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11월 15일 금요일

nikkei vs dow - supercycle or superspike





지금은 다우 지수와 니케이 지수의 차이가 적다.
2000년 경부터는 앞서거니 뒤서거니 한 셈이다.
그러나 일본이 장기 침체에 빠진 90년경부터 비교하면 하늘과 땅 차이가 난다.

금융위기 이후 몇 년 간 차이가 벌어지고 있었지만, 니케이가 아베의 힘을 빌어 몇 개월 만에 급히 추격을 했다.

지속가능성.
여기 저기서 많이 듣는 말이니, 중요할 것이다.

누가 어느 쪽으로 지속가능할까?
20년이상의 하락 추세가 뒤집어질까?
100년이상의 상승 추세가 유지될까?



최근에만 만난 것이 아니라 1950년대에도 니케이와 다우는 만난 적이 있다.
이 당시에 템플턴이 일본으로 갈아탔다고 하는데 언제 나왔든 탁월한 선택이다.
토쿄 올림픽이 64년이다.

로그를 취하면 60년짜리 발산과 수렴이 완성된 것을 한 눈에 볼 수 있다.




이것은 니케이/다우 비율이다.
니케이는 다우에 비해 자그마치 15배에 육박하는 수익율을 보이고 60년만에 제자리로 돌아왔다.

아마 역사상 비교할 대상이 없는 사상 최대의 거품 중 하나였을 것이다.
it버블, 미국 부동산버블이 이보다 클 것 같지는 않다. 확인 필요.

싸이클같지만, 너무 커서 자신이 없으면 슈퍼 싸이클, 빅 싸이클이라는 표현을 쓴다.
니케이정도면 그런 표현이 어울린다.

그런데 이 싸이클이 다시 돌아오지 않으면 한 때 사용되던 슈퍼스파이크라는 말도 붙일 수 있다. 또 피크 오일, 피크 스마트폰 처럼 피크 저팬이라고 영원히 끝났다는 느낌을 강하게 줄수도 있다.

일본이 아르헨티나의 길을 갈 것같지도 않다.
일본이 다시 넘버원이 될리도 없다.
그래서 앞으로 백년간 영국같은 정도의 위치는 유지할까?

20년이 넘게 지났어도 일본에서 벌어진 일이 무엇인지 모르겠다.
뭔지 모르지만, 일단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us treasury - 수백 년만의 저점?


미국 단기금리가 상승하고 있다.
셧다운으로 인한 영향은 사라졌다고 보면, 2012년 초반의 상승과 비슷하다.

장기금리의 하락은 이미 끝났을 가능성이 있다.
1년물의 하락이 끝난 것이라면 단기금리의 하락도 끝났다고 봐야 한다.
옐렌님 덕분에 저금리가 오래 오래 갈 것으로 기대하는 주식시장과는 조금 다르다.

언제든 1년금리가 1%대로 회복된다면 그것은 매우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금리하락기였던 94년, 2004년 뿐 아니라 금리상승기였던 1950년대에도 1년금리의 상승은 초스피드로 진행되었다.

그게 언제일까?
그럼 무슨 일이 생길까?

요즘은 QE가 영원히 지속될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들도 있는 모양이다.
그럼 저 그림들은 영원히 쓸모가 없어질까?
옐렌님한테 달려 있을까?
옐렌님도 못 막을까?
















Tapering 2.0


현 연준의장이나 차기 의장이나 미국 경제가 못 미덥기는 마찬가지인 모양이다.

처음에는 기준금리를 결정하기 위해 테일러 규칙에서 시작했었다.
그러나 90년대 후반 이후 미국 금리는 GDP, 잠재GDP, 물가상승율, 물가상승율목표치 같은 것들을 전부 빼고, 실업율만 가지고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그러면 다른 지표들을 고려할 이유가 없다. 물론 90년대 중반 이전에는 중요한 요소였다.



실업율 기준을 6.5%로 놓고 나머지 숫자를 맞춘 것이다.
그러면 내년 중순 이후 정도에 금리가 상승해야 한다.
당연히 그 전에 양적완화는 종료해야 한다.

만약 실업율, 물가 등의 기준이 다르다면 위의 식도 바꿔야 한다.
그러나 그들이 토했던 기준이 6.5% 실업율, 2% 물가상승율이다.
이것이 version 1.0 이라고 할 수 있다.




나머지 변수를 그대로 두고 실업율 기준을 5.5%로 낮춘다.
1년까지는 아니지만, 6개월 이상은 벌 수 있다.
그러면 그때까지 테이퍼링을 완료해야 한다.

이렇게 그냥 평행이동시킬 수도 있지만, 처음부터 다시 물가나 GDP 갭 등의 지표들을 넣고 다시 시뮬레이션을 해보면, 시간을 더 벌 수 있을지도 모른다.

만약 연준이 내년 정도에 경제 회복을 믿고, 시장과의 약속을 지킬 수 있다는 판단을 하게 되면, 더 미루지 않고 2015년 초에 금리 상승을 시작할 수 있다.
길게 봐서 약 1년은 의심의 벽이 아주 높고 탄탄하게 펼쳐져 있지 않을까 한다.

이것이 version 2.0이다.









euro reunion





순서대로 독일,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유로권의 10년물 금리를 나타낸다.

유로통합이 진행되면서 5% 이상 벌어져있던, 독일, 프랑스와 스페인, 이탈리아의 금리가 거의 같아졌다. PIIGS 국가들은 실력에 비해 싼 이자로 많이 빌려서, 많이 투자하고, 많이 썼지만 위기가 오기전에 빚을 갚지는 못했다.

유로가 유지될 수 없다면, 금리는 원래대로 돌아가는 것이 정상이다.
90년대처럼 벌어져가던 금리가 빚잔치를 하고, 구제금융을 받고, 허리띠를 졸라매는 과정을 거치면서 다시 가까와지고 있다.

금리가 얼마나 가까와질까?
유로의 생존이 더 이상 의심받지 않을까?



확대해 보자.
아직은 너무 멀어서 합쳐지기는 어렵다.
스페인, 이탈리아의 금리가 내려올 수 있을까?
아직 이 나라들의 신용은 한국보다 훨씬 낮다.
그러니 내려오기 어렵다.
실제 4%에 걸려서 어려워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면 독일, 프랑스의 금리가 올라가야 한다.
기준금리를 낮추는 상황에서 쉽게 올라가기 어렵다.
그럼 어떻게 올라가나?
부실 국가들의 경제가  회복할 시간이 필요하다.
적어도 2년 혹은 그 이상은 걸릴 것이다.




독일과 스페인, 이탈리아의 금리차를 표시했다.
각각 5% 이상씩 벌어진 적이 있다.
차이가 벌어질 때마다 유로는 약세를 보였다.
처음에는 전세계가 다음에는 그리스, 포르투갈이 문제였고, 세번째 급락이 이 두나라의 몫이지만 강도만 차이가 있을뿐 관계에는 변함이 없다.


그래서 유럽 경기가 개선되면 유로 강세가 발생할까?
배제할 수 없으나, 가능성은 경기부양을 위한 저금리, 양적완화 등으로 1.2 유로를 뚫고 내려가는 상황이 발생하는 것이 먼저일 수도 있다. 독일 말고는 전부 그것을 원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2007년까지 유로당 1달러에서 1.5달러까지 강세가 진행하면서 유로국들의 금리가 같아졌다.
이번에는 이번에는 반대로 진행하면서 유로국들의 금리가 재결합하는 일이 벌어지지는 않을까?

어려운 가능성이지만, 미국이 도와주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유럽에 필요한 시간을 미국이 벌어 줄까?
옐렌이 제 코가 석자라고 생각하지는 않을까?
모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