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 5월 23일 수요일

환골탈태 중인 마이크론 micron 20180523




2분기 마이크론 매출 가이던스가 상향되었다.

1분기에 나타난 삼성전자, 하이닉스와의 매출차이는 전분기대비 4-5%정도 강세를 보인 환율만으로는 설명될 수 없다.
2분기에 환율의 영향은 미미한 수준일 것이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memory-revenue-vs-memory-export-20180401.html


마이크론의 이전 가이던스이다.
1년 이상 가이던스를 상향하는 일이 반복되고 있다.

이번에도 메모리 싸이클 고점이 연장되었다는 것은 확인한 셈이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5/samsung-hynix-memory-export-20180503.html


1분기 메모리 수출에서 예상할 수 있는 매출대비 4% 정도의 괴리가 나타났고, 일부는 삼성전자, 하이닉스의 반도체 재고 증가로 설명할 수 있다.
2분기에 차이가 좁혀질지, 유지될지, 벌어질지는 아직 알 수 없다.

마이크론은 인텔과 함께 업계최초로 64단 QLC nand를 출하했고, 이후에도 협력을 진행할 것으로 보도되었다.
올초에 두 회사의 협력관계를 끝낼 것이라고 ir을 통해 알려진 것과 다른 뉘앙스가 보이는 기사들이 나오고 있다.

마이크론은 기존에 전환사채를 통해 조달한 자금으로 인해 지속적인 주식수 증가, 주당가치 희석을 겪었다.
그러나 최근 10조 이상의 자사주 매입소각을 발표했다.
과잉투자를 피하고 적정한 주주환원를 유지하는 것은 주주들의 기대에 부응하는 조치일 뿐 아니라 메모리 싸이클을 연장시킬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이다.

마이크론은 3-d 낸드에서 하이닉스를 앞섰고, qlc에서는 삼성전자를 앞섰다.
한국의 두 업체가 가속되고 있는 마이크론의 기술적인 진보에 어떤 방식으로 대응할지에 따라 메모리 싸이클이 얼마나 연장될지가 좌우될 것이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vs-semi-export-q-vs-p-20180419.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5/20180503.html


2018년 5월 21일 월요일

interest rate, copper, gold, oil 20180521





copper/gold vs 10-year rate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8/dr-copper-vs-dr-coppergold.html

2000년경부터 구리/금 비율과 미국채 10년 금리 동행.
구리가격이 업데이트되지 않아서 대신 구리선 ppi를 씀.
장기 비교목적으로는 더 좋은 듯.

명목금리 = 실질금리 + 물가(혹은 기대인플레)
copper, oil은 주로 물가와 관련된 원자재.
gold는 화폐대용. 실질금리와 반비례하고, 실질금리는 실질성장을 반영.





copper/gold vs 10-year rate


최근 몇개월간
단기금리가 장기금리보다 빨리 상승해서 장단기금리차 축소.
장기금리가 copper/gold보다 빨리 상승해서 괴리 증가.

금리가 역사적 평균으로 회귀하는 중이라면,  혹은 정상화되는 중이라면 copper가 오르거나 gold가 내려야.
copper가 오르는 것은 인플레로, gold가 내리는 것은 실질성장으로 나타날 수 있음.

최근의 장기금리 상승은 미래의 인플레나 성장이 더 강할 것이라는 것을 반영하는 것일 수도.






copper/gold vs 10-year rate vs 주가지수 yoy

copper/gold와 주가지수는 10년 동안 잘 동행.
최근까지도 특별한 괴리는 보이지 않음.
금리만 상대적으로 오버슈팅.

채권, 주식, copper/gold 사이의 괴리가 좁혀지려면?

1) 금리가 내려가거나
2-1) 금리가 유지되고, copper가 오르고, 주가가 올라가거나
2-2) 금리가 유지되고, gold가 내리고, 주가가 올라가야





f(+oil, -gold) vs 10-year rate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1/interest-rate-gold-oil-20170102.html

gold/oil 혹은 oil/gold 같은 비율로는 금리와의 관련성을 포착하기 어려워서 금값과 기름값으로 명목금리를 재구성한 것이다.

10-year rate = a *  OIL - b * GOLD +c

차이가 좁혀지려면
금리가 내려가거나 기름값이 올라가거나 금값이 내려가야.



미국의 성장률이 높아지면 해피엔딩으로 끝날 수 있다.
물가상승이 성장에 동반되는 것은 피할 수 없다.
물가만 상승하는 상황은 미국, 전세계에 모두 어려운 일이 될 것이다.








2018년 5월 16일 수요일

최저임금과 고용쇼크의 관련성을 인정하는 김동연 20180516



최저임금인상이 날린 일자리 20만개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20.html

경기가 순환적으로 회복되면 고용은 회복될 수 있다.
정부에서 무슨 짓을 해도 시간이 충분히 지나면 마찬가지일 것이다.
10년이 지나면 전세계가 금융위기에서도 벗어날 수 있고, 20년이 지나면 일본도 회복할 수 있다.
그러나 4월 기준으로 18만개 정도 날아가버린 일자리는 영원히 없어진 것이다.



4월 고용도 변함없이 쇼크 수준이다.
벌써 3달째 이어지고 있으니 노이즈일 가능성은 낮다.
변함없이 서비스/판매종사자, 단순노무직의 상황이 더 나쁘다.



최악의 상황인 고용 현실을 인정하지 않는 자들도 많지만, 인정해도 최저임금과의 관련성을 부인하는 자들도 많았고, 그 중에 부총리도 있었다.

최저임금과 고용쇼크의 관련을 부인하는 김동연 20180417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20180417.html

그러나 부총리가 오늘자 인터뷰에서 입장을 바꿨다.

[단독] 김동연 “최저임금 인상, 필요하면 속도조절 해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1&oid=005&aid=0001097810

김 부총리는 지난 15일 정부서울청사 집무실에서 국민일보와 인터뷰를 갖고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은 분명히 고용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며 최저임금 속도조절론을 제기했다. 정부 내 경제사령탑 중에서 ‘2020년 최저임금 1만원 달성’ 공약에 대해 이견을 제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부총리는 이 정권 고위직 중 유일하게 최저임금인상과 고용 쇼크의 관련성을 인정한 사람이다.
부총리가 물꼬를 텄으니 앞으로 비슷한 얘기들을 여기저기서 할 것으로 본다.

최저임금과 실업률 minimun wage and unemployment rate 20180412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minimun-wage-and-unemployment-rate.html

내가 보기에 최저임금과 실업률의 관계는 덧셈뻴셈 수준의 산수이다. 곱셈, 나눗셈도 필요없다.
그러나 4월의 고용상황이 호전될 기미가 보였다면 김동연도 지난 달처럼 쌩깠을 것이라고 본다.

“소득주도 성장이 소득을 늘려 성장한다기보다는 우리 경제의 구조적 문제 해결을 강조하는 것으로 이해했으면 한다”

같은 기사에서 소득주도성장론이 근본없는 개소리라는 것을 인정하는 듯한 발언도 했다.
최저임금올려서 성장이 가능하면 베네수엘라, 아르헨티나, 브라질도 왜 성장을 못하겠나?



전년동월비(%)로 취업자수와 경기동행지수를 비교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용은 경기에 후행한다고 하는데, 한국에서는 동행하는 것으로 보인다.

작년 대선 전후가 경기가 둔화되기 시작하는 시점이고 고용도 그 시점이 꼭지이다.
지난 1월까지 경기둔화는 지속형이었으나 고용은 버티고 있었다.
그러던 고용이 2월에 수직으로 떨어져서 it버블붕괴, 금융위기 이후의 전세계 침체 국면과 비교할 만한 수준을 3개월째 유지하고 있다.

경기가 확장되는 국면에서라면 충격의 강도가 덜하거나, 빨리 회복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수출을 제외하고는 둔화 혹은 횡보에 가까운 한국의 경제 상황에서 이렇게 인위적인 고용 충격은 경제를 reset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그것이 김동연이 언급한 '구조적 문제 해결'과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본다.

만약 그 문제가 분배와 관련있는 것이라면 이 정권은 해결하고 있는 것이 아니고 실패하고 있는 중이다.
성장없는 분배라도 하려면 밥그릇, 숟가락이라도 늘려야 한다.
고용이 최저인 상황은 분배도 최악인 상황이다.
이것도 산수에 불과하지만, 산수를 넘어서는 것이 이 정권에게 준비가 되어있을지 알 수 없다.
다만 최저임금 인상이 고용에 미친 영향을 부총리가 인정했으니, 이것이 향후 변화의 단초가 될 수 있으리라 본다.
부총리가 이 정권의 왕따가 아니라면 그렇다는 것이다.









2018년 5월 14일 월요일

아르헨티나의 교훈. 브라질. 20180514


브라질 국채에 투자하는 개인은 많아도 아르헨티나 관련 주식, 채권 등에 투자한다는 얘기는 들어본 적이 없다.

직접 관련이 없을 지라도 신흥국 위기라는 것이 전염성이 매우 강하고 전세계의 경기싸이클을 끝내는 신호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 간단히라도 지표를 확인해볼 필요는 있다.

아르헨티나 위기의 특징은?

탄탄한 외환보유고에도 불구하고 무역수지, 경상수지는 악화되고 있었다.
성장은 몇년째 멈추었지만, 물가 상승은 하이퍼인플레이션 수준으로 진행되고 있었다.
결과적으로 통화가치가 하락하면서 기준금리, 시장금리가 폭등했다.

아르헨티나의 교훈은?
외환보유고보다 무역수지, 경상수지의 추이가 위기상황과 관련이 더높다.
외화부채, 자본수지를 통해 유지되는 외환보유액은 현실을 왜곡할 수 있다.
높은 물가는 통화가치 하락과 동반되지만, 시차가 나타날 수 있다.
이런 조건에서 금리상승을 피하기 어렵고, 이것이 시장의 안정을 가져오기도 어렵다.

추가적인 교훈은?
경상수지가 아니라 자본수지로 외환보유액이 유지되는 나라에서 물가상승이 지속되면 위험한 투자대상이다.
지난 2년전의 브라질도 그런 관점에서 봐야 한다.
그런데 지금 물가가 안정되고, 금리도 안정되고, 환율도 안정된 브라질이 안전해졌나?
기름값 상승에 의한 일시적인 호전에 불과한 것인가?



아래 그림은 전부 https://tradingeconomics.com/argentina에서 퍼 온 그림.



아르헨티나 페소 usdars

2012년경 이륙해서 최근까지 5배 상승.
페소의 가치는 5분의 1토막.




그럼 당연히 외환보유액에 관심이 생기지만, 사상 최고 수준.




무역수지, 경상수지는 최악.
어떻게 외환보유액이 유지되었을까?


자본 유입이 경상수지적자와 거의 비슷하게 유지.
어떤 돈이 들어왔을까?


엄청나게 증가하는 외채.
외채 최근 3년간 70,000 M$ 이상 증가.
외환보유액 최근 3년간 40,000 M$ 미만 증가.

늘어난 빚보다도 외환보유액 증가량이 적다.





최근 5년간 gdp 성장 거의 멈춤.


그러나 gdp디플레이터는 4배로 증가.


이상 요약
경제상황이 엉망인 상황에서 물가가 급등하고 있었고, 지속적인 경상수지 적자로 유출되는 외환은 과도하게 부채로 충당하면서 오히려 외환보유액은 증가해서 위험이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가리고 있었다.


그래봐야 소비자 물가는 몇년간 터무니 없이 높았고,


최근 충격적인 금리인상 전에도 금리를 높이고 있었다.
이것으로 위기상황에 대한 대처로 충분하지 않으니 imf에 구제금융과 비슷하지만 같지는 않은 자금지원을 신청한 모양이다.


브라질 그림은 한방에.




최근 회복하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경제는 2011년 수준에 멈춰있다.
물가는 아르헨티나처럼 몇배는 아니지만 2011년에서 60% 이상 상승했다.
다행인 것은 16년까지 가속화된 이후 물가상승은 소강상태라는 것.

이 모든 것이 결국 기름값과 관련이 있고, 기름값은 수십년간 달러와 관련이 있다.
브라질은 기름값 폭락하던 시기에 러시아와 더불어 위기에 준하는 금융시장의 변동을 겪었다.

16년 이후 물가, 금리, 환율이 안정되어 가고 있었고 외환보유액도 끄덕없이 유지되고 있었다.
신기했는데, 아르헨티나의 상황을 보고나니 왜 브라질이 잘 버티고 있는 것처럼 보이는지, 왜 그것이 사상누각일 수 있는지 판단할 힌트를 얻었다.

2012년까지 증가한 외환보유액은 전부 자본수지에 의한 것이다.
뭔가를 팔아서 번 돈은 전혀 없다. 하다못해 2008년까지 기름값이 오르던 시기에도, 2014년까지 기름값이 높게 유지되던 시기에도 그렇다는 것이다.
외부에서 빌려오고, 투자를 받는 돈이 없으면 브라질은 멈춘다.
최근 외채는 증가하지 않고 있지만, 대신 정부부채가 증가하고 있다.
브라질의 빚은 해외이든 국내이든 지속적으로 늘어나기만 하고 있다.

아직도 신흥국에 포함되기도 하는 한국은?
신흥국 대표들과는 그림이 많이 다르다.
여전히 원화약세가 아니라 강세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2018년 5월 12일 토요일

잼라이브 2번째



약소하지만 두번째 상금 획득.








underlying, sticky, flexible 20180512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cpi-vs-m2-v2-20180412.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5/dollar-and-cpi-20180508.html
대칭적 물가 "symmetric" 20180503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5/symmetric-20180503.html


미국 물가가 중요한 시기이다.
핵심물가가 파악하지 못하는 물가 변화의 본질을 추적하겠다는 지표들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나?
끈끈이, 말랑이, 바닥 다음은? Underlying Inflation Gauge (UIG)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9/underlying-inflation-gauge-uig.html



이것은 뉴욕연준의 uig

https://www.newyorkfed.org/research/policy/underlying-inflation-gauge


full data set uig는 3.2%이고 prices-only uig는 2.29%이다.
full data set uig가 두드러지게 물가를 선도하던 시기는 2000년대 중반.

반가운 소식이다.



다음은 아틀란타 연준의 sticky, flexible

https://www.frbatlanta.org/research/inflationproject/stickyprice.aspx


딱붙어서 안 움직인다는 sticky price(주황)는 급등하고 있고, 10%이상까지 확확 움직인다는 flexible pice는 바닥에 딱 붙어있다.
그래서 얼마?
둘 다 2.5%로 cpi(2.46%)와 다르지 않다.

여기도 분위기는 2000년대 중반(특히2004년)과 그나마 비슷하다.

이렇게 연준의 도움으로 물가를 나누어보니 지금이 미국 경기싸이클 후반이라고 해도 아직 여유가 있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이것도 반가운 소식이다.



양적완화와 저금리로 지탱하던 금융시장이 물가가 급하게 상승하면서 지옥으로 변한다고 걱정들을 하는데, 연준의 경제학자들이 만든 물가 지표가 위안을 주는구나.




smp vs wti 20180512




smp vs wti




smp vs wti (3개월 선행)

과거에는 wti가 약 5-6개월 선행.
최근에는 약 3개월 선행.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us-oil-breakeven-prices.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1/smp-vs-wti20180129.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10/rig-count-oil-price-20171012.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1/smp-lng-oil-coal-20170105.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7/no-2-smp-lng-oil.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1/oil-lng-smp.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9/smp-2010.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10/oil-marginal-cost.html


tesla model 3



블룸버그에서 모델 3의 주간 생산량과 총합을 추정하는 모델을 만들어서 공개하고 있다.

https://www.bloomberg.com/graphics/2018-tesla-tracker/



아직도 2만5천대밖에 생산하지 못했다.
주간생산량도 최대 2500대 수준에 불과했었고, 지금은 1680대에 불과하단다.
머스크의 생산지옥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그래서 언제 망할까?
망할 확률은 얼마나 될까?

전세계의 호사가들이 테슬라가 언제 망하나 눈을 시퍼렇게 뜨고보고 있다.
테슬라 주식과 채권에 투자하고 있거나, 그럴 계획인 사람들은 말할 것도 없다.


https://seekingalpha.com/article/4173043-teslas-default-bankruptcy-imminent?app=1
채권가격으로 계산한 디폴트 확률이다.
테슬라가 망할 확률이 최근 급상승한 것이 보인다.
아 그런데 저렇게 문제가 많다는 테슬라가 망할 확률이 높아져서 이제 포드가 망할 확률과 비슷해졌다고 한다.
한국에 10년 동안 투자를 유지하기로 한 gm은 다행히 망할 확률이 그보다는 낮다고 한다.
그래봐야 6개월 전에는 비슷했지만 말이다.

같은 저자가 알트만 z-score로 계산한 Bankruptcy 확률은 5.75%나 된다.
그런데 포드, gm의 망할 확률은 그보다 높다.
실제적으로 테슬라, 포드, gm이 2년 내에 망할 확률은 낮다고 한다.


https://insideevs.com/monthly-plug-in-sales-scorecard/

위 사이트에서 미국에서 팔리는 전기차 숫자를 확인할 수 있다.
3,6,9,12월에 판매대수가 급증하기 때문에 아래에 3개월 합계를 표시했다.


미국 전기차 시장은 규모가 작지만,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이것을 생산지옥에 빠져있다는 테슬라가 선도하고 있다는 사실은 변함없다.
PHEV를 제외한 full EV 판매량의 50% 이상을 몇년째 테슬라가 차지하고 있다.

당장 가솔린 트럭이 잘 팔린다고 해도 그게 미래가 아니라는 것은 분명하다.
리튬이 부족해서, 코발트가 부족해서 전기차 굴러갈 밧떼리를 만들 수 없다고 계산하는 것도 근시안적인 사고에 불과하다는 것이 겨우 몇개월만에 드러나고 있다.
테슬라가 아니라 다른 자동차메이커 어디라도 디젤차, 가솔린차를 극복하는 과제를 풀어야 다음 세대에 생존할 수 있다.







독일 환율과 물가와 금리 Deutsche Mark and cpi and interest rate 20180512





미국달러/독일마르크
독일cpi(yoy)-미국cpi(yoy)

1970년부터 1990년까지 관련성이 높다.
92년 전후 관련성이 사라진 것처럼 보인다.
95년 이후 관련성이 다시 나타나는 듯하다 마르크가 유로로 통합되어 사라진다.

92년 전후에 벌어진 환율 조작 상황은 전에 한번 조사해본 적이 있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4/currency-war-currency-manipulation.html


통일된 독일에서 동독에 대한 투자로 돈이 풀리고 물가 상승을 막기위해 금리를 올리면서 마르크에 대한 상승압력이 존재했다. 맨 위의 그림에서 마르크는 물가대비 상대적으로 고평가 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유로 통합 전에 환율조절메카니즘에 가입한 유럽 국가들은 환율을 일정한 범위에 묶어놓는 조작을 했다.
그러나 마르크 대비 고평가된 파운드의 괴리가 커지고 있었고 소로스는 파운드에 대한 매도 공격을 했다. 영국은 파운드를 사들이고 금리를 인상하면서 대응했고, 독일은 외환보유액을 두 배이상으로 늘리면서 파운드의 하락을 방어하기 위해 영국과 공조했으나 실패했고, 결과적으로 영국은 유럽의 환율 체제에서 탈퇴했다.


90년대 초반 독일의 물가와 부합하지 않는 마르크의 강세는 프라자 합의 이후 나타난 엔과 마르크의 절상 추세에 더불어 독일의 통일과 관련된 금융정책이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10/deutsche-mark-vs-german-reservemoney.html

미국달러/독일마르크
독일 외환보유액/M0

환율과 물가와의 관계가 어긋나 있던 92년 전후의 시기에도 환율과 외환보유액/통화량과의 관계는 일시적인 노이즈를 제외하면 매우 보기좋게 유지된다.



파운드와 영국물가에 대해서도 조사해본 적이 있다.

파운드와 영국물가 gbp and cpi 20160625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gbp-and-cpi-20160625.html



92년 전후 파운드의 급락으로 인해 물가와 환율의 괴리가 좁혀지면서 정상화된 것으로 보인다.
소로스가 정상화를 앞당긴 것으로 봐야 할 듯.



수십개 이상의 주요국가에서 물가와 환율의 관계를 조사한 적이 있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4/reerneer-inflation-ratio-from-bis.html



이 중에서 왼쪽 위의 그림이 독일의 명목실효환율과 물가비율와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다.
1965년부터 2015년까지 장기적으로 잘 들어맞는다.



독일은 선진국 중 한국과 경제구조에서 일본보다 유사한 점이 있다.
또 통일 이후 독일의 경제상황도 관심을 둘만한 가치가 있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6/germany-vs-korea.html
한국과 독일의 장기금리는 2005년 이후 다른 선진국보다 높은 유사성을 보이면서 동행.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6/short-term-rate-difference-germany-vs-us.html
2000년대 이후 한국과 독일의 단기금리에서도 유사성이 나타남.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6/euro-dollar-germany.html

유로의 강세가 지속되려면 1) 유럽물가의 안정 혹은 미국물가의 상승과 2) 유럽중앙은행의 양적완화 축소가 필요하다.



140년간의 독일장기금리, 단기금리, 금리차.
통일직후 1992년의 독일은 참으로 심란한 분위기.


http://runmoneyrun.blogspot.kr/2017/06/us-germany-term-spread-20170617.html

1) 미국의 장단기 금리차의 선행지표로서의 유용성은 의심할 이유가 충분하다.
2) 독일의 장단기 금리차는 1980년대 이후 미국에 후행했다.
3) 금융위기 이후 경기순환은 여전히 미국이 독일에 선행하지만 장단기 금리차로 포착할 수 없다.

2018년 5월 8일 화요일

달러와 물가 dollar and cpi 20180508


미국 물가가 오르고 있고, 연준이 기준금리를 올려서 단기금리가 밀려올라가고 있고, 시장은 이에 부응해서 미국채 10년금리를 밀어올리고 있고, 이 와중에 장단기 금리차는 계속해서 축소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16년초 wti가 20불초반을 찍고 돌아섰을 때부터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럼 달러약세는 언제부터인가?
90년대 후반이후 유가와 달러인덱스가 대칭이니 16년초에 달러약세가 시작되었으면 좋겠으나 실제로 달러의 고점은 16년 말이고 이때부터 달러약세가 지속되었다.

달러인덱스의 60%전후를 차지하는 유로달러 eurusd환율이 4월을 고점으로 최근 꺾였고, 이것을 libor등과 관련짓는 사람들이 있다.
초단기 환율변화를 설명하려면 그런 지표들이 필요할 수 있을지 모른다.

그러나 몇개월 이상 몇십년에 걸친 변화를 설명하는 것은 가장 중요한 지표인 물가로 충분하다.
물가가 충분히 환율을 잘 설명하고 있는 시기에 금리 관련 지표와 꿰어맞추는 것은 불편하고 번잡스러운 일이다.




eurusd yoy
미국 cpi yoy-유럽 cpi yoy
미국 cpi yoy
유럽 cpi yoy

미국물가가 유럽물가보다 더 올라서 미국돈의 가치가 떨어지면 달러대비 유로의 가치(eur/usd or eurusd)는 올라간다.





환율을 yoy가 아니라 환율 그대로 보면 조금 덜 맞는 부분이 있다.
그러나 전체적으로 잘 일치한다.

최근 환율이 꺾인 것이 두 대륙간의 물가 변화를 그대로 반영하는 것인지 노이즈인지 고민할 필요가 있다.




어떤이들은 미국금리가 올라서 미국돈에 이자가 많이 붙으면 달러가 강해질 것으로 생각한다.
금리차가 그럭저럭 쓸만한 것은 사실이지만, 물가차와 비교하면 설명력이 전반적으로 많이 떨어진다.

그러니 한동안 금리차(초단기부터 장기금리까지)로 환율을 설명할 수 없다고 달러약세를 노골적으로 불만스러워 하거나, 비정상이고 왜곡된 것이라고 하던 사람들이 최근 몇주간의 달러강세를 환영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미국경제와 관련해서 관심을 둘 곳은 금리가 아니고 물가이다.
물가를 보고 있으면 연준의 발언같은 것은 크게 신경 쓸 필요가 없다.
미국물가는 오르고 있고, 당분간 오를 것이다.






2018년 5월 3일 목요일

Samsung, Hynix, Memory export 20180503



원화로 환산한 메모리 수출은 환율로 인해 4-5% 달하는 감소요인에도 불구하고 18년 1분기에 전분기 대비 꺾이지 않았다.
그러나 삼성전자메모리와 하이닉스의 매출 합계는 그 이상 감소했다.

무슨 일이 있었을까?
그것이 2분기 한국수출과 1, 2위 기업의 실적에 대한 힌트를 줄까?




두 회사의 매출은 공히 감소했다.
그런데 삼성반도체의 영업익은 증가했고,  하이닉스의 영업익은 감소했다.
왜?

이익률이 벌어졌다.



삼성반도체의 이익률 56%은 전무후무한 수준이다.
그래서 전사 이익률도 애플과 맞짱을 뜰 수 있게 되었다.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5/samsung-vs-apple-1q2018.html



1분기 한국의 메모리 수출(원화환산)과 두기업 매출합계는 방향이 다르다.
방향이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으나 틀렸다.

내 상식으로는 두가지 설명이 가능하다.

1) 한국에서 해외 자회사로 밀어냈다. 수출로는 잡히고 연결매출로는 잡히지 않는다.
2) 해외 공장보다 국내 공장의 가동률이 높았다. 그래서 전체 매출에서 수출의 기여도가 높다.

궁금했는데, 어떤 보고서에도 언급이 없다.
다음분기까지 기다려면 될 일이기는 하다.



혹시나 하는 심정으로 수출과 매출의 비율을 구해봤다.
연결로 재무제표가 통일된 09년 이후의 비율을 보면 전체 매출에서 수출의 비율이 높은 시기(파란 화살표)가 순환의 고점이다.
지금은 10년보다 낮고, 14년보다 높다.

두 회사의 1분기 재고 수준이 2분기의 한국경제와 두 기업의 실적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이다.
1분기 보고서가 기다려진다.




반도체 수출 20180503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4/vs-semi-export-q-vs-p-20180419.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3/semi-export-20180315.html




반도체 수출은 추세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전년동월비로 보면 증가율이 고점의 70%대에서 4월 37%로 내려왔다.

그래서 앞으로는?
자세히 보려면 조금 확대할 필요가 있다.
보고 나면 머릿속이 명확해진다.





4월은 잠정치이지만 경험상 큰 변화는 없다.
2월과 3월의 수출을 보고나서 평균을 내고 머릿속에서 노이즈를 제거하라.
그리고 17년 9월부터 일직선으로 팽팽하게 당겨진 줄을 보고 있다고 상상해보라.

18년 9월이 되면 어떤 일이 생길까?
반도체 수출 증가율이 0%에 수렴한다.

그러면 4월에 마이너스 전환한 한국 수출은 어떻게 될까?
'기저효과에 의한 착시'를 극복하고 9월까지 10% 수출, 조금 깎아서 8%수출을 달성하고 있을까?

갑자기 미국, 중국, 일본, 유럽이 돈을 풀면서 돌아버리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면 불가능하다.
에라이코노미스트들아.


korea export 20180501 정체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5/korea-export-20180501.html

수출입에서 보이는 기저효과 base effect 20180503
http://runmoneyrun.blogspot.kr/2018/05/base-effect-20180503.html





메모리 수출은 반도체 전체 수출보다 더 순환적. 4월치는 정부가 아니라 나의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