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3월 21일 토요일

말레이시아 금융불안


석유수출국
정경유착
통화약세
단기외채증가
외환보유액감소
경상수지악화
외국인 채권자금 이탈

마치 러시아, 브라질에 대한 얘기같지만 말레이시아에 대한 것이다.




http://stooq.com/q/?s=usdmyr&d=20150320&c=1y&t=l&a=lg&r=usdsgd+usdidr+usdthb+usdphp

환율만 보면 싱가폴도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와 크게 다르지 않다.


Historical Data Chart
http://www.tradingeconomics.com/malaysia/current-account


Historical Data Chart

http://www.tradingeconomics.com/malaysia/foreign-exchange-reserves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9/goldman-and-1mdb.html

global 호구 list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9/global-list.html

동부화재 2200억원
LIG손보 1000억원
메리츠화재 550억원
현대해상 330억원
교보생명 500억원
KIC가 지난 4월 800억원
하나생명
KDB 생명
교원공제회 5000만달러
사학연금 5000만달러
증권사 중에서는 유일하게 KDB대우증권 5000만달러


1mdb 채권으로 문제가 될 때부터 위험을 노출하고 있던 셈이다.
위의 목록은 2년 전 것이다.
KIC는 약간의 이익을 보고 전부 정리했다는 기사가 있었다.
말레이시아도 필요하면 해외자본을 직접 통제한 전력이 있는 나라이다.
당장 한국이 영향을 받을리는 없겠지만, 1mdb채권을 아직도 들고 있는 금융회사라면 조심할 필요가 있을 듯.



국내 10억弗 부실판매 논란 1MDB, 채무상환위기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4962


1MDB 사태에 말레이 경제우려 심화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8438
"호주 타시마니아대학교의 제임스 친 아시아 연구소 이사는 "1MDB 사태를 통해 말레이시아 기업들의 운영행태를 엿볼 수 있다"며 "기업들이 투명성과 관련한 모든 규정과 법을 따르다가도 정치권과 결탁하면 법을 무시한다"고 지적했다."


말레이 1MDB, '문제' 채무 6천억원 상환<WSJ>
http://news.einfomax.co.kr/news/articleView.html?idxno=139561


말레이시아 금융불안 주의보, 국내 금융시장 영향 가능성…국제금융센터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50319001096&md=20150319175500_BL


말레이시아 금융불안 조짐 및 시사점
http://www.kcif.or.kr/front/board/boardView.do#
"- 단기외채 증가와 외환보유액 감소(’14.9월 $1,273억→2월 $1,105억)로 외환보유액 대비 단기외채비율은 ’09년 3월 50%→’12년말 66%→’14년말 89%로 급등"


말레이시아 금융시장 불안 배경과 전망
http://www.kcif.or.kr/front/board/boardView.do?intSection1=3&intSection2=7&intReportID=39255


말레이시아 2014년 GDP 6.0% 성장률 달성
http://www.globalwindow.org/gw/overmarket/GWOMAL020M.html?BBS_ID=10&MENU_CD=M10103&UPPER_MENU_CD=M10102&MENU_STEP=3&ARTICLE_ID=5026310&ARTICLE_SE=20302


자국 산업 보호 의견이 확산되고 있는 말레이시아 석유 및 가스산업
http://www.globalwindow.org/gw/overinvest/GWOIFS020M.html?BBS_ID=17&MENU_CD=M10302&UPPER_MENU_CD=M10301&MENU_STEP=2&ARTICLE_ID=5026001



extended term spread







한국에서 장단기금리차와 주가지수전년동월비가 가장 쉬운 경기선행지수의 역할을 하는 것은 미국에서도 다르지 않다.
그런데 미국의 금리차도 50년대 초반 이전의 값을 알지 못하고 있었다. 대공황시절까지만이라도 연장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었는데 아래 싸이트 덕분에 34년부터는 알 수 있게 되었다.

http://bonddad.blogspot.kr/2015/03/no-yield-curve-is-not-forecasting.html



10년물 수익률(gs10)와 유사한 추이를 보이는 장기국채금리와 3개월 국채 수익률(gs3m)과 비슷한 추이를 보이는 2차 시장 금리(tb3ms)



둘의 차이는 파란색. 대응되는 최근의 금리차는 빨간색.

50년대 이전에는 침체기에 금리차가 50년대 이후처럼 규칙적으로 (혹은 주기적으로) 좁혀지거나 역전되지 않는다.
그래서 위 블로그의 글에서 금리차가 경기 전망을 보여주지 않는다고 단언한다.
정말 그러한지는 다른 문제이지만, 일단 매우 중요한 자료를 얻었으니 고마운 일이다.



만약 단기금리가 어떤 이유로든 10년이상 0%대에서 움직인다면?
별로 던지고 싶지 않은 질문이지만, 과거를 확인했으니 해 볼 필요를 느낀다.


http://richmondfed.org/publications/research/economic_quarterly/1998/summer/pdf/dotsey.pdf

https://research.stlouisfed.org/publications/review/09/09/part1/Wheelock.pdf

위 논문들에 이용된 미국과 기타 국가의 데이터들도 전부 50년대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