 금리 빨리 내려가는 것은 한국에서 반길 일이 아니고 두려워 할 일.





tech - us, china, small 20230713

 




그림 출처: yahoo finance


23년 상반기에 미국의 빅테크가 압도적인 랠리를 보였고, 나스닥 etf 혹은 테크 etf에 잘 드러난다.

중국의 빅테크를 포함하는 kweb etf는 시진핑의 탄압 이후 21년 초부터 수직 하락을 보인 후 1년 이상 바닥을 기고 있다.

2020년 전세계에 붐을 일으켰던 돈나무눈나의 arkk는 포트폴리오 구성이 중국인터넷 etf와 전혀 다름에도 불구하고 동일한 시기에 고점을 보이고는 눈에 보이는 이단 하락 후 역시 바닥을 만들고 있다.


왜 arkk의 고점이 qqq가 아니라 kweb과 같을까?

원인을 실적을 포함하는 기업, 업종, 국가의 펀더멘탈에서 찾기는 어렵다고 본다.

그보다 금융시장의 수급이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위험이 높은 주식에 대한 베팅은 21년 초에 끝이 났고, 한국의 기술주도 비슷한 시기에 고점을 형성했던 것이 우연은 아니다.

연준이 물가를 고려해 금리를 인상하기 시작하기 전에 시장은 이미 그것을 반영해 움직이고 있었다.



그럼 23년에 시작된 미국 빅테크의 랠리는 정말 미국만의 랠리였나? 연준이 긴축에서 벗어나기 시작하는 것을 당겨서 반영한 것이었나? 막상 금리고점을 확인하고 내리막이 시작되면 킹반영으로 막을 내릴 것인가?

모른다.


그럼 위에 보이는 미국 빅테크와 기타 테크와의 큰 갭이 더 벌어질까?

의심스럽다.

수렴 방향이 어느 쪽일까?

모른다.




요약

물가 혹은 경기 방향과 상관없이 양극화가 더 진행되기 어려울 것으로 본다.




winner is mexico - not japan, not india 20230713

 

올해 시장은 미국에서 magnificent 7이 주도하고, 한국에서 2차전지, 기계 설비가 주도하고, 일본에서 상사가 주도하고, 대만에서 서버가 주도하는 시기에 중국, 홍콩은 죽을 쑤고 있었다.



미국에 상장된 각국 etf의 일년치 그래프이다. 미국, 일본, 인도, 멕시코, 홍콩, 한국, 중국 순.

환헤지되지 않은 것들이라 환율과 주가의 변동을 둘 다 반영하는 것이다.


중국, 홍콩은 저 아래에 떨어져 있고, 한국에서 크게 관심을 받지 못하는 멕시코는 저 높은 곳을 향하고 있다.

중국에서 빠져나온 자금이 투자되고 있다는 일본, 인도는 한국, 미국과 크게 다르지 않다.



일본, 인도가 나름 핫하다지만 실제 성과로 보면 크게 실속이 있던 것은 아니다.

알트아시아 혹은 알타시아라고 불리는 중국 제외 아시아 공급망 확장에 대한 기대가 있는 듯하지만, 미국, 캐나다, 멕시코에 대한 직접 투자의 증가에 미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위 그림이 반영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달러기준 각국의 환율이다. 중국, 일본, 인도, 멕시코, 홍콩, 한국 순. 


투자가 몰리는 국가의 환율은 강세를 유지하는 것이 보통이다.

위에서 뚜렷한 강세를 보이는 나라는 멕시코 하나에 불과하다.

일본, 한국은 돌고 돌아서 제자리이고, 중국은 두 나라와 비슷한 방향으로 움직였어도 뚜렷이 약세이다.

홍콩은 페그제 국가라 당연히 항상 제자리이다.

인도의 환율(녹색)은 어디서 조작이라도 하는 것처럼 장기간 일정한 범위에 갖혀 있다.



멕시코 etf의 강세에는 환율의 기여가 조금 더 컸음을 알 수 있다.

환율까지 고려하면 홍콩 주식의 약세는 중국보다 두드러진다. 중국화된 홍콩의 자본시장 수급이 나쁜 것은 피할 수 없는 것이고, 장기적으로 페그제가 무의미해질 가능성, 페그제를 포기할 가능성도 있을 것이다.




요약

1) 일본, 인도에 대한 기대와 현실이 같은 것은 아니다.

2) 멕시코는 1년 동안의 강세를 통해 10년 동안의 약세에서 벗어나기 시작했다.






2023년 7월 5일 수요일

micron 20230705 - 아직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3/03/micron-20230329.html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3/05/korea-export-semi-vs-auto-20230510.html

https://runmoneyrun.blogspot.com/2023/06/us-auto-house-sales-and-inventories.html


몇 개월 사이 달라진 것은 없다.

5월말까지의 마이크론 실적은 6월말에 발표되었고, 한국의 6월 수출은 7월 초에 발표되었다. 6월말까지의 삼성전자 잠정실적은 이번 주 내로 발표될 것이다.

메모리반도체의 업황은 여전히 바닥권임에도 불구하고 한국 수출은 몇 개월 째 회복 가능성을 보이고 있다.

향후 한국의 경기 회복이 진행될 경우 반도체를 제외한 자동차, 기계 등을 중심으로 한 미국향 수출이 이끌 가능성이 높다. 내수는 부동산, 부채, 금리 등을 고려하면 설령 반도체, 이차전지, 신재생 등의 분야에서 투자가 진행되더라도 다른 영역으로 이어져 경기확장국면이 진행되기에 불리한 조건으로 보인다.




3분기 매출은 회사의 가이던스. 아래의 op는 가이던스에서 추정.


마이크론의 매출은 22년 4분기 이후 고점의 50% 이하로 매우 낮아진 수준에서 움직이고 있다.
제시되는 전망치가 상반기보다 높지만 업황의 본격적인 개선을 예고한 것은 아니다.




재고를 전혀 줄이지 못하고 있고 적자에서 벗어나기를 기대할 수도 없다.
운이 좋으면 24년 상반기에 회복이 시작될 것이다.




직전 두 개 싸이클의 이익률 고점은 40-60% 수준으로 슈퍼싸이클이라고 부르기에 부족함이 없다. 

역사적인 매출과 이익은 역사적인 수준의 capex로 이어졌고, 과잉 투자 이후의 과잉 공급, 과잉 재고는 필연적인 수순이다.

그 와중에 최대 공급자인 삼성전자의 판단착오로 감산이 상당기간 지연되었고, 투자 규모 축소도 시장의 기대에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삼성전자의 갈짓자 행보는 단기적으로 재고조정의 폭과 기간을 강하고 길게 만들 것이다. 문제는 직전의 두 개 싸이클에서 메모리 가격 강세를 지지한 데이터센터, 서버에서의 강한 수요가 이후 싸이클에서 지속될 가능성이 있을지, 아니라면 ai vr 전기차 등에서의 수요가 대치할 수 있을지이다. 

아마존에 의한 클라우드 서비스 시대의 개화 이후 전세계 데이터 센터 투자가 증가하는데 적어도 4-5년의 시차가 있었다는 사실을 고려하면 긍정적인 경우에도 미지근한 수요로 상당기간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마이크론, 삼전, 하이닉스 중 지난 몇 년간 업황 악화에 대한 대응이 가장 늦은 것은 삼전으로 보이나, 2건의 낸드 투자로 재무적으로 불리해진 하이닉스가 이후 어떻게 대처해 나갈지가 중요한 변수로 보인다.




요약

응원이나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