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10월 7일 화요일

노벨상, 일본 나카무라, 청색 led, 직무발명




日, 청색LED발명 소송 84억원에 화해

sec 3q2014p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10/samsung-employee.html

하도 바람들을 잡아서 실망스럽지는 않지만, 걱정스럽다.



매출, 영업익은 2011년 수준.



마진의 급격한 감소.

반도체는 유지했을 것으로 보면, 휴대폰의 마진이 결정했을 듯.
장기적으로 매출이 유지되면서 10% 초반의 마진이 유지된다면 2000년대 중반의 노키아와 비슷한 위치.

반도체 설비 투자는 자체로 치킨게임의 서막으로 보기에는 아직 이름.
그러나 dram, nand의 경쟁력이 영원할 수는 없다.
메모리반도체에서 잘해봐야 93년부터 20년간 제자리일 뿐이고, 쩌리같던 하이닉스보다 삼성반도체의 이익율이 낮다는 것은 헛발질 한번에 나락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뜻.





yoy 매출감소가 심각.




영업익은 그 다음 문제.



그래도 배당은 줘야지. 이 *****.








Prepare for a super won 4 - korea is different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9/prepare-for-super-won-1.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09/prepare-for-super-won-2-default-vs-high.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10/prepare-for-super-won-3-term-spread.html
http://runmoneyrun.blogspot.kr/2014/10/prepare-for-super-won-4-korea-is.html
-----------



한국이 여러가지 면에서 일본, 중국, 대만, 싱가폴, 홍콩 등과 비교할만하다는 것은 두말할 필요가 없다.
비슷하거나 다른 것도 충분한 이유가 되지만, 경쟁하고 협력하고 있다는 것이 더 중요한 이유이다.

그런데 적어도 이번 싸이클에서 한국은 다른 나라와 다르다.
앞으로도 다른 길을 갈 가능성이 있다고 본다.

Super won이 한국이나 한국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까?
그것은 super won이 발생할지를 예측하는 것보다 더 어려운 일이다.
다만 지금은 super won보다 그 이후가 깜깜하다.




강달러시대에 대한 여러가지 소설들이 횡행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은 주요통화기준으로 달러의 하락 추세를 벗어나지 않았다.

80년대초, 90년대 후반의 진짜 강달러가 이번에 반복될까?
만약 미국 경제의 독주가 지속되고 금리가 인상되는 동안, 유럽, 중국, 일본이 낮은 성장, 저물가, 저금리를 유지하면 가능할 것이다.
확실한 사실은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환율의 세상에서 미국경기 싸이클, 미국 금리, 금리차 만으로는 설명도 예측도 할 수 없다는 것이다.

위의 녹색 음영은 호주달러와 high yield spread가 매우 높은 관련성을 보이는 시기이다.
왜 호주인가?

다른 이유는 없다. 신흥국이나 비슷한 수준의 국가 통화를 비교하니 aud가 저 시기에 관련성이 가장 높게 나온다.
달러인덱스나 유로(마르크), 엔으로는 장기간에 걸쳐서 발생하는 위험자산에 대한 선호, 회피를 설명할 수 없는 것과는 다르다.
95년의 역플라자합의가 달러강세의 시작이었으나, 그저 시작일뿐이다.

그런데 2000년대 발생한 호주달러의 강세는 위의 관련성을 약화시켰다.
그래서 2005년 경부터 차이가 발생하기 시작한다.





그래서 엔화기준으로 바꾸어 보았다. (usd/aud -> jpy/aud)
그러면 최근 20년을 익숙한 엔캐리 트레이드로 적당히 설명할 수 있다.
더 길게 보면 90년대 초반을 제외한, 플라자 합의 이후의 30년을 설명할 수 있다.

미흡한 구석이 없지는 않으나, 소결론은 호주달러는 다른 어떤 신흥국 통화보다 장기간에 걸쳐서 위험/안전에 대한 선호도를 나타내는 시금석으로 쓸만하다는 것이다.

반면 엔화, 유로, 달러 인덱스의 강세, 약세는 그런 용도로는 장기간에 걸쳐서 믿을만 한 것은 아니다. 거기에 달러 강세라고 해서 한국의 원이 무조건 약세로 갈 것이라고 믿는 것도 썩 바람직한 태도는 아니다.





호주달러와 원화는 달러기준으로 볼 때, 리스크 지표들과의 관련성이 조금 다르다.

최근 10년 이상 원화가 잘 맞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을 엔화기준으로 보면 거의 동기화된다.
이것은 대부분의 시기에 엔화의 추세(몇 년 이상)가 두 통화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하기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볼 수 있다.

90년대의 강세가 2000년(it버블 붕괴)이 아니라, 97년(외환위기)에서 끝나는 것이 특히 엔화의 영향으로 차이이다.

만약 지금이 2000년대 보다 90년대와 비슷하다면, 엔화기준으로 세상을 보는 것이 더 유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일단 기억만 해두고 지나가는 것으로 충분하다.




credid spread와 메릴린치의 스프레드를 비교한 것이다.
메릴린치의 스프레드는 aaa기준이라기보다 미국채기준이라고 볼 수 있다.

option-ajdusted가 어떻게 구했다는 것인지는 모른다.
vix도 비슷한 얘기를 하니 비슷하려니 한다.

내용을 이해할수 있고 수십년이상 장기간을 볼 수 있는 baa-gs10을 보는 것의 장점은 명백하다.





동아시아의 몇개국 환율을 비교해보면 한국과 다르다.
달라도 많이 다를 뿐 아니라, 금융위기 이전부터 적어도 15년간 한국은 미국의 위험지표들과의 관련성이 높아졌다.

적어도 2000년 중반부터 한국에 대한 금융시장의 평가는 다른 아시아 국가와 다르다.
이것을 작고, 개방되고, 유동성이 풍부한 시장의 특성이라고 많이들 주장했다.
그러나 한국은 위에 표시한 나라들, 브릭스 국가들, 호주, 캐나다같은 선진국과도 다르다.

왜 다른지는 경제 연구로 세금, 등록금을 축내는 사람들이 연구할 일이다.

그런데 나는 삼성전자, 현대차가 차이의 대부분을 설명할 것으로 의심한다.
수출, 무역수지, 경상수지라는 표현이 비슷한 얘기를 하지만 가리키는 것은 다르다.
한국이 더 달라지려면 두 회사에 버금가는 회사가 나와야 되고, 그럴 가능성이 없지 않다고 본다.

미국의 유동성, 한국의 유동성, 미국의 펀더멘탈, 한국의 펀더멘탈.
이 관계는 한국과 앞서거니 뒤서거니 하고 있는 다른 나라와 다르다.
아직은 분명히 다르다.



-----------

‘혈세 낭비’ KDI… 주최 측서 이코노미석 준다는데도 세금으로 비즈니스석 업그레이드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2529660

삼성전자, 평택 반도체 투자… 김기남 사장 "공급과잉 안될 것, 속도조절"