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6월 20일 월요일

환율3 - 금리차


환율1 - 경상수지, 외환보유액, 물가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1.html

환율2 - 파운드와 외환보유액 평가액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2_20.html



1
한국과 미국의 장기금리차, 단기금리차.


2
앞서 확인한 환율과 외환보유액의 관계


장기금리차/단기금리차, 환율/외환보유액의 4가지 조합을 비교.


3

4가지 조합중 2014년 중반까지 외화보유액과 장기금리차의 관계가 명확.


문제는?

한국의 금리가 더 높아지면, 한국으로 돈이 들어와서 외환보유액이 쌓이면 좋겠으나 반대라는 것.
한국은 아직까지 교과서가 먹히지 않는 나라.

그러나 전문가들은 한국에서 금리를 내리면 돈이 빠져나가고 그래서 외환보유고가 감소하고 원화약세가 발생하기라도 한다는 듯이 금리인하에 반응.

적어도 2014년까지는 반대였고, 최근 2년간의 괴리는 일부 시기에 불과.




4
4개의 조합 중 두번째로 명백한 조합.

환율과 단기금리를 비교하면 14년까지 환율이 금리차에 후행.

마찬가지로 금리차가 커지면 원화 강세가 아니고 반대.


쉽게 설명하는 길은?
한국경제가 개선되면 달러가 밀려들어와서 외환보유액이 높아지고 유동성이 늘어 금리가 낮아진다.

14년까지 그랬던 것이 바뀌었다.
왜? 자본수출국이 되었으니까.

한국이 이제부터는 환율 교과서가 적용되는 그런 나라가 될까?
2년 지났으니 약 8년쯤 더 지나서 경기싸이클이 한바퀴 돌고 나면 판단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금리와 환율의 관계는 이미 오래전부터 교과서와 달랐지만, 물가와 환율의 관계는 전세계 대부분의 국가와 동일하게 한국에도 적용되었고, 최근 1년 정도만 괴리가 발생했다.



결론.
원화의 미래는 금리가 아니라, 물가를 본다.
원화의 과거는 외환보유고를 본다.








환율2 - 파운드와 외환보유액 평가액


환율1 - 경상수지, 외환보유액, 물가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6/1.html

3개의 외환보유액, 3개의 오차 3 Reserves and 3 Errors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3/3-3-3-reserves-and-3-errors.html

국제수지의 오차및누락 소고
http://runmoneyrun.blogspot.kr/2015/03/blog-post_30.html

chance and necessity- pound and won
http://runmoneyrun.blogspot.kr/2016/02/chance-and-necessity-pound-and-won.html



1
외환보유액과 준비자산증감액의 누적치((R2)를 비교했다.
R3는 오차와 누락 항목을 포함하는 준비자산누적액에 해당한다.

12개월 합으로는 2010년부터, 누적으로는 2011년부터 자본의 지속적이고 급격한 누출이 시작되었고 진행형이다.

경상수지 누적은 대칭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2
3종류의 외환보유액 관련치를 확대한 것이고, 이중 외환보유액의 변동은 환율과 매우 유사하다는 점을 확인했다. R2, R3는 외환보유액보다 관련성이 떨어진다.




3
'오차와 누락'의 누적치(error sum)는 R2-R3에 해당한다.

세 개의 차이/오차 중 R-R2는 외환보유액 평가액의 변동과 관련이 있다.
이 수치와 환율을 비교해보면 시기에 따른 외환보유고 운용방식의 차이를 추측할 수 있다.



4
달러인덱스의 60%이상이 유로이고, 한국 외환보유액의 40%는 달러 이외의 자산이다.

박스로 표시한 구간에서는 달러인덱스와 관련성이 높다.
달러약세 시에 외환보유액이 준비자산누적액과의 차이를 벌리는데, 이것은 평가액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고, 40%에 해당하는 비달러자산의 가치가 기여하게 된다.





5
반면에 2010년부터 2015년초 사이에는 이 차이가 원달러 환율과 관련성이 높다.

원화는 외환보유액이 될 수 없으니 이부분에 대해 의문점을 가지고 있었으나, 원화와 관련성이 높은 통화나 자산에 투자한다면 가능한 일이다.





6
위 그림에서 해당 기간에 원화와 가장 관련이 높은 통화가 무엇인지, 이중 한국 외환보유액에 달러, 유로 다음의 높은 비중으로 편입될 수 있는 통화가 무엇인지 짐작할 수 있다.

파운드가 답이라면?

2015년 중반이후 파운드의 약세가 한국을 포함한 국가에서 외환보유액 내 파운드의 비중이 감소하고 있었고, 그것이 파운드의 약세를 유발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럼 이것이 브렉시트를 1년 전부터 미리 반영한 것일까?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어려울 것이다.






환율1 - 경상수지, 외환보유액, 물가



1
국제수지의  12개월합이다.
경상수지가 최근 꺾인 것이 주목할만하다.
자본금융계정에서 외환보유고를 빼지않은 수치(녹색)는 경상수지와 대칭이고 그 차이는 글자 그대로 오차이다.
오차가 주는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확인할 이유가 없다.
준비자산을 제외한 자본금융계정(빨강)이 관심의 대상이고 들여다 볼 가치가 있다.

자본금융계정이 한국에서 외환위기, 금융위기 시에 급격히 감소하는 것이 보인다.
이후 급증한 후 10년부터 지속 감소하고 있다.

경상수지가 꺾인 이후에도 자본유출이 지속되고 원화가치가 하락한다면 08년 이후 처음으로 준비자산12개월누적치가 감소(윗방향)할 수 있다.


2
경상수지와 원달러의 그림같은 관계는 12년에 끝났다.
환율이 올라가면 경상수지가 증가하고, 경상수지가 증가하면 환율이 내려가는 피드백의 범위를 넘어서는 경상수지의 급증이 12년 이후 나타났다.

높은 경상수지에도 불구하고 자본금융계정의 감소로 인해 원화가치의 상승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3
원화의 명목실효환율과 비교해도 마찬가지이다.

과거 경상수지만 봐도 충분했던 환율과의 피드백은 이제 홀로 작동하지 않는다.
증가된 자본금융수지의 역할을 고려해야 하고, 둘 간의 차이에 해당하는 준비자산이나 그 누적치인 외환보유고를 환율과 비교해야 한다.



4
외환보유액은 근사적으로 준비자산의 누적과 같다.

장기적으로 외환보유고는 한국의 경제규모, 무역규모와 비례해서 증가했다.
단기적으로는 당국의 스무딩오퍼레이션에 의해 환율에 맞추어 피동적으로 움직인다고 볼 수 있다.

장기적인 추세를 제거하기 위해 외환보유고에서 60개월 이동평균을 구해서 빼면 환율과의 단기적인 관련성이 드러난다.



5
외환위기 이후 오랫동안 높은 관련성을 유지하고 있다.
최근 중국, 영국 관련한 환율의 급변동에도 바뀌지 않았다.



6
물가는 장기적으로 환율과 관련성이 높다.
그러나 최근 1년여간 괴리가 커졌다.

좁혀질 것이다.
일단 시작되면 빠르게 진행된다.

미국물가 하락.
한국물가 상승.
원화가치 상승.
동시에 혹은 독립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들이다.

만약 반대로 괴리가 커진다면 고무줄이 더 당겨지고 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