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4월 13일 목요일

supply shock, egg cycle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4/supply-shock-war-korea.html

2011년에 태국의 홍수로 인해 발생한 공급 충격의 예를 확인하고, 북폭과 이어지는 전쟁이후 어떤 일이 발생할지를 상상해봤다.



작년 조류독감으로 인해 산란계의 30%가 넘는 2400여만 마리가 한국에서 살처분된 후 벌어지고 있는 상황도 확인해보자.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1/chicken-cycle-egg-cycle.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1/blog-post_23.html
도소매 계란 가격 변화




바닥에서 80% 올랐던 계란 가격은 가격조정을 마치고 기간조정을 벗어나 다시 우상향하려는 조짐을 보이고 있다.

정부의 계란 수입은 약 한달 동안 급격한 계란 가격의 하락을 가져왔으나, 북미에서도 조류독감이 발생하면서 인위적인 계란, 산란계의 수급 조절 효과는 3월을 끝으로 사라졌다.

산란계가 증가하기 전까지 가격은 기왕에 확인한 단기바닥 아래로 내려오기 어렵다고 본다.
물론 이전의 고점을 넘길지는 현재로서는 알 수 없다.

30%의 공급감소가 약80-90%의 가격 상승을 hdd에서도 계란에서도 가져왔다.
우연일까? 아닐까?



농가 통계는 16년 4분기까지이고 계란 소비자가격은 17년 1분기까지이다.
살처분에 의한 산란계 숫자의 감소는 아직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분기평균으로 약 50% 이상의 계란 소비자 가격 상승이 나타난 것을 장기추이와 비교해볼 수 있다.

산란계 입식이 화살표처럼 진행된다고 가정하면 계란가격은 점차 하락해서 장기 우상향 추이수준 (약 110-120)으로 회귀할 것이다.



공급 충격은 비슷하지만, hdd의 가격은 장기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이고, 계란 가격은 장기적으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기 때문에 공급 충격의 효과는 크기와 지속기간에서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여기에 한국 정부의 정책적인 개입과 가격통제가 계란 가격의 변동에 인위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이렇게 둘 사이에 공통점도 있고, 차이점도 있지만 공급 충격의 효과는 누구나 알수 있을 정도로 명확하다.
공급 충격의 가능성을 가늠할 수 있다면 그것을 예상하는 시장의 움직임도 누구나 알 수 있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