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4월 22일 화요일

한국 상장기업의 배당성향이 낮은 이유





대우증권의 보고서 그림이다.

망해버린 아르헨티나를 제외하면, 한국의 상장기업들이 배당여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배당을 하지 않아서, 주요 선진국, 후진국 대비 배당성향이 가장 낮다는 것이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저렇게 명확하게 이유를 제시한다는 것이다.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한국의 배당수익율, 배당성향이 낮기 때문이고, 한국의 배당이 낮은 이유는 대기업들이 배당을 적게 하기 때문이다. 대기업중에서도 이익이 가장 큰 삼성, 현대차 그룹이 배당을 적게 하기 때문이다.


그럼 왜 대기업들이 배당을 적게 하는가?


재벌일가 그들만의 ‘배당잔치’…비상장 계열사 통해 거액 챙겨 네이버헤럴드경제 [경제] 신문에 게재되었으며 23면의 2단기사입니다.23면2단2014.04.14 오전 11:09
"김갑래 자본시장연구원 기업정책실장은 “모기업이 비상장 자회사에 일감을 몰아줘서 생긴 이익을 (총수 일가가) 챙겼다면 이는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사안”이라며 “제도적 견제장치를 마련해 지배구조 투명성을 높여야 한다”고 말했다."


재벌 일가들이 개인기업에 가까운 비상장 자회사를 통해 상장기업의 이익을 빼돌리고, 고배당으로 제 배를 채우는데 비해 소액주주, 기관, 연기금이 투자한 상장기업들은 투자기회도, 이익도 빼앗기고 배당도 제대로 받지 못하는 현실을 비판하고 있다.

상장기업들이 이익을 빼돌리기 어려우면, 투자를 하든지, 배당을 하든지 할 것이고, 하다 못해 그냥 쌓아 두더라도 빼돌리는 것보다 소액 주주에게 돌아올 확율이 높아진다. 배당이 자본의 선순환에 기여한다는 인식의 전환이 발생한 것이 아니더라도 주주의 권리에 대한 보호가 강화될 수 있는 여건이 생기고 있는 셈이다.

최소한 과거 언론들이 기업의 배당을 먹튀라고 무조건 비난하던 것에서는 한걸음 발전한 셈이다.




roads kill


동물 얘기가 아니고 사람 얘기다.

2008년 기준으로 한국의 보행중 교통사고 사망자 비율이 36.4%로 oecd평균의 2배이다.
한국이 평균을 왕창 높이고 있어서 다른 선진국과 비교하면 3배에 가깝다.

최신 자료를 찾다보니 who에 아래와 같은 사이트가 있다.
관련된 2010 통계를 그림과 표로 정리해놨다.

http://www.who.int/gho/road_safety/mortality/en/

2010년에는 보행 사망자 비율이 37.8%로 증가했다.
줄어도 시원치 않을 판에 한국에서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는 것이냐.


http://roadskillmap.com/



여기는 교통사고 사망자수 전체를 비교해놨고, 필요하면 보행중 사망자 비율을 확인할 수 있다. 관련한 기사, 보고서들이 많다. 저개발국에서 교통사고 사망자를 낮추기 위한 캠페인의 일환으로 보인다.


한국의 교통사고 사망자수는 10만명당 14.1명이다.

미국은 11.4명.

이탈리아 7.2명.
캐나다 6.8명.
프랑스 6.4명.
호주 6.1명.
스페인 5.4명.
일본은 5.2명.
싱가폴 5.1명
독일 4.7명.
영국 3.7명.
스웨덴 3명.


터키 12명.
그리스 12.2명.
포르투갈 11.8명.


중국 20.5명.
러시아 18.6명.
브라질 22.5명.
인디아 18.9명.
인도네시아 17.7명.
베트남 24.7명.



수긍할만한 숫자들이다.
선진국과 아닌 나라의 구분이 명확하다.
유럽의 변방국들은 무늬만 선진국이었다는 것도 확인된다.
미국은 항상 복잡하다.

베트남처럼 급격히 발전하는 나라에 차가 늘어나면 사망자가 증가한다.
아예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북한은 10만명당 10.7명으로 낮다.

한국이 선진국보다 못하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니지만, 터키, 그리스보다 못할 것은 예상치 못했다. 성인남자의 평균수명이 가장 짧은 나라에 속하는 러시아와도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

선진국대비 교통사고로 죽을 확율 3배, 길가다 차에 치어죽을 확율 6-7배.
많이 좋아졌다는데, 아직도 그렇다.



wooden bucket model





picture source:
http://en.wikipedia.org/wiki/File:Minimum-Tonne.svg


동물의 영양소, 식물의 비료가 균형이 맞지 않으면 부족한 성분이 성장을 제한하고, 질병을 초래할 수 있다. 경제에서도 자본, 노동, 기술 등의 요소들 중에서 부족한 것이 전체의 성장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다.
나무쪽 하나가 부러져서 샌다면, 그것만 바꿔주면 물 높이가 유지된다.
wooden bucket theory/model 나무 물통 이론/모델

단순하지만, 바로 그 이유로 시스템, 균형, 평형, 정상상태가 중요한 동네에서는 역사에 한번씩 등장한다.

지금 한국에 그런 문제가 생긴 것일까?
나무쪼가리 하나 두개를 바꾸면 해결되는 상황일까?




picture source:
https://www.flickr.com/photos/lynkelwoohoo/7789370944/sizes/o/in/photostream/


찾아보니 빌려 써도 되는 사진이 있다.
오래되고 썩어서 여기를 뜯어 바꾸면 저기서 새고, 저기를 바꾸면 다시 여기서 새는 것이라면 ?
그런데 통을 바꿀 수도 없다면?


김순덕씨 기사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4/blog-post_22.html




김순덕씨 기사


http://sunday.joins.com/article/view.asp?aid=33808

“내 자식도 피해본다고 생각하면 사회 안전해질 텐데 …”
[세월호 침몰] 씨랜드 참사 때 아들 잃고 한국 떠난 김순덕씨


-도대체 한국에서는 왜 이런 사고가 반복된다고 생각하나.
 “여기에 와서 한국 국민은 교육을 잘못 받았고, 지금도 잘못 하고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됐다. 이곳에서는 개인보다 타인이나 공동체를 먼저 생각하도록 교육받는다. 학교에서도 친구들과의 그룹 과제를 부여하고, 그런 것들을 잘하는 것을 높이 평가한다. 그런데 한국은 나만 잘하면 된다는 식으로 교육받는다. 그렇다 보니 나만 피해 보지 않으면 괜찮다는 분위기가 생겨난다. 내 자식, 내 가족만 잘살겠다고 한다. 공동체 의식이 무너지지 않을 수 없다.”
-모두가 문제라는 얘기처럼 들린다.
 “불행한 대형 사고가 반복되지 않으려면 모두가 변해야 한다. 내 식구, 내 자식이 피해를 볼 수 있다는 생각으로 모두가 안전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정말 각자가 최선을 다해야 한다.”



지금까지 본 세월호 사고 관련 기사 중에서 가장 공감되는 글이다. 이웃분 덕분에 보게 되었다.
통으로 퍼오고 싶지만, 일부만 인용하니 가서 전문을 보길 권한다.
만약 저런 얘기를 보통 사람이 하면 물타기한다고, 책임자에게 면죄부를 준다고 비난받기 쉽다. 

집 문 밖을 나서면 바로 보이는 것이 계단에서 비상구를 막고 있는 자전거이다.
단지 밖으로 나가는 횡단보도에서는 건너는 중간에도 차 때문에 좌우 몇 번씩을 돌아보고 서야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뒤로 물러서야 한다.
일단 정지 하는 차가 거의 없고, 일단 위협하는 차는 많다.
마트에서 애들이 뛰어다녀도 말리는 부모, 점원이 없고 카트에 아무렇지도 않게 애들을 태우고 돌아다니면서도 애가 떨어지면 무슨 일이 생길지 걱정하는 부모도 없다.
이런 일이 부지기수이고, 블로그에 답답함을 토로한 것이 여러번이다.

안전의 문제는 공동체의 문제이고 시민정신의 문제이다.
그러니 일부가 비정상인 것이 문제가 아니고 전체가 비정상인 것이 문제이다.
비정상이 일상화되어 정상, 비정상이 구분되지 않는 것이 문제이다.

전부 다 남탓을 하고 있을 때 김순덕씨는 내 탓을 하고 있다.
한국에 김순덕씨 같은 사람이 소수가 아닐 때 바뀔 것이다.
그 전에는 바뀌지 않을 것이다.
몇명을 감옥에 보내고, 법을 바꾸고, 조직표를 새로 그린다고 해도 바뀌지 않을 것이다.

사회를 바꾸고 싶으면 교육이 바뀌어야 한다. 그래야 오래 간다.
가장 좋은 교육은 솔선수범이다.
내가 닮고 싶은 부모가 되는 것.
내가 닮고 싶은 어른이 되는 것.
내가 닮고 싶은 뭔가가 되는 것.





91년 여름

대피에 대한 기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