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2월 9일 토요일

Unit labor cost vs disposable income


채훈아빠님의 글에서 단위노동비용과 GDP 디플레이터를 보는데, 추이가 매우 비슷해보인다.


두 개를 겹쳐보니 매우 잘 일치한다.
다만 단위 노동 비용의 변동성이 훨씬 더 크고 평균적으로 GDP deflator보다 적은 값을 유지한다.



소비자물가지수, PCE deflator와도 같이 겹쳐보았다.
여전히 큰 차이는 없다.
다만 생산자 물가는 변동성이 다른 물가보다 매우 커서 제외했다.

단위 노동 비용은 본질적으로 기업의 여러가지 비용 중 하나이다.
그 중에서 노동력에 대한 비용을 표시한 것인데, 임금이 물가와 잘 연동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것이다.
그러니 단위노동비용과 물가지수들이 일치해도 상식적으로 이상할 것은 없다.

그렇지만 두가지 의문점이 생긴다.
왜 시차가 없는가?
왜 단위노동비용증가율이 체계적으로 물가보다 낮은가?




비교를 위해 우선 명목 가처분 소득을 겹쳐 보았다.
80년 이후 일반적으로 단위노동비용<GDP디플레이터<소비자물가<소득증가율 순이다.
기업의 노동비용증가율은 물가보다 적고, 노동자의 소득 증가율은 물가보다 높다.

그런데 단위노동비용과 소득증가율의 차이는 60년 동안 일정한 수준(3-5%)을 유지한다.

노동시간증가?
노동인구증가?
생산성?
보조금?

단위시간당 명목 임금 증가율을 사용하면 일부 변수를 배제할 수는 있을 것이다.
그러나 어느 한가지가 다 설명할 수는 없다.
마치 저 차이를 유지하는 메카니즘이 존재하는 것처럼 일정하다.
좀 신기한 일이다.






커플링 vs 디커플링 - 미국 지수와의 비교


http://runmoneyrun.blogspot.kr/2013/02/blog-post.html

한국 지수의 디커플링이 삼성전자의 미래에 대한 불신때문이라고 본다.
또한 삼성전자보다 실적과 전망이 나쁜 한국의 다른 재벌기업들과 미국의 스마트폰 관련 회사들도 직접 영향을 주고 있을 것이다.
환율까지 포함해서 나머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최근 들어, 특히 1월 이후에 다른 나라 지수의 디커플링이 심해졌다.
그런데 아래에 S&P500과 비교해보면 디커플링은 1년반 혹은 8개월 가까이 지속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디커플링이 전년동월비로 보면 미미하다.
오히려 2009년 이후에 두 나라의 지수가 판박이처럼 움직이는 동기화 현상이 이전과 비교할 수 없게 강화되었다.
또한 미국지수조차 전년동월비에서 한국과 비슷하게 하락세를 보인다.
또한 2009년 이후 미국 금리차와 두나라의 주가 지수 간에 관련성이 높았는데 최근 반년간 관련성이 거의 사라졌다.

한국의 지수만 하락하는 현상이 지속 되는 한 이러한 관찰이 위안이 될 수는 없다.
그러나 지금 벌어지고 있는 현상이 디커플링인지, 커플링인지에 대해 판단이 다르다면 설명도, 예측도 달라져야 한다.

그런데 디커플링이 아니라고 보면 미국의 방향이 애매한 것이 눈에 보이고, 한국에 대한 설명이 딱히 필요없다.






경기지수 - 20130209


경기지수, 코스피, 금리, 재고지수를 확인했다.
경기와의 관련성, 서로간의 관련성이 과거 10여년래 가장 적다.



경기선행지수, 동행지수와 전년동월비는 상승 중이지만, 가장 중요한 경기선행지수인 코스피의 전년동월비는 하락 중이다.


ISM PMI와 코스피 간에도 괴리가 존재한다.
최근 몇개월간은 반대방향이라고 할 수 있다.


금리는 장기, 단기를 막론하고 하락 중이다.

금리차에서 보인 2007년까지의 명확한 2년 주기는 2009년까지 유지된 것으로 볼 수 있지만, 금융위기 이후 사라졌다.
최근 1년반 정도 금리차의 역전상태를 유지한다고 볼 수 있다.

12년 하반기에 저점을 확인했고, 최근 단기 조정 중이만 하락하고 있다고 할 수 없다.



실질금리는 역전상태에서 벗어난지 1년이 가깝다.
과거 경기의 저점을 나타내는데 장단기 금리차와 관련성이 보였지만, 이번에는 다르다.
정권 초기 경기 부양책의 하나로 낮은 금리를 오래 유지했던 것이 관련이 있을 것이다.




출하와 재고 전년 동월비와 두개의 차이인 재고순환을 표시했다.

출하는 감소가 멈추고 1년여를 유지하고 있다.
재고는 1년간의 하락이 진행중이다.



재고전년동월비, 재고순환은 역축으로 경기에 선행한다.
지난 1년간에 대해서는 판단하기 어렵지만, 경기와 관련성이 매우 줄었다.

한국은행이 1년전 경기지수를 개정한 후 경기선행지수가 무의미해졌다.
우연히도 지난 1년간 경기선행지수를 구성하는 가장 중요한  3가지 요소에 해당하는 코스피, 금리차, 재고지수가 도무지 판단하기 어려운 상태로 1년을 지나갔다.

다행히 현재 한국의 코스피는 한국의 어느 지표보다 미국 주가지수와의 상관관계가 높다.
그냥 미국 지표를 보다가, 가끔 중국의 지표를 보는 정도로 빈 자리를 채우는 수밖에 없다.






붕어싸만코





영화 티저를 빙자한 광고인지, 광고를 빙자한 영화 티저인지 구분이 안 된다.
암튼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