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 26일 금요일

LGE 2Q13 - all about ASP


lg전자가 달기도, 쓰기도 한 실적을 발표했다.
판매단가를 방어하는 것이 이익율 유지에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증거라고 할 수 있다.




위의 실적은 lg이노텍의 실적을 제외한 것이다.
매출이 2012년에 저점을 확인했다.
휴대폰 사업부(MC)의 매출의 저점과 일치하지만, 성장하고 있다고 할 수는 없고 턴어라운드했다고 볼 수는 있다.
미약하나마 성장하고 있는 것은 에어컨사업부(AE)뿐이다.
매출의 계절성이 그대로 유지되고 있어서, 3분기 매출이 감소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은 휴대폰 부문의 매출이 늘어나는 것 뿐인데 신제품에 기대할 수 있을지 알 수 없다.



에어컨의 이익은 과거 고점 수준이다.
그러나 가전(HA), TV(HE), 휴대폰은 한참 못 미친다.
그나마 고무적인 것은 지난 1년 동안 부진한 실적을 보였던 TV가 회복 가능성을 보였다는 것이다. 프리미엄 tv시장의 가격경쟁이 끝나가고 있는 것일 수도 있다.
그러나 tv에서 과거와 같은 높은 이익을 내려면 넘어야할 산이 많아서 어려울 것으로 본다.

영업이익은 2분기에 고점을 보인다.
휴대폰의 실적이 급증하지 않으면 감소할 것이다.




에어컨의 이익율이 과거 고점 수준으로 돌아왔다.
tv와 가전은 과거 평균 수준이다.

휴대폰의 이익율은 전분기 대비 하락했으나 2010년부터 시작된 턴어라운드를 유지하고 있다.
3년 동안 회복해서 2%에 불과한 이익율이 보잘 것 없다고 볼 수 있으나, 같은 기간 노키아, 모토롤라, htc 등이 거의 망한 것을 고려하면 놀라운 성과이다.

한국경제에는 매우 큰 기여를 하고 있으나 삼성전자의 성과에 가려서 전혀 인정받지 못하고 있고, 기업에 대한 평가에서는 할인요인으로 작용한다.

투자대상으로서 lg전자의 휴대폰은 계륵이다.



휴대폰과 기타로 구분한 것이다.
살아있다.
그러나 완전히 돌아온 것은 아니다.


두 개의 회사였다면 계절성을 고려해도 가전부문은 안정적인 실적을 유지한다는 이유로 적당한 평가를 받았을 것이다.




휴대폰만 따로 들여다 본 것이다.
휴대폰 부문의 이익율은 스마트폰의 비중, 단가와 높은 관련성을 보여왔다.

전체 판매단가는 18만원 수준에서 증가하지 않는다.
단가하락으로 이익율뿐 아니라 매출이 감소하는 상황까지 왔다.
만약 단가가 추가적으로 감소한다면 스마트폰의 판매대수가 증가해서 점유율이 상승하고 넘버 3가 되어도 소용없다.

많이 팔아도 소용없고 단가를 방어해야 한다.
방어하지 못하면 이번에는 lg도 장담할 수 없다.




단가와 영업이익율이다.
현재 2%의 영업이익율을 보인다.
16만원까지 단가가 하락하면 이익이 나지 않는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의 수준이 애플, 삼성에 근접해도 브랜드가치가 없으면 중국산 싸구려들과 경쟁해야 한다.

서양사람들 중에는 삼성이 광고로 갤럭시를 현재의 위치로 끌어올렸다는 소리를 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lg를 보면 그것만으로 불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국 스마트폰 시장이 중저가중심으로 변해도 하다못해 htc one처럼 세계시장의 호평을 받는 상품을 내놓아야 기회가 온다. g2의 선전을 기다릴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