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 8월 16일 수요일

순환, 주기설, 사이비


Line graph showing historical sunspot number count, Maunder and Dalton minima, and the Modern Maximum
https://en.wikipedia.org/wiki/Solar_cycle



핼리혜성 76년
금리 싸이클 60-70년


실질금리 싸이클 30-35년
원자재, 조선, 해운 싸이클 30-35년

한 세대 30-35년


매미 싸이클 5, 7, 13, 17년
흑점 싸이클 11년
소 싸이클 12-13년


반도체 싸이클 4년
돼지 싸이클 4년
닭 싸이클 4.5년


지구의 공전 1년
사계절 1년


달의 공전 한달
달의 자전 한달
생리 한달



자연현상이나 경제현상에 주기성을 보이는 것들이 있다.
또 주기성을 보이지 않는 것들도 있다.
또 주기성을 보이다 안 보이다 하는 것들도 있다.
주기가 외부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고, 시스템의 특성에 의해 내인성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경험적으로 주기가 관찰되어도, 그것을 이론적으로 다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래도 자연현상의 주기성에 대해서는 찾아보면 많은 부분이 이해되어 있다.
그러나 많은 경제현상의 주기성에 대해서는 그렇지 않다.
주기가 존재하는지, 적당한 이론적 설명이 가능한지도 확실하지 않다.
그런 조건에서 비슷한 주기를 보이는 것을 적당히 짝지으면 어떤 것이 다른 것의 원인인 것처럼 설명할 수 있다.
그래서 그런지 순환론자들 중에는 유난히 사이비가 많다.
많은 사이비가 순환론과 주기설을 수정구슬처럼 쓰다보니 순환론, 주기설을 무조건 배척하는 경우도 많다.

이 블로그에서 경기순환(장단기금리차 순환)과 금리, 실질금리 순환에 대해서 많이 언급하지만, 경기순환은 전세계의 많은 정부, 중앙은행에서 추적하고 있기 때문에 사이비의 의심을 받을 여지가 적다.
다만 경기순환이라고 말하면서도 그것의 주기가 몇년으로 정해진 것이라고 명시적으로 얘기하는 경우가 없다.
그래서 주기가 몇년인지 딱 떨어지게 얘기할 수 없으면 경기순환이 존재하지 않는 것인가?
그것은 아니다.


그럼 부동산 17년 주기설은 어떤가?
아무도 17년이 무슨 의미인지 모른다.
17년이 한 세대의 반인지, 금리순환의 반인지, 경기순환의 2배인지, 돼지나 닭의 4배인지 모른다.
무엇보다 17년이라고 콕 찍어서 얘기할 수 있을 만큼 오랫동안, 혹은 많은 나라에서 나타나는 주기인지 명확하지 않다.

그냥 미국 부동산에도 주기가 존재한다는 정도로 충분하다.
20년, 17년, 14년.
별로 중요하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매미 순환 17년과 지난 3개의 고점에 보인 순환주기가 일치한다.
어쩔 것인가?
매미가 미국 부동산의 가격순환을 결정하나? 반대인가?

한국 부동산의 저점은 imf와 금융위기가 만들었다.
외부 변수가 전적으로 만들어낸 변동이라면 한국부동산의 주기성을 논하는 것은 넌센스다.
지구의 생명체가 지구에서 발생한 것이 아니고, 운석을 타고 저기 은하계에서 왔다면, 지구가 아니라 은하계의 초기조건연구를 해야 한다.

순환하는 것에는 주기가 있지만, 주기마다 딱딱 떨어지는 경우는 경제현상에 그리 많지 않다.
그렇다고 보이는 순환을 무시할 이유도 없다.
공인된 경기싸이클과 인구구조의 변화(붐, 에코붐)같은 것으로 그럭저럭 이해가능한 경우 더욱 그러하다.



요약
보이는 현상을 안 보인다고 할 필요도 없고, 반대로 이상한 틀에 끼워맞출 필요도 없다.



미국주택가격의 주기성. 14년 또는 17년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8/14-17.html

반도체 슈퍼싸이클 - 성장과 순환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8/blog-post_16.html






반도체 슈퍼싸이클 - 성장과 순환


추세 - 상향, 하향, 횡보 등의 방향.
성장 - 우상향 추세. 대체로 s자. 성장의 끝은 고원이나 쇄락.
순환 - 고점, 저점의 주기적인 반복. 상승기는 성장기와 구분하기 어려울 수도.
슈퍼싸이클 - 진폭과 주기의 확대. 이후에는 원래 수준으로 복귀.
슈퍼스파이크 - 원타임 히트. 수십년 이내에는 슈퍼싸이클과 구분 불가능할 수도 .

위는 그냥 상식적으로 쓴 것이다.

아래는 한국 반도체의 수출자료이다.
그래서 반도체는 어느 국면인가?
우상향추세에 있고, 성장기이고, 순환한다면 고점권일 수도 있다.
그러나 95년까지 발생했던 슈퍼싸이클이 다시 발생하고 있다면 아직 성장 초기일 수 있다.
슈퍼스파이크는 가격이 몇배로 급등한 후 반도체의 수요가 영원히 감소하는 상황에서나 생각해볼 수 있으니 신경쓸 필요없다.


1
12개월 합계를 표시한 것이다.
금융위기 이후와 비슷하다.
그렇다면 꼭지라고 생각할 수 있다.

 2
전년동월비를 보면 추세가 사라진다. (왜?)
그러면 순환을 볼 수 있다.
그래서 반도체의 수출이 순환하나?

판단하기 어렵다.
그러나 3개의 큰 저점( 01년, 09년, 16년)이 7년의 간격으로 나타난다.
이것이 미국의 침체기(혹은 최근의 제조업 침체기)와 일치하기 때문에 이전 저점은 90년 전후였을 것이다.


3
메모리반도체의 순환을 판단하는 것은 아주 쉽다.
저점이든 고점이든 3-4년 주기로 반복되고 있다.

메모리의 슈퍼싸이클이 정말 나타날까?
이번엔 다를까?

이 질문에 답할 때 봐야하는 그림은 3번이 아니고 1번이다.
아니면 아래 그림이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4/3.html



92-95년 사이에 벌어진 일. 그게 슈퍼싸이클이다.
꼭지를 잡으면 회복하는데 3-4년이 아니고 20년이 걸린다.



정신 똑바로 차리자.
이게 한국의 몇년짜리 미래를 결정한다.



수출, 반도체, 한국, 대만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6/blog-post_27.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6/tech-pulse.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6/taiwan-taiex-vs-korea-kospi.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5/kospi-vs-market-cap-vs-export.html


세계 주택가격의 주기성. 14년 또는 17년

정정 2

직접 확인해 본 결과 아래 그림에는 오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래서 다시 그렸고, 언급한 주기성은 틀렸다.

세계, 미국 주택가격 순환 - 처음부터 다시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8/blog-post_17.html




정정

아래 그림은 미국이 아니라 세계 실질 주택가격이었다.
그래서 제목과 본문의 미국을 세계로 전부 바꾼다.


--------------------

History of Real Price - house, land, oil, gold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11/history-of-real-price-house-land-oil.html

http://www.voxeu.org/article/home-prices-1870
https://dl.dropboxusercontent.com/u/75787447/CEPR_DP10166.pdf

14년에 발표된 훌륭한 논문이 있었다.
이것이 리비전을 했는지 다른 잡지에 다시 발표된 모양이다.


그런데 그 논문에서 제공하는 자료를 가지고, 세계 실질 주택가격의 장기 추이에서 추세를 제거한 순환변동치를 확인해보니 주기가 발견되지 않는다고 한다.

부동산시장 20년 주기설은 사실일까?
http://blog.naver.com/hong8706/221074862978

그런데 내 눈에는 명백하게 주기가 보인다.
그래서 그림에 가공을 해봤다. (주인장 허락은 받지 않았지만 봐주실 것으로 믿는다)



첫 눈에 보인 것은 73년이후 가격의 꼭지가 규칙적이라는 것이다.
확인해보면 17년 주기를 보인다.
이전보다 진폭과 주기가 커졌다.

진폭과 주기가 동시가 커졌다는 것은 시장의 다이나믹이 변했다는 것이다.
왜냐고 묻는다면 정부와 연준의 개입으로 경기순환주기자체가 길어진 것과 같은 이유일 것같다는 정도.


그런데 주기를 조금 짧게 하고 불규칙성을 인정하면 더 긴 시간동안 주기성이 유지되었다고 볼 수 있다.



꼭지를 표시한 것인데, 1930년대부터 약 14년의 주기를 보인다고 할 수 있다.
역시 73년 이후 꼭지의 위치가 앞당겨진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꼭지의 위치가 아니라 저점을 보면 주기의 중간 위치에 그럴 듯하게 위치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주기의 저점을 표시해보면 역시 딱딱 맞지는 않고 차이가 존재한다.
그러나 주기의 중앙에 딱 하나씩 꼭지가 자리잡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지표 간의 관련성을 보기위해 상관계수를 확인하지만, 또한 cross-correlation을 확인할 수 있다.

지표 내부의 관련성 혹은 순환성이 존재하는 확인하기 위해 추세를 제거할 수 있지만, 그것만으로 명확하지 않으면 auto-correlation을 확인할 수 있다.
주기성이 존재하는 경우 해당 주기에 뾰죽하게 peak가 보인다.
위의 자료에서 1930년대 이후의 자료를 가지고 auto-correlation을 확인하면 14년-17년 사이에 높은 봉우리가 나타날 것이다.

그것이 세계 실질주택가격의 주기이다.

17년 주기라면 24년에, 14년 주기라면 21년에 세계 주택시장의 꼭지가 나타날 것이다.
73년 이후 주기와 진폭이 커졌다는 것을 고려하면 24년의 확률이 높다.
2-3년의 오차를 고려해도 20년 이후이다.


결론
세계 주택가격에는 14-17년의 주기가 존재한다.
다음 꼭지는 2021-2024년일 가능성이 높다.


------------------------
이어서


주택가격의 주기성 - 미국 14년, 일본 10년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8/14-1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